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피직스 하고 싶어서 들어왔는데 이 랩에서 사수-부사수 한 조는 계속 바이오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는거 같습니다.
근데 그게 제가 됐어요 튀어야 하나요..?
뭔지도 모르는 생물학 용어 공부하고 있고 세포 키우고 있는 현타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08.19
요즘은 기공에서도 바이오 꽤 많이하는듯?
2024.08.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계공학과 대학원중에서 기계하는곳이 어디있음?
2024.08.19
근데 바이오가 또 먹거리임..사람이 살아있는 이상, 바이오라는 줄은 끊기질 않음. 글쓴이가 판단을 하면 됨. 1) 분야가 안 맞아서 튀거나 2) 안맞아도 미래 전망을 보고 견디거나
2024.08.19
(spk) 10년 전부터 핫 했어요...
대댓글 1개
2024.08.19
전부터 -> 전에도
2024.08.20
기계과에서 바이오하면 튀어야 하는지 ? -> 당연히 아닙니다 본인이 싫어하는 연구를 하게됐으면 튀어야 하는지 ? -> 본인판단입니다.
요즘에는 모든 학과가 융합학과처럼 다방면 연구하면서 다만 본인전공의 강점을 살리는 느낌이 강합니다. 기계과에서는 하드웨어 설계나 제어쪽에 강점이 있기에, 다양한 연구를 할때 이런 강점을 살려서 연구하게 되고요. 순수 바이오학과에서 하는 연구와 자세하게보면 방향성에서는 차이가 있을겁니다.
2024.08.20
바보야
2024.08.20
그렇게되면 평생 튀면서 살아야할듯. 회사에서도.
2024.08.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ㅌㅌ 어차피 님 같은 사람은 연구해서 성공하지 못함.
2024.08.20
하늘이 준 기회일수도 있고, 세상 하기 싫은 거 해야하는 만병의 근원이 될수도 있고. 그것은 받아들이는 사람의 태도에 달림. 기계베이스로 바이오한다면, 조금만 아이디어 잘 내도 IF 몇배되는 논문 내는 기회들 많아질 수 있음. 근데 창조의 고통과 새로운 배움이 계속 따르겠지... 님의 선택임
2024.08.21
튀고 다른 곳 가면 거기서도 이상한거 시키면 또 튈꺼임? 그럼 또 다른곳 갔는데 님이 원하는거 안 하면 또 튈꺼임?
2024.08.21
개인적인 견해로는 안하는게 좋습니다. IRB 부터 잡무가 너무 많아요. 튄다라기 보기 다른 테마를 잡도록 해보세요.
2024.08.19
2024.08.19
2024.08.19
2024.08.19
대댓글 1개
2024.08.19
2024.08.20
2024.08.20
2024.08.20
2024.08.20
2024.08.20
2024.08.21
202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