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에선 그리 큰 차이가 아닐지 몰라도 대학원 레벨에선 SPK>>>>>>>>>>>>>>>>>>YKISTSSH 정도입니다 갈수만 있으면 SPK 가세요
2024.07.02
Spk
2024.07.02
전 다르게 생각합니다. 일단 랩바랩이고 학부 간판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구요. 학부가 같다는 전제 하에 SKP 나와서 논문 적은 것보다 YK 나와서 좋은 연구하고 논문 많이 쓰는게 교수가 되든 취업을 하든 훨씬 더 유리합니다. 즉 실적이 우선입니다.
2024.07.02
YK vs SSH 이면 랩실보고 결정하라고 하겠지만,
SKP는 그냥 뒤도 돌아보지 말고 SKP입니다.
2024.07.02
저라면 현재 설명 기준으로 석사-SKP 박사-YK
대댓글 1개
2024.07.02
저도 여기에 한표요. 석사면 간판따라 skp, 박사 생각 있으면 논문이 우선이니 yk 인기랩요.
2024.07.02
spk
2024.07.03
선택은 본인이 하는겁니다만, 우려되는점만 말씀드리겠습니다. 학부생때는 사실 잘 모르기에 본인이 원하는 연구가 확고하다 이런것은 정말 주의하셔야 됩니다. 하다못해 트랜드 따라서 본인이 박사학위 받았던 주제 말고 다른연구를 메인으로 하는 교수/연구원들도 많습니다. 근데, 학부생 수업 혹은 아주 조금의 정보만으로 "난 이 연구에 관심이 커" 이런것은 상당히 주의해야 됩니다. 한 예로, 저는 기계공학과를 나왔는데 진동학을 배우면서 재미있어하는 한 학생이 진동/소음 관련 연구실만 가고싶다고 해보죠. 근데 현실은 이미 진동/소음 분야는 고인 분야며 최근 저가형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이 나올 정도로 상용화가 됐기에, 석박사하면서 연구할수 있는게 상당히 어렵습니다. 제 주변에서는 그래소 진동/소음하는 친구들도 어플리케이션 위주로 겨우 논문 한두편쓰고 졸업한 경우가 많아요. 본인이 정말 해당분야에 대해서 잘 알고있거나, 트랜드에 대해서 잘 알고있다는 확신이 없으시면, fit한 연구 100%/70%는 상당히 위험한 발상입니다. 그냥 실적잘나오거나, 주변 선배통해서 해당연구실 평판/분위기 등 정보 얻고 끌리는곳으로 가세요.
대댓글 1개
2024.07.03
그리고 본인의 진로가 뭔지 몰라도, 보통 졸업생 선배들의 진로를 그대로 쫓는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실적도 사실 면밀하게 봐야할것이, 학생규모가 몇인지, 해당연구실 구성원이 주저자로 쓴 논문인지, 대체로 박사졸업생들의 수준이 어떤지 등등을 보셔야 됩니다. 저는 spk에서 학위받았는데, 옆랩 교수는 인용수도 3만에 누가봐도 좋은저널을 많이 쓰는 곳입니다. 근데 좀더 면밀하게 보면, 특정 1-2명이 좋은논문을 몰아서 쓴거고, 다른박사과정들은 평균적으로는 적당한 저널 1-2편만쓰고 졸업하는 분위깁니다. 또한 교수가 임용된지 얼마안됐을경우, 본지를 쓰더라도 사실상 본인이 포닥때 연구한것이거나, 아니면 전소속기관에서 공저자로 참여한 정도도 많습니다. 이런 모든것들을 볼때 실적도 단순히 편수/인용수/저널퀄리티처럼 단편적으로 보기보다는, 좀더 세부적으로 보시는게 필요합니다.
2024.07.02
2024.07.02
2024.07.02
2024.07.02
2024.07.02
대댓글 1개
2024.07.02
2024.07.02
2024.07.03
대댓글 1개
2024.07.03
202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