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전만의 문제이지 않을까 희망회로 풀가동했는데 아닐거같다 그룹사 전체가 아사리판 나는중인거같다
간절하게 이건희 회장님이 돌아오셨으면 좋겠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5개
2024.10.21
내 80만 원 내놔,,,,,,삼성전자 이 나쁜것들아
대댓글 5개
2024.10.21
물렸니
2024.10.21
엉,,,,이게 뭐람 ㅋㅋㅋㅋㅋㅋ
2024.10.21
몇층이십니까
2024.10.21
73인데, 이거 언제 오는건데ㅋㅋㅋㅋㅋ 아 경영진들 진짜 좀 잘해봐봐 이건 아니지
2024.10.21
ㅋㅋㅋ73층이면 최악은 아니네 그런데 이부진 누나가 힌트줄때 팔았어야지 그 눈치론 앞으로 국장하지 말도록. 80만원이면 수업료 적게 낸 편이다
2024.10.21
논문 쓰는 법에 대한 교보재네
대댓글 6개
2024.10.21
논문 저렇게 쓰시면 박사 10년쯤 하십니다
2024.10.21
"이 분야를 처음 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게 논문을 써라"에 해당하는 부분은 처음에 주석 다는것까지만. 이후로는 논문의 내용과 뉘앙스, 논리 구조를 아예 뒤틀어버리는 내용에 해당하기 때문에 논문 저렇게 쓰면 PI한테 혼남.
2024.10.21
혼내다는 표현은 너무 점잖은듯 우리 지도교수였으면 살아있음을 후회할 정도로 갈굼
2024.10.22
아니 글쓴이가 쓴 글이 교보재라고
2024.10.22
공감합니다. 김박사넷에 글 쓰신 분의 글이 재밌게 잘 쓰여있네요.
2024.10.22
왜 교보재인진? 모르겠지만 고마워?
2024.10.22
스티브 잡스는 S급 인재들 위주로 사람들을 채용하려고 분투했는데, 삼전은 주변 물박사들 다 데려가는걸 보면서 한참전부터 인재를 데려가는데 분별력이 없다는게 느껴지더라
대댓글 5개
2024.10.22
삼성에 인재가 없다고 말하면 한국엔 인재가 없는것이 되니까 그정돈 아닌거같긴합니다
2024.10.23
대부분 주요 인재들은 학계에 남거나 해외기업에 취직함. 주요대학 교수 못되는 물박사들이 빅테크 가기는 어려우니 국내대기업 안전빵으로 고려하는거 팩트잖어
2024.10.23
냉정하게 말해서 국내 대기업에서 박사급 인력이랍시고 데려간 주변에 있는 물박사들 중에서 학부졸업생보다 별로 나은점이 없는 사람들도 많았는데, 학부졸업생들은 나이가 어리다는 장점이라도 있지, 고연봉에다가 나이 많고 아는것도 별로없는 사람들을 그렇게 대접하는게 잘 이해가 안가.
2024.10.23
그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인것 같긴한데. 물론 저색기 박사 어떻게 땃지 싶은애도 있긴 있지. 그런데 삼성에 있는 사람들은 그정도 개판은 잘 없음. 똑똑하고 한데 그냥 회사 방향성이 일 안해야 승리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게 문제임. 마치 게임이론처럼 말이지
2024.10.24
삼성에서 박사가 다른 분들보다 연봉이 높을 거라 막연히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데.. 삼성에는 연봉 캡이 있고, 이건 박사가 아니더라도 오래 근속한 사람들은 도달합니다. 비슷한 나이대에 박사졸신입보다, 학부졸업후에 취직한 사람의 연봉이 높은 경우도 생각보다 있고요.
그런 상황에서 박사만큼 일하지도 않으면서 박사보다 연봉은 많이 받고, 무슨 일만 생기면 박사탓 하는 사원들 때문에, 잘하는 박사는 대부분 나가려고 하고, 열심히하면 잘 할 수 있는 박사 (잘 하던 박사) 더라도, 의욕이 떨어져서 대강대강 다니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2024.10.22
이런글 이재용 회장이 보셔야 하는뎅. 역시 추락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구나.
대댓글 1개
2024.10.22
음....
