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가지 제 생각을 나눠드리고 싶네요. (단, 앞으로 학생 수급에 문제가 없을 대학 한정입니다.)
1. 교수 임용은 실력보다는 운과 타이밍입니다. 물론 실적이 뛰어나야 하지만, 다들 뛰어난 사람들이 지원하기 때문에 교수를 뽑는 시점에서 학과에서 가장 원하는 사람이 뽑힙니다. 이건 정말 많은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뭐라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본인이 후회없이 열심히 준비해 오셨다면, 적어도 경쟁자들에 비해 객관적인 실적에서 밀리지 않는다면, 떨어졌어도 크게 실망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운이 안 따랐을 뿐이니까요. 하지만 여기서 멈추면 임용 확률은 0입니다. 계속 도전하셔서 운을 붙잡으셔야 합니다.
2. 처음부터 교수를 목표로 삼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를 비롯해서 많은 교수님들이 원래 교수를 목표로 달려온 것이 아닌데 연구를 계속하다 보니 어쩌다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는 분이 상당히 많습니다. 저같아도 아마 처음부터 교수 임용을 목표로 연구를 해왔다면 스트레스만 받고 초장에 지쳐 나가 떨어졌을 겁니다. 위에 썼듯이 교수 임용은 운과 타이밍이기 때문에 아무리 열심히 해도 안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교수 자체를 목표로 삼지 말고 앞으로 난 어떤어떤 연구를 적어도 국내 최고 수준으로 하겠다는 목표를 삼으시는 것이 오히려 스트레스도 덜 받고 오래 살아남아서 훌륭한 연구자가 되는 비결 같습니다.
3. 돈보다는 연구와 강의에 뜻이 있어야 합니다. 15년간 대학등록금 동결로 교수 월급은 거의 변한게 없습니다. 15년간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다른 직업의 월급이 얼마나 올랐냐를 따져보면, 정말 메리트가 없는 직업이죠. 그걸 보상하고도 남을 재미와 행복을 연구와 강의, 제자 양성에서 찾을 수 있는 성격이셔야 합니다. 아니면 견디시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남들이 못한 연구를 해냈을 때, 제자가 훌륭히 성장하는 모습을 볼 때, 그리고 단 한 명이라도 나를 존경해주는 제자가 있을 때, 인생의 행복을 이렇게 정의할 수 있는 분에게 교수라는 직업은 정말 좋은 직업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4.06.0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내 지도교수는 수당제외 기본급 연봉 1.5억이던데;
대댓글 5개
2024.06.07
대부분 인서울사립 조교수 기본급 8안됨..
2024.06.09
6천도 안되는 곳이 훨 많음
2024.06.09
후크// 계약연봉 기준 대부분 안되는게 아니라 Y 빼곤 싹 다 안됨. 7천 넘는 곳도 별로 없고 5천 안되는 곳도 있음.
성급한 제인 오스틴*
2024.06.09
내 지도교수도 P인데 기본금 1.6억
2024.06.10
이런분들은 학교에 기여한(과제비)가 어마어마해서 기본급이 높아진 케이스임.
신임교수 1년차 연봉은 7천도 안됨
2024.06.07
교수님들이 본인들 직업이 좋다고 홍보해야하는 시대가 와버렸군요 보통 진짜 좋으면 조용히 누릴거 누리다가 누가 뭐라하면 괜히 힘든 척 어려운 척 한번 해주고 약간의 고귀함과 쿨티 내는게 한국인의 습성으로 알고 있는데
대댓글 6개
2024.06.07
글쎄요, 이게 홍보라고 보셨다면 제가 잘못 쓴 것 같습니다^^ (교수의 좋은 점을 쓴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 그냥 교수라는 직업을 꿈꾸는 분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 미리 알면 좋을 것 같은 내용들을 솔직히 쓴 거에요.
2024.06.08
예전부터 유명한 말이 있지요. 판검사는 친구가 좋고, 의사는 가족이 좋고, 교수는 본인이 좋다. 교수 한정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런 것 같습니다. 좋다고 하는데 해봤는데 본인 성격이랑 안 맞아서 그만두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을 뿐, 그들이 그만두든 말든 대부분의 교수들은 크게 개의치 않아요.
2024.06.08
1번항목: 운빨이 필요하다. 2번항목: 교수 목표로 삼으면 ㅈ되는수가 있다. 3번항목: 돈 벌거면 교수하지 마라.
어디에서 교수하라고 홍보한다는거지? 웬만하면 교수말고 딴거도 알아보라 같은데?
2024.06.08
진짜 꼬였네 ㅋㅋㅋ
2024.06.09
누가봐도 교수 앵간해서 하고 싶은 거 아니면 하지 말라는 글인데...이건 꼬인게 아니라 지능의 문제인듯
2024.06.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진짜 ㅋㅋㅋㅋㅋㅋㅋ 수준이 고등학생
2024.06.08
연구와 강의는 물론이고 부에도 뜻이 있는 경우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는게 좋을지요
대댓글 2개
2024.06.08
교수가 대기업 박사들에 비하면 연봉이 적은 편이고, 커리어를 늦게 시작하기 때문에 같은 나이끼리 비교하면 더 적어보여서 그러는거지, 사람들이 불평하는 것처럼 무슨 박봉에 고생만 하는 위치는 아닙니다ㅋㅋ 당연히 고소득 직업이에요. 그리고 교수는 "연봉도 있는 개인사업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적당한 수입에 만족하면서 지내시는 분들도 있지만 반대로 일을 크게 벌이면서 부도 그만큼 챙기시는 분들도 있죠.
