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보면서 중점적으로 볼 게 있을까요

2024.03.26

7

948

이번학기 석사 신입생입니다.
관련분야 논문 2~3일당 1편씩
영어 비문학 지문 읽듯이 해석하면서 읽고있어요.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데 내용 이해가 목적이면 굳이 영어 원문으로 안보고 번역기 돌려서 읽으면
1일에 1편씩 볼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 약간 의문이 드네요

어떻게 읽어야 논문을 잘 읽었다 할 수 있을까요?

일단은 많이 보는게 맞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넉살좋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4.03.26

번역기 돌려 읽는 건 썩 좋지 못함 그렇게 라도 읽는 게 나쁜 건 아니지만
영어는 볼수록 늘음

2024.03.26

영어로 발표된 논문을 읽고 그걸 영어로 동료에게 설명하고 영어로 토론해 봐야 합니다. 그게 학자들이 늘상 하는 일입니다. 번역기? 어불성설이에요. 수능 토익 독해나 청해도 아니고.

대댓글 1개

2024.03.26

영어로 지문 해석해 보고 끝났다가 아니라 그걸로 정말 토론을 하려고 하면 영어 실력이니 어떻게 읽어야 할 지 자동으로 알게 됩니다. 내가 설명을 못 한다면 뭘 이해하지 못하는지, 내가 논문을 읽고 설명한 내용에 대한 상대방의 질문이나 반론에 대답할 수 없다면 내가 뭘 이해 못 하고 어떻게 보완해야 할 지 스스로 깨닫게 됩니다. 혼자 논문 읽는 사람이 1년동안 걸려서 쌓을 실력을 다른 사람들과 논문을 토론한다면 1개월 안에 쌓을 수 있습니다. 그게 아마추어와 전문가의 차이이기도 하고요. 논문 자체는 돈만 내면, 혹은 불법으로라도 그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읽는 것 자체는 차이를 만들지 않아요. 하지만 취미로 독학하는 사람은 피드백 해 줄 학계 동료가 없습니다. 정식으로 학생인 사람은 피드백 해 줄 동료가 있고요. 자신이 학생이라는 특권을 최대한 현명하게 활용하세요. 그냥 읽고 만족하만 말고, 논문을 읽고 난 뒤 피드백을 주고 받으란 말입니다.

2024.03.26

저의 경우엔 논문 두편정도 골라서 계속 읽었습니다. 반복해서 계~~~~속요.

2024.03.26

여러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해당 분야의 입문자로서 어떤 일들이 돌아가고있는지 파악하려면은 뭐든 꼼꼼하게 읽는 게 좋고요, 자주 사용되는 레퍼런스, 연구의 흐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그 외의 대부분 상황에는 목적에 따라 읽어야죠. 내가 해당 논문에서 얻어가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정하고 뽑아내면 점점 효율적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같은 질문에 대한 다른 접근방법을 볼 것인지, 메소드의 디테일을 볼 것인지, 다른 질문을 하고 있는지 등등요.
그리고 번역기 돌려서 보는거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나중에 박사하고 계속 하려면 결국 영어로 소통해야할텐데 스스로 연습할 기회를 차버리는 셈이죠.

2024.03.27

1) 기존엔 무슨 이슈가 있었고, 이 논문은 무엇을 해결했는지
2) 이 논문이 해결한 방법이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검증/증명하였는지
3) 각 그림의 내용이 무슨 뜻이고, 특히 그래프의 경우 왜 그래프를 그렇게 그렸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함

각 논문마다 이걸 명심하여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4.03.27

다양한 의견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