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생물정보학과 컴공 복전

2024.06.08

11

929

안녕하세요 지방대 생명관련 학과 2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제가 최근 인공지능과 생물정보학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ai를 활용한 신약개발까지 흥미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때문에 생물정보학 융합전공을 하고 있는데요, 후에 석사를 생물정보학 실험실로 들어가고자 할 때 컴퓨터 관련 지식이 얼마나 필요한 것인지와 컴공 학사가 필요한지가 궁금합니다.

컴공 복전을 해서 졸업장도 따고 융합전공보다 조금 더 딥하게 배우는 것이 좋을 지 아니면 개인적인 공부를 통해 충분히 어필이 될 수 있는 부분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06.08

지거국인가요? 지거국이면 저희 과 같은데 사실 주전공이 Bioinfomatics로 잡겠다 하면 전산 생물학을 주로 하지 않는 이상 그냥 tool을 이용하는 성격이 훨씬 강해요. 컴퓨터에 엄청 흥미가 많고 더욱 배워 그런 툴들을 개발하는 쪽으로 가고 싶다면 컴공복전도 추천하지만, 생물정보학 실험실을 위해서라면 굳이? 싶긴 합니다. 저희 학교시라면 차라리 연계전공을 추천드리고 싶네요

대댓글 6개

2024.06.08

정성스런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생물정보학 관련 공부를 하셨나요?
하나만 더 여쭈어보고 싶은데 만약 컴퓨터학과에 있는 생물정보학 실험실을 가고 싶다면 컴공 복전을 하지 않고서는 한계가 있을까요?

2024.06.08

ㄴ 넵 전 지금 생물정보학, 전산생물학 같이 하는 곳에서 석사 과정 진행중입니다. 말 그대로 컴공에서의 생물정보학 연구실이면 툴 이용보다는 툴 개발 쪽 일 것 같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할 줄 아는 능력을 메인으로 잡고 가는 연구실 같습니다. 그런 곳에서는 복전하지 않고서는 힘들죠.. 물론 자세한건 그 랩실 사이트에서 research 부분 참고해보시면 대략 어떤 연구하는지 감이 오실겁니다!

2024.06.08

그렇군요.. 케플러님은 생물정보학 석사를 진학하실 때 따로 관련 전공을 추가로 하시거나 관련수업을 들으신 것이 있나요??
그런게 아니어도 석사진학에 문제가 없으셨는지 실례가 안된다면 대학원에서 어떤 연구를 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요즘 진로에 대한 고민이 많아서 질문이 자꾸 늘어나네요 죄송합니다;;

2024.06.08

저는 사실 학교를 제일 처음 들어올 때 컴공이었습니다. 2학년때까지믄 어찌 어찌 남들과 비슷하다 생각했는데 2-2학기부터 도저히 안 맞는다고 생각하여, 개발자보다는 데이터 분석가가 되어보자 결정하고 마침 그때쯤 ai학과가 신설되어 ai 수업도 들어보니 재밌더군요. 그래서 교수님한테 상담을 받으니까 사실 인공지능을 위한 인공지능은 잘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조금 힘든길이 될수도 있다. 라고 말씀해주셔서 인공지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도메인을 찾기를 시작했고 그게 의료, 아니면 생물쪽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하여, bioinformatics 전공을 복수전공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저는 인공지능을 생물 도메인에 적용시키시 위한 여러가지 workflow와 기존 오믹스 데이터들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툴 성능 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새로운 툴들을 만들고 있고, 가장 최근에는 생물쪽도 건들면서 단백질 네트워크도 만들고 있습니다.

2024.06.08

저는 취미로 시작한 파이썬에서 흥미를 느껴 데이터 분석 분야를 알아보다가 생명과 관련한 데이터 분석 분야에 생물정보학을 알게 되었습니다.
최근 인공지능 수업을 들으면서 또 ai신약개발에 대한 기대감도 더해져 인공지능을 이용한 생물정보학에도 관심이 생겼는데요, 아무래도 컴공이 제 주전공이 아니고 컴공이라는 분야가 워낙 고인물(?)이 많은 분야이다 보니 진입장벽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툴 개발 쪽에도 흥미가 있어서 케플러님 말씀대로 컴공 복전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처음 bioinformatics 전공자와 얘기해보는 기회라 귀찮게 자꾸 질문한 것 같은데 바쁘신 와중에 정성스레 답변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2024.06.08

아 궁금한 것 하나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
케플러님 생물정보/전산생물학 실험실은 컴공 실험실인가요? 컴공 실험실이라면 컴공 전공자가 아닌 사람도 있나요?

2024.06.08

너무 늦게 봤네요 죄송해요.. 저는 컴공 실험실은 아니고 생명과학대학 소속이지만 저희 생과대 안에서 대학원이 일반 생물과학 대학원 / BIO AI 대학원으로 나뉘어 저는 bio ai 대학원 소속입니다. 저희는 wet, dry 같이 하는 랩이라 65% 정도는 생명관련 전공, 나머지는 컴공 전공 사람들로 섞여있습니다. Bio와 ai 관련된 대학원 찾을 때 정말로 그런 툴들을 개발하는 곳인지 잘 알아보세요. 사실상 저희 대학원도 제대로 툴 개발하는 곳은 제가 속해있는 곳 한 곳 뿐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6.10

그렇군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2024.06.09

아마 대학이 유추가 되는데

연계전공 하셔요

많이들 꺼려하지만 윗분 말대로 툴로써 체득하기에 훌륭랍니다

대댓글 1개

2024.06.10

조언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