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저만의 연구 분야를 찾으려고 하는데.. 도통 뭘 연구해야 할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탑티어 논문들 나온것도 보고, 인기 많은 국내랩 논문들 나오는거면 거의 대부분 새로운 학습이론 개발을 classification, detection, segmentation쪽으로 가 압도적으로 많던데 이런 연구들이 어찌보면 AI쪽의 핵심, Core AI쪽이라서 연구를 많이 진행한다 보면 될까요?
요새 관심 가지는게 person re-identification이라는 분야인데 뭔가 위의 분야 대비 application 분야 느낌이 강해서 논문을 탑티어 써도 나중에 코어쪽 하신분들 보다 경쟁력이 떨어질지도 걱정이네요.. 너무 신경쓰지 말고 논문 잘 쓸수 있는 분야면 파고들어서 어떻게든 탑티어 뽑아내는게 좋겠죠?..
관련해서 조언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5.10
리아이디 하지머세요 이미 포화됨
대댓글 1개
2024.05.10
리아이디가 이럴정도면 이미 다른 task들도 다 포화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2024.05.10
고인 정도를 넘어 썩은 수준인 re-id 하고 싶으신 이유가? 주제 가릴것 없이 탑티어 논문 쓰기 어렵지만 고전적인 주제는 개인적으로 난이도가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5.10
음.. 뭔가 관심이 가기도 하고 다른 주제들도 어차피 똑같이 포화되었다고 생각해서 그랬습니다. Classification이랑 detection쪽은 연구실 내에서 아무도 안하던 주제라 지식이 너무 없어서 파고들기가 겁나는 것 도 있긴합니다!.
2024.05.10
탑컨퍼 논문 많이 읽어보시면 어느정도 요즘 트렌드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Multimodal 분야 매우 추천합니다. 공부량이 몇배 많아지기는 하는데 그만큼 깊게 판다면 분명 빛을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응용이 가능해서 조금만 새롭게 바꾸면 논문 쓰기 쉬워요.
대댓글 1개
2024.05.10
조언 감사드립니다. 대표적으로 CLIP 같은게 있던데 CLIP을 downstream task에 가서 활용 어느정도 하면 새로운 기술이다라고 주장하는 것 같더라고요. 무조건 쉬운 방향은 아니겠지만 이런식으로 멀티모달 공부해서 연구해보려고 노력하고 있긴합니다!
2024.05.24
연구 분야 고를 땐 니 하고 싶은 거 골라야 하는데 앞으로 잘 될 수 있을지도 같이 생각해 봐야겠쥬?
2024.05.10
대댓글 1개
2024.05.10
2024.05.10
대댓글 1개
2024.05.10
2024.05.10
대댓글 1개
2024.05.10
2024.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