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졸업할때 보통 돈 얼마나 모으나요?

Yeong-sil Jang*

2020.07.28

14

14458

박사3년차이고 20대후반인데, 졸업할때 30일가능성이 큽니다.

끝나고 바로 포닥준비를 할 계획인데, 보통 박사까지 할때 어느정도 모아두는지 궁금해졌네요.

인건비는 상대적으로 풍족하게 받는편이며 (장학금포함 평균 250정도?), 집안이 어느정도 여유로워서 우선은 돈모을생각안하고 풍족하게 쓰면서 살고있는데.. 취업한 친구들이 꽤많이 결혼하니까 저도 정신차리고 돈좀 모아야겠다고 생각되네요..

포닥갈거라서 당장 집값이 필요하진 않겠지만, 여자친구랑도 박사학위끝나고 거의 바로 결혼하고 해외포닥 어플라이해서 같이 해외로 가는것을 말해둔 상태이긴 합니다. (물론 가봐야 알겠죠)

지금까지 돈모은거로 차1대(중고차로 구매 시 2000정도)와 통장에 천만원가량 모으긴했는데,, 이제부터라도 좀 빡세게 모아야될까 싶네요.

결혼생각때문에 점점 돈에 대한 압박감이 확실히 늘어가네요.. 그렇다고 부모님께서 집을 장만해주실정도로 금수저는 아니라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0.07.28

저도 박사 3년차인데 통장에 천만원정도 있네요. 차는없습니다. 같이 해외포닥기면 여자친구 커리어는 어떻게되나요?
Yeong-sil Jang*

2020.07.28

여친 약사에요. 아직 일년넘게 남아서 잘은모르겠는데, 가서도 할수있는 직업을 같이 찾아보기로했어요.

IF : 5

2020.07.28

모아야 할 돈을 수입에 맞추지 말고 어느 정도 필요할지 견적부터 뽑아보시죠. 거기에 최대한 맞추시는 게 제일 효과적일듯 합니다

IF : 5

2020.07.28

저라면 차부터 팔 것 같습니다. 차 팔아봐야 포닥이나 결혼 준비하는덴 티끌이지만, 지금은 그 티끌도 없으신것 같아서요. 중고로 2천이면 수입이나 모아둔 것에 비해 좋은 차 뽑기도 하셨네요.

2020.07.28

포닥갈때 초기정착비만 있으면 됩니다. 애초에 얼마 모으기도 힘들고 돈모으는게 목적이면 포닥가는게 제일 미친짓.
어지간한 국가는 배우자 같이가서 일 하는거 힘듭니다. 배우자비자로 노동 허가나오는 국가 별로 없습니다. 여유있으면 진학이 가장 무난합니다.

2020.07.28

1억 3천 모았고, 빚은 3천정도 되네요

2020.07.28

ㄴ 어떻게 1억 3천은 모았냐면,
0원부터 시작해서,
석사때 월급은 180, 박사때는 250이었습니다.
석사때 120*12(개월)*2(년) = 거의 3000만원
박사때 200*12(개월)*4.5(년) = 거의 1억
뭐 이렇습니다 ㅎㅎ
Yeong-sil Jang*

2020.07.28

포닥은 인생에서 해외 메이저기관에서 2년정도 장기간 연구할수있는 마지막기회라 생각도되고 나이도 어느정도 빠른편이라서 가려고 합니다.
굳이 임용에 큰 뜻은 없지만 좋은 기회일거라 생각되고, 돈벌려면 바로 취업을 하겠죠.. 그냥 포닥을 다녀온 이후에 한국올때 어느정도 있어야하지 않을까해서 생각됩니다.
차팔라는 말은 좀 예상치못했네요. 집안이 어느정도는 유복한 편이긴해서 부모님은 지원해줄테니 더 좋은차 사라고 권유하신걸 제돈으로만 사려고 무난한차 산건데... 사실상 중고차긴한데 키로수 낮은 새차급으로 산거라서 그렇게 비싼차는 아닙니다.
졸업할때까지 대충 4천정도는 모을수있을것 같은데, 사회초년생으로는 부족하진 않겟죠..?
Yeong-sil Jang*

2020.07.28

그나저나 윗분은 정말 착실하게 사셨네요.. 저는 쓸것 다쓰면서 남는것들만 어찌저찌 모으는 느낌인데..
대단하시네요!
Adolf Windaus*

2020.07.28

돈 벌고 싶으면 스위스나 노르웨이로 포닥가면 됨. 거기서 3년정도 포닥하면 1억 넘게 모음.

인건비 250받는데 1천만원 모은거면...소비가 학생치고 엄청 많은거같은데. 인건비 250 받기도 힘들고 보통 100-150만원인데.
Yeong-sil Jang*

2020.07.28

ㄴ차살때 돈깬거라서 실질적으로 3천오백가량 모은거긴 했어요.
뭐 일년에 주택청약 120에 보험료 140 등록금기숙사 400가량 빠져나가는 돈들도 있긴해서..
소비는 확실히 적게쓰는편은 아닌것같아요. 보통 한달에 백정도는 사용하는것 같네요.

2020.07.28

ㄴㄴ 스위스가 월급은 많이 주지만 생활비가 장난 아닐거에요. 얼마전 모 정치인 아들도 학비가 아니라 생활비땜에 욕먹었을걸요? 노르웨이 등 북유럽은 학비 무료거나 저렴하고 복지 좋지만 거기도 물가 장난 아니고, 자국 학생아닌 외국학생들은 어려운걸로 아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가요?
Adolf Windaus*

2020.07.28

Dante Alighieri // 생활비 장난 아니지만 그에 비례해서 많이 줌. 따라서 일정 %을 세이브 했을때 분모가 커지니까 저축량도 늘어남.

게다가 스위스가 유독 postdoc에 대한 지원이 좋음. 박사과정은 포스닥 급여의 60%밖에 안함. 혼자살면 2년이면 억대로 모음.

남부유럽은 진짜 우리나라보다 금전적으로 못함. 독일은 우리나라보다 약간 많은 수준.
Yeong-sil Jang*

2020.07.29

흥미롭네요. 유럽에도 epfl 등 좋은 학교많으나, 아마 저희분야에서는 미국아니면 굳이 안가지않을까 싶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