2024.06.08
교수되서 창업 성공하거나 투자를 잘하거나.
2024.06.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문서처리같은 잡일이 싫은데 연구는 하고싶고... 근데 연구를 하려면 교수밖에 답이 없나요?
대댓글 1개
2024.06.08
교수에게 문서처리같은 잡일을 하지 않고 연구만 하는 옵션은 없죠
2024.06.08
좋은 글 감사합니다 :)
IF : 1
2024.06.08
이 분야의 누가 돈을 탐할까요? 후려 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만. 누군가 비 전임 신분으로 돈이 부족하다 했다면, 진짜로 부족한 겁니다. 학생들 보다 적게 받고 있는 분야가 있으니까요. 최근 지인이 이제 정말 임용에서 멀어진 것 같아 전문 연구원으로 먹고 살아야 할 것 같아서 PI와 고용금에 대한 이야기를 했더니 그 PI가 돈에 욕심 부리지 말고 연구를 하는 즐거움을 느껴야 하는데, 너는 최근에 연구가 즐겁지 않은가 보다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리를 옮긴다더군요. 편의점에서 일 해서 벌 수 있는 금액을 주면서, 연구의 즐거움을 느끼고 가르침의 즐거움을 느끼라니. 지금까지 공부 하느라 한달 벌어서 학위시절 미래의 나 자신을 믿고 끌어다 쓴 돈을 갚고 현생을 사느라, 돈이 남지 않는 상황에서 노후 대비도 필요한 상황이라 경력 10년치의 적정 급여가 아님을 이야기 했던 상황이랍니다. 이미 나이가 너무 많아서 회사들에서는 받기를 꺼려지는 상황이 되었구요. 월급이 조절 안 된다면, 연구의 행복이라도 느끼고 싶어서 하고 싶은 연구를 제안한 상황이었는데, 그 연구 주제는 다른 이가 가져가고, 엉뚱한 연구 주제를 제안하더랍니다. 과거 니가 관심있다지 않았냐며. (그런 말 한 적 없댔음) 결국 상황을 보니, PI 입맛대로 이 사람을 쓰기 위해 자기 필요에 따라 이 사람을 적은 임금을 주고 결과를 뽑아내려 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여기에서 희망을 가지고 버틴다 한들, 이 사람이 연구 성과를 내서 전임 도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 않네요. 하려면 진작에 그럴 기회를 줬겠죠. 주구 장창 고립되다 도태되고 여기서 병까지 들면? 나가라지 않을까요?
대댓글 1개
IF : 1
2024.06.08
교수님들 임용 가능성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 교환 하시는 걸로들 알고 있는데, 가끔 드는 생각이지만, 그런 단편적인 상황들을 공유한다 한들, 그 사람의 인격과 인품이 과연 판단 되시는 분들이 있으신지 의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인들에게 불리한 정보는 삭제 하고 전달하거든요. 특히 자신이 잘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무슨 이야기를 들으셨던 건지 모르겠습니다마는, 3번의 돈을 이야기 한다는 부분은 내막을 다시 알아보시는게 맞으실 겁니다. 아카데미에서 돈 이야기가 나오는건 어지간한 경우가 아니겠죠.
IF : 1
2024.06.08
"교수 임용은 운과 타이밍이다" => 반만 동의합니다. 대학원생들도 거시적인 변화를 보고 연구 분야를 정하면, 학위 과정 이후 커리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최근 대부분의 전공에서 인공지능과 접목된 연구주제를 정한 대학원생들이 대표적인 예이죠. 물론 미래가 전부 의도대로 흘러가진 않지만, 대략 4년 전에 LLM나오자마자 빠르게 적응한 대학원생들은 이미 기업 연구소나 학교에 잘 안착했죠. 지금은 정점 찍고 내려오는 중일까요, 아니면 아직도 AI+X는 좋은 방향성일까요? 이런 고민을 하는 것은 박사의 커리어상 매우매우 중요합니다.
2024.06.08
좋은 의견들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부 동의됩니다
2024.06.09
한국 교수는 어지간해서 하고 싶지 않더군요...진짜 어지간히 구린 곳 아니면 미국에서 적당한 교수 하면서 붙어있으려고요. 뭐 미국교수라고 좋아보이는 건 아니었지만요 ㅋㅋㅋ
2024.06.07
대댓글 5개
2024.06.07
2024.06.09
2024.06.09
2024.06.09
2024.06.10
2024.06.07
대댓글 6개
2024.06.07
2024.06.08
2024.06.08
2024.06.08
2024.06.09
2024.06.09
2024.06.08
대댓글 2개
2024.06.08
2024.06.08
2024.06.08
대댓글 1개
2024.06.08
2024.06.08
2024.06.08
대댓글 1개
2024.06.08
2024.06.08
2024.06.08
2024.06.09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