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기계공학을 전공하면서 열공학 쪽에 관심이 많아 찾아보게 된 결과 배터리로 진로를 정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현재로써는 석사까지 고민중에 있습니다.
1. 기계공학을 전공했는데 배터리는 화공에 가깝다고 들었습니다. 배터리 연구를 하는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까요?
2. 전기차 둔화로 인해 배터리 취업시장이 안좋아졌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학사만 해당하는지 석사 박사에 모두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3. 배터리 관련해서 학부연구생 말고도 스펙을 쌓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12.05
1. 기계공에서도 배터리 연구를 하는 연구실이 있습니다. 화공이랑 다른 방향으로 타켓을 잡습니다. 2. 사실 전기차가 기술적으로 충분히 발전하고 나온게 아니라 업계, 학계에서는 이 캐즘의 시기를 잘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배터리 관련해서 학부연구생을 하실 수 있으면 그게 최선으로 보입니다.
같은학교에서 같은과 현재 배터리 회사에서 근무중입니다. 내가 배터리에서 어느 업무분야(제품개발 or 제품검증 or 공정설비 등)를 하고싶은지 곰곰히 생각해봐야 취업을할지 공부를 더할지 정해지겠네요.
대댓글 5개
2024.12.07
1. 기계공학에서도 충분히 좋은연구실 많습니다. 자대에선 JHC,KJH 등, SPK에도 기계공학에서 배터리관련 좋은연구실 찾아보면 많아요 2. 전체해당, 산업은 항상 사이클이 도니 너무 이문제에 얶매일 필요는 없는듯 3. 진학, 취업에 따라 경로가 바뀔듯 . 진학이면 학부연구생이 제일 최선일듯
2024.12.08
안녕하십니까 선배님! 현재로써는 제품 개발 혹은 제품 검증 분야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JHC 교수님은 연료전지가 주 연구내용으로 알고 있는데, 2차전지와 같은 배터리 연구를 하는데 괜찮을까요? SPK YKIST 까지 생각중인데 제가 지금 갖고있는게 4.17학점 말고는 없습니다.. 자대 학부연구생을 하고 다른 연구실에 학부연구생을 지원하는게 나을까요?
2024.12.08
자대교수님에대해선 제가 착각을했네요 ㅎㅎ.. 저도십년이 가까이 되다보니 ㅎㄹ ㅜ 죄송합니다.
제 사견으로는 현재학점 너무 훌륭하고 학점은 고고익선이니 4학년까지 더끌어올릴수있는만큼 올리는게 좋을것 같아요. ——-SPK
진학을 자대로 가지않으려고할 경우 내가 가려고하는 연구실을 탑다운으로 정리해 지금이라도 빨리 교수님 컨택을 해 방학을이용한 학부연구생 등 연구실 생활을 시작하세요.
2024.12.08
자대 학부연구생을 추천하지않는이유는 타대진학희망으로 들어가서 있기 눈치보입니다. 괜히 껄끄러워요 계속영입당하고 귀찮습니다.
2024.12.05
대댓글 1개
2024.12.05
2024.12.05
대댓글 1개
2024.12.05
2024.12.06
2024.12.07
대댓글 5개
2024.12.07
2024.12.08
2024.12.08
2024.12.08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