2024.10.23
윗분들 나이대가 노인네들인데 최첨단 기술 내용관련 용어쓰면 이해를 못함. 반도체 제조회사인데 누구나 이해할수 있는 용어로 바꿔야 보고서가 올라가는것으로 알고 있음. 기획보고서 아니더라도 장비하나 구매하는데 문장하나하나 신경쓰던 수석님 생각나네. 스펙트로미터가 뭐냐고 쉬운 말로 다시 작성하라고. 그게 2018년도때였음. 한창 잘나갈때
대댓글 4개
2024.10.23
사우님이세요....?
2024.10.25
그만둔지 오래되어서. 지금은 다른일 함
2024.10.25
무슨 일 하시는지... 저도 요즘 고민이 많습니다
2024.10.25
그 윗분들 모시다가 현타와서 내가 윗분이 되어야 겠다고 맘먹고 연구소장 일합니다. 윗분들 특징 당장 앞에 벌어지는 일만 해결하려고함. 큰그림은 그릴필요없음. 당장 벌어진 문제만 해결함. 문제해결가능한 인재만 등용하니 사원들 뭣같이 대접함. 글서 과연 나는 어떤 윗분이 될수 있나 고민
2024.10.24
나 지금 화웨이 독일연구소 다니는데, 여긴 전반적인 업무경험 없으면 높은 자리 못올라감. 즉 기술적인거 못알아먹으면 임원 못됨. 높은 메니저 되려면 타부서 로테이션 다 돌고 나야 됨. 물론 급여(레벨과 연동됨)와 메니저 여부는 다른 얘기임. 레벨 더 낮은 사람이 더 높은 사람의 메니저가 되는 경우도 흔함.
대댓글 3개
2024.10.25
화웨이라니ㄷㄷㄷ 연봉 레벨이 다른가요?
2024.10.25
이렇게 가는게 맞는 방향이지. 박사급 전문성까지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기술적인 큰 그림에 대해서는 이해하고 있어야지
2024.10.27
화웨이는 제도가 좀 다르더라구요. 레벨이 보통 연봉과 연동되는데, 박사신입은 15나 16레벨 에서 시작해서 19 부터 expert로 분류되는데, 이게 한국으로 치면 연구위원정도 되는것 같아요. 레벨과 메니져 유무가 좀 따로 놀아요. 제일 작은 조직인 팀 메니져급은 팀 내에서 나오지만, 그보다 상위 메니져 갈려면 다른데 로테이션 돌아야함. 유럽에 화웨이 연구소가 수십개 있는데, 보통 연구소장이 레벨 21 전후예요.
2024.10.25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표현하는 것은 좋은 것 같은데? 이걸 초딩이라고 비하하는게 이해가 안간다. 회사 보고서가 논문도 아니고, 그리고 연구자들도 자기 분야 아닌 바로 옆 분야도 논문보면 생소한 용어도 많고,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르는데?
대댓글 3개
2024.10.25
그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게 웹사이트->홈페이지 이거임?ㅋㅋㅋㅋㅋ 본문을 잘 읽어보십쇼 타분야 논문 용어 레벨이 아닌게 문제야.
2024.10.25
지금 저 블라인드 글에서는 예시를 든거고, 실제 보고서가 어떤 정도 수준의 주제인지는 모르는데, 웹사이트->홈페이지라고 해도 잘 모르는 사람이 있으면 쉽게 풀어 써주는게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함. 아무튼 내 생각은 삼성 고위직들이 잘한다는 게 아니고, 문제가 있기는 한 것 같은데, 보고서를 알기 쉽게 쓰는 것이 문제의 본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것임.
IF : 1
2024.10.27
해당 분야에서 기술 보고받는 인간이 분야 전문용어를 모르면 공부하는게 당연하지. 그걸 다 풀어서 설명하라고 갈구면, 그게 tier 1기술업체임? 쉬운 용어로 설명하면 초딩도 반도체 공정을 알아먹나? 결국 의사소통의 효율성과 정확도가 개망하는 거임.
2024.10.21
대댓글 5개
2024.10.21
2024.10.21
2024.10.21
2024.10.21
2024.10.21
2024.10.21
대댓글 6개
2024.10.21
2024.10.21
2024.10.21
2024.10.22
2024.10.22
2024.10.22
2024.10.22
대댓글 5개
2024.10.22
2024.10.23
2024.10.23
2024.10.23
2024.10.24
2024.10.22
대댓글 1개
2024.10.22
2024.10.23
대댓글 4개
2024.10.23
2024.10.25
2024.10.25
2024.10.25
2024.10.24
대댓글 3개
2024.10.25
2024.10.25
2024.10.27
2024.10.25
대댓글 3개
2024.10.25
2024.10.25
2024.10.27
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