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학위가 정말 인생의 목표에 도움이 되는지..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상황만 보면 그냥 뛰쳐나오라고 말하고 싶지만, 석사 끝내고 취업하실 생각이시라면 좀더 버텨보시는건 어떨까요. 단, 그냥 학부 졸업자로써지원하는 것보다, 석사 학위가 도움이 될 것 같은 경우에 한해서 입니다.
만일 박사도 생각하고 계셨다면, 다른 연구실도 옮기시는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1년이면 그렇게 늦은게 아닌 것 같아요.
IF : 5
2019.02.09
이건 나가는게 익절같아요....
Leo Tolstoy*
2019.02.09
1. 지거국 석사를 해봐야 현실적으로 학계에 자리잡을 가능성은 0에 가깝습니다.
석사를 해서 얻는 거라면 과제등을 통한 인맥형성과 취업시 전공을 살릴 수 있다는 정도인데
그렇다면 차라리 과제를 많이 하는 연구실이 오히려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인건비는 좀 이해가 가지 않네요. 석사는 일반적으로 참여율 100% 채우지도 못하게 하고 채워봐야 월 180만원입니다. 산학의 경우 그냥 연구수당으로 잡으면 되기에 굳이 인건비를 할당할 이유가 없구요. 연구수당도 마찬가지입니다. 굳이 학생에게 잡을 이유가 없습니다.
2019.02.10
Leo story)국가과제가 아닌 일반 기업 과제 통해서 받는 돈이면.... 참여율로 산정이 안되구요 연구수당은 국가과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교수가 100퍼를 가져가지 못해요.. 최대 50퍼인 국가과제가 많기 때문에 석사를 통해 수당을 취득하는거구요
Leo Tolstoy*
2019.02.10
아니 그러니까 일반 기업과제는 교수가 연구수당을 100프로 잡아버리면 그만이니 굳이 저렇게 불법적인 행위를 할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2019.02.10
아니다 싶을 땐 어서 튀는게 길게 봤을 때 이익입니다. 저도 타이밍 막바지에 튀어서 지금은 편입해서 행복하게 잘 살고 있습니다ㅎㅎ학생증만 4개인데요 전.
+)과거 지도교수와 랩장 이거 볼지는 모르겠지만, 나 편입한거 알고는 있는것같던데 그렇게 무시하던 내가 결국엔 면허나오는 학과에 편입했는데 배아프지?ㅎㅎ
2019.02.10
Leo tolstoy) 저희가 기업과제만 하는건 아니죠.. 국가과제도 하는데요 ㅋㅋㅋㅋㅋ 기업과제는 당연히 교수 100퍼를 넣지만 국가과제는 자신이 100퍼를 못가져가니 저희 앞으로 수당을 올리고 가져간다 이겁니다 ㅋㅋ
2019.02.09
2019.02.09
2019.02.09
2019.02.09
2019.02.09
2019.02.09
2019.02.10
2019.02.10
2019.02.10
2019.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