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저자와 Acknowledgement의 기여도

2024.07.27

12

938

논문 작성하는데 어느정도 기여를 해야 공저자를 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07.27

꽤 많은 도움을 줘야함

2024.07.28

공저자가 될만한 정도의 기여

2024.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보통 CReDiT 인가? 아무튼 거기 나오는 목록에서 하나라도 체크되면 가능하다고봄

내의견임

대댓글 2개

IF : 1

2024.07.28

ㅋㅋㅋㅋㅋㅋ와 이런거면 나 몇 개의 논문에서 내이름이 빠진건지 가늠이 안 되는데..

2024.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현실적으로 이슈화가 안되는게, 공저자는 실적인정도 안돼서 별로 문제가안됨..ㅋㅋ

2024.07.28

명확하게 정해진 기준은 없습니다. 저는 단순 구현이나 실험이 아니라 연구 방향에 대한 토의를 함께한 사람들을 저자에 넣습니다. 구현과 실험을 도와준 사람들은 ack에 넣고요.

대댓글 4개

2024.07.28

실험해서 Figure 만들어준 사람을 Ack로 넣는다고??

2024.07.28

네, 그런데요??

2024.07.29

보통 반대아님??

2024.07.29

분야마다 다르죠. 이론에 가까운 분야에서 실험은 논문에서 증명한 이론의 실제 효용성을 확인하는 정도에요. 필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기여가 크지 않습니다.

2024.07.28

이건 어느사람에게 배웠는지에 따라 기준이 달라집니다. 볼트 하나라도 갖다줬으면 공동저자에 넣는 연구실도 있고 (안타깝게도 이런랩이 꽤있죠), 아니면 정말 충분한 기여도가 없으면 acknowledgement에만 넣는랩도 있습니다. 보통 전자의 경우 acknowledgement는 그냥 funding statement 만 넣는곳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꽤많습니다.

2024.07.28

본인이 Figure 하나 최종으로 만든 사람을 저자로 넣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