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경외시 건동홍 같이 묶는건 처음보네.. 그 셋 대학원만 의미가 있으면 다른 곳에서 연구하시는분들은 헛짓거리하는건가요? 당췌 공부가 하고싶은건가요 학벌세탁 학점세탁이 하고싶은건가요? 잘생각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4.11.20
고민 많이했어서 열심히 할 자신은 있습니다..! 학점세탁이 공부안하고 될 것 같지 않아서요.
2024.11.20
석사만 할거면 자대가서 내공 쌓으시고 졸업하세요. 다른 대학원도 충분히 의미있습니다
2024.11.20
관심있는 분야의 자대 실험실의 분위기부터 파악하는게 먼져일거 같은데요.
2024.11.20
여러명이 한자리 놓고 박사 여럿이 경쟁할 때, 정말 차이없이 다 비슷하면 가장 마지막으로 보는게 박사 학위대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별로 영향 없다는 뜻이지만, 만약 고려한다면 어디 학부 나왔는지 보다도 우선순위가 낮아요.
2024.11.20
SKP AI 석사했는데 느낀 점은 학화에서 해외 연구자 SKP 모름 그나마 K 간간히 아는 정도. 해외 기업 취업: SKP여도 연구실 줄 없으면 연구 실적이 엄청 뛰어나지 않는 이상 박사여도 링크드인으로 아무리 보내도 답장도 안 옴. 보통 해외 박사 보내줄 수 있는 곳에서 석사하고 해외 박사로 가서 취업. 국내 대기업: LLM 모델 만드는 사업은 거의 다 접음. 해외는 계속 채용하고 잘 나가는데 국내는 채용 freeze. 연구 및 사업 그나마 잘 하는 곳이 해외 국내기업 제외 삼성 카브(사라짐) LG AI 네이버 SKT인데 2곳에서 일해봤는데 거의 다 SKP이긴 함. 국내는 학벌좀 좋아하는 거 같음. 근데 AI라고 더 특별히 대우해주지 않음. LG AI는 좀 더 주는데 저기 다 비슷비슷한 정도. 다들 해외 부러워하면서 해외 탈출각 보는 중임... 되게 밖에서 보면 좋아보이나 실제는 해외 못 가면 되게 암울하고 교수님들도 국내 AI life span을 길게 보지 않음... 사실 석사만 하고 국내 취업할거면 그냥 학졸 취업이 나은 듯.. 저는 요 분야 박사 지금와서 하는 것도 맞나? 의문이 듦.
대댓글 2개
2024.11.20
결론은 국내에서는 skp 좀 의미가 있는데 해외는 별로 안 중요함. 다만 국내에서 ai 특별 대우는 없음.
2024.11.20
실적만으로 쇼부 볼 거면 박사를 해야함
2024.11.21
말씀하신 목표 대학 중 한 곳에서 일하고 있는 교수입니다. 글쓴이분께서 인서울 중위권이라고 말씀하셨는데요, 학부 출신 대학 자체는 문제가 아니지만, 학점이 3점대 초반이라면... 졸업을 늦추시고 학점을 보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서류 전형을 통과한 학생들의 평점 분포를 감안하여 조언 드립니다.
2024.11.21
박사는 실력과 실적이 가장 주요 포인트지만 skp에 있으면 연구환경이나 해외연계나 취업 기회가 훨씬 잘 열려있어서 skp가 좋긴합니다.
2024.11.21
3점 초빈이면 인기분야의 경우 자대교수도 안받을 수 있는데 본인 객관화가 먼저 되어야 할 듯
2024.11.20
대댓글 1개
2024.11.20
2024.11.20
2024.11.20
2024.11.20
2024.11.20
대댓글 2개
2024.11.20
2024.11.20
2024.11.21
2024.11.21
2024.11.21
대댓글 1개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