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컴퓨터 아키텍처와 디지털 회로설계 분야

2024.05.13

7

3230

안녕하세요.
대학원 진학 생각 중인 학부생입니다.
컴퓨터 아키텍처를 중심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실들과 디지털 회로설계를 중심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실들을 둘러보았는데,
컴퓨터 아키텍처와 디지털 회로설계라는 분야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충 알겠는데,
각 분야의 연구실로 진학했을 때 정확히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 지에 대해 잘 모르겠습니다.
컴퓨터 아키텍처 같은 경우 ISCA나 HPDC같은 컨퍼에 논문을 내고 회로설계 같은 경우 ISSCC같은 컨퍼에 논문을 내는 것 같은데,
두 연구 분야가 정확히 어떤 차이점이 있고 공통점이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저 같은 경우 디지털 회로설계 쪽에 좀 더 집중적으로 공부해 온 것 같은데..
컴퓨터 아키텍처와 회로설계 두 분야에 모두 관심이 갑니다.

컴퓨터 아키텍처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적 역량도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임베디드 시스템같은 과목은 수강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요소가 발목을 붙잡기도 하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5.13

말씀하신것처럼 디지털회로는 좀더 circuit level로도 연구할 수도 있는 점이 있고 컴퓨터 아키텍쳐는 상위레벨인 컴파일러나 os 레벨까지도 다루는 경향이 있다는점이 있어요 둘다 디지털 로직 알고리즘에 대해 다루긴하는데 레벨이 좀 다른거라 생각합니다

2024.05.14

전 아키 분야 전공했었는데 소프웨어 능력 중요합니다. 디지털 설계도 중요하고요.

아예 회로 관심 있으시면 디지털 회로보다 아날로그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2024.05.14

architecture conf. : ISCA, MICRO, HPCA, DAC
circuit conf. and journals: ISSCC, VLSI, JSSC, TCAS-I/II

Hierarchy:
application
algorithm
architecture
circuit
device

연구 관점에서 정ㅎㆍ정호

대댓글 3개

2024.05.14

연구 관점에서 정확히 architecture level을 타겟으로 한다고 할 때 목적은 동일합니다.

어떤 알고리즘 A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architecture a를 설계하는 것입니다.

ISCA를 타겟으로 할 때는 조금 더 숲을 봅니다. logic 하나 하나에 집중하지 않고, 측정된 PPA를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 연구 측면에선 조금 더 new 한 것을 찾는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ISSCC를 타겟으로 하는 경우는 A를 수행하는 여러 아키텍쳐 중 내가 설계한 a가 1등인지가 중요합니다.

타겟으로 잡는 알고리즘이 꽤 오래됐고 saturation, optimization이 많이 되었다면 칩을 찍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architecture 쪽보다는 circuit 쪽에서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 가성비는 솔직히 칩 쪽이 많이 떨어집니다. 좋은 아이디어를 내는데 2년이 걸린다고 치면,

칩을 설계하고 검증하는데 1년
테이프 아웃 6개월
PCB 6개월
측정 3개월

이런 추가적인 시간이 발생하고 ISSCC 이후 JSSC나 TCAS-I에 논문을 내면 메이저/마이너 리비전에 들어가는 시간이 1년이상 걸리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솔직히 할 게 없습니다.
그래서 칩만 잘 나오면 novelty 가 떨어져도 받아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Architecture 쪽에 내는 경우도 쉽지는 않습니다. 텀이 짧고 박사 재학 기간 동안 트라이를 많이 할 수는 있지만 경쟁이 치열하고 세일즈를 잘 해야 합니다. accelerator 로 논문이 많이 나오기는 하나 뭔가 다른 something 이 있어야 하고 그게 실제로 좋을지 나쁠지는 chip level 로 가서 검증이 필요하겠으나 일단 좋아 보여야 합니다.

2024.05.14

hardware 로 논문을 낼 때 이 정도 차이가 있다는 거고

내가 하고 싶은 주제 따라서 circuit ~ algorithm 까지 폭넓게 오갈 수 있는 것이니

circuit 이냐 architecture 냐 그런 거에 크게 신경쓰지 마시고 논문을 굉장히 폭넓게 쓰고 있는 연구실을 찾아서 가시는 게 좋습니다.

2024.05.15

키야 이분 동종업자의 향기가 나은데?

2024.05.24

하드웨어 설계 공통점 있지만 접근 레벨 달라서 본인 역량에 맞는 연구실 선택하되 소프트웨어 역량도 보완하는게 좋아요 전공이 컴퓨터 아키텍쳐면 저라면 해외 나갑니다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