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컴공 비전공자 석사 지원

2024.06.19

10

1961

컴공 비전공자이고, 학부 때 챗지피티에 매우 크게 의존해서 실험 환경 구현 및 분석을 진행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1년 뒤 컴공과 연구실 석사 지원하려고 생각 중인데, 연구 분야는 제가 학부때 진행해본 주제랑 비슷하고, 사용하는 툴도 비슷하고,
특히나 지원하려는 연구실 교수님도 원래 전공이 저랑 같으셨어서 그런지 저랑 같은 전공 학생도 뽑는다고 되어있더라고요.

컴공과로 전과하고 싶다는 생각보다는 사실 해당 연구실의 연구 분야가 너무 매력적이어서 가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었습니다.

근데!! 가장 큰 문제는 제가 컴공출신도 아닐 뿐더러 프로그래밍 언어라고는 파이썬 조금에 C#조금... 그것도 AI에 의존해서 하는 수준인데, 이런 제가 여기 석사로 지원해봐도 괜찮을까요? 입학 후 적응할 수 있을 지도 의문입니다.

아직 기한이 1년 남아있는 상태이긴 한데, 만약 가능성이 있다면 지원해보고 싶습니다만
가능성이 안보인다 하면 깔끔하게 포기하고 다른 연구실을 고려하려고 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6.19

학부는 어느 라인이시고, 학점은 얼마나 되며, 가고 싶은 대학원은 어느 학교인지 알려주세요. 코딩 실력은 실험을 진행할 수 있는 정도면 되고 프로그래밍 실력이 중요하진 않습니다. 연구 아이디어를 내고 실험하는, 즉 연구를 하는 곳이니까요.

대댓글 4개

2024.06.19

답글 감사합니다. 학부는 정확히 말씀은 못 드리지만 ㅠㅠ 서성한중경외시건동홍 중 하나고, 성적은 4.2/4.5, 대학원은 더 상위권 대학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 과에서는 정말 필수적인 프로그래밍 스킬만 배우고 있다 보니 입학 후 전공 수업들이 어쨌든 컴공과 수업이기 때문에 따라가기 어렵지 않을까 하는 의문도 있고, 연구실 학생분들께도 제 부족함으로 인해 혹시나 폐(?)를 끼치지는 않을 지 걱정되는 마음이 있습니다...

2024.06.20

건동홍 중에 하나시겠네욤... 일단 프로그래밍 실력이 없으면 랩에서 무시당하실수도 있어요. 혼자서 실험진행하는거면 상관없는데 같이 협업할때 코딩 개판으로 짜놓으면 실력이 그대로 보여서요. 지피티는 돌아가게는 해주고 참고로 하는건 많이 좋지만 효율적으로는 짜주지는 않거든요. 알고리즘 공부하시고 백준이나 leetcode가셔서 연습하시는게 좋을거같네요.

2024.06.20

개인적으로 AI ML CS 이쪽은 학부 지식이 크게 필요는 없는것 같아요. 물론 os쪽이나 기계어 수준까지 low level로 내려가서 실험하는거 아닌이상에야 연구하는데는 크게 기초지식이 필요하지는 않는거 같거든요. 다른 엔지니어링이나 자연계열에 비하면요. (물론 필요하긴합니다!) 열심히하시면 따라갈수 있지않을까요

2024.06.20

도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실험을 정확히 어떻게 진행하게 될 지, 연구실 교수님께서 어떤 능력을 어느 정도까지 원하시는 지에 대해서는 연구실로 직접 연락 드려서 확인하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연구실의 publication 중 일부는 제 전공에서도 자주 진행되는 연구 분야여서 (물론 결론이 어디에 포커스가 되어있는가가 조금 다릅니다)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 같습니다. 좀더 알아보고 후회없는 결정 내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2024.06.20

컴공이 코딩만 하는과는 아니죠.
근데 학부기초도 없는데 어떻게 연구를 하신다는거죠

2024.06.20

분야가 AI 관련이면 코딩 못해도 됩니다. 알고리즘이어도 코딩 못해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그 외는 어려울 것 같네요.

2024.06.20

chatGPT로 실험한게 진지한 실험이었다고 생각하는 거임..?

2024.06.20

AI 분야 중 HPC or performance 프로그래밍 or 컴파일러 관련 분야 아니면 솔직히 프로그래밍 실력도 그렇게 많이 필요 없습니다.

저도 중위권 지거국에서 타전공으로 ky ai연구실 다니고 있습니다. 1년 정도 남았으니 지금부터 필요한 내용 열심히 공부하시면 됩니다.

다만 관련 타전공 수강을 하나도 안했다면 선수과목 폭탄 맞을 수 있으니 지금이라도 선수과목 수강하시거나 대체 요건에 대해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5.05.10

저 혹시 어떻게 준비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