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을 약속하라는 것은 학생의 선택권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연구실 생활도 그럴 것이고요. "교수님 죄송하지만 저는 약속을할 수 없습니다. 혹시 약속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대댓글 5개
2024.12.10
아직은 입시에 대한 불안감이 더 큰 상황이라, 말씀주신 대응이 쉽지 않은 방향이라고는 생각하는데요. 어찌되었든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2024.12.10
?? 연구실 시스템을 모르는 건가요? 학생이 입학을 약속할 수 없다면 연구실의 그 학생 티오도 보장할 수 없지요. 그렇게 따지면 그 학생을 랩에 받고 말고는 랩과 교수의 선택권인데요. 학생도 교수도 둘 다 붙잡을 수는 없는 겁니다.
애초에 안되는 일을 둘 다 붙잡으려면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것은 말이 안되지요. 더구나 지금 합격자 발표 나는 시점이면 간다고 했다가 안가면 그 랩은 신입생 못 받고 한 학기 패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 랩에 지원했다가 티오 없다고 거절 당한 학생들과 그 랩의 피해는 아무 것도 아닌 건가요? A든 B든 마음을 정하고 하루라도 빨리 이야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입장을 바꿔서 교수가 만약에 누군가에게는 불쾌한얘기일 수도 있지만 랩 티오가 하나인데 A학생과 B학생을 동시에 받겠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A학생이 더 맘에 드는데 아직 완전히 올 것 같지는 않아서 B학생도 붙들고 있고 싶은데 어떻게 말하는 것이 좋을까요 라고 이 게시판에 썼다고 생각해 보면 어떤 욕을 먹을지 상상이 가는군요.
그냥 심플합니다. 학생이 선택권을 가지고 싶다라는 입장이면 랩 티오 맡아두지 말고 랩과 교수의 선택권도 동시에 보장하든지, 아니면 둘 다 확실하게 이야기하고 티오 정해두고 번복 안 하든지 입니다.
2024.12.10
교수님이 ok해도 컨택이 학교의 입시결과를 보장하는 것도 아닐뿐더러 각 실패의 경우에 서로의 Risk가 동일하다고는 생각안하는데요. 그리고 연구실 시스템 모르는거 맞습니다. 잘배웠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냥 1지망 대학으로 타겟하고 인생 걸겠습니다.
2024.12.10
아 오해가 있는 부분이 있는 것 같은데요.
?? 연구실 시스템을 모르는 건가요? 학생이 입학을 약속할 수 없다면 연구실의 그 학생 티오도 보장할 수 없지요. 그렇게 따지면 그 학생을 랩에 받고 말고는 랩과 교수의 선택권인데요. 학생도 교수도 둘 다 붙잡을 수는 없는 겁니다.
이 문단은 위의 첫 댓글의 선택권 이야기에 대한 문장입니다. 그래서 일부러 대댓글로 달았던 거였는데요. 학생에게 첫 문단 같은 표현을 쓰려던 건 아니었습니다. 그 부분을 모호하게 적어서 오해가 있었네요. 그건 미안합니다. 학생은 첫 문단 패스하고 두 번째 문단 부터만 봐주면 좋을 것 같네요.
2024.12.10
어이쿠 제가 교수라서 연구실 시스템을 모른 것은 아니고요. 입시프로세스에서 TO를 쓰는 시점이 있을텐데, 해당 부분에 대해서 설명이 필요하면 서로 이야기 나누면 되지요. 막무가내로 확정하라고하면 협박이지요.
2024.12.10
대충 어딘지 감이 오는데 A대학 입시가 너무 늦은 탓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랩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저희 랩은 졸업&입학으로 인한 인원수 변동에 따라 인건비 지급에는 문제가 없을지, 과제는 어떻게 팀을 새로 짜서 담당을 나눌지 등등 내년도를 위한 행정이 마무리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당연히 내년 입학 예정인 학생들도 모든 계획 안에 포함되어있구요
윗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학생을 한 명만 더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되는데, 글쓴이님 자리를 비워뒀다가 뒤늦게 안간다고 하면 교수님 입장에서도 안 받아주겠다고 한 후순위 학생한테 다시 연락하기도 애매하고 그렇다고 다음 학기에 아무도 안 받으면 인력이 부족해지고 계획에 차질이 생기니까요..
지금이 원서 접수 전도 아니고 결과가 나온 뒤 내년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인만큼 B 교수님의 행동이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연구계는 정말 좁기 때문에 A B 랩 두 분야가 같을 경우 학회에서 오며가며 한번 쯤은 만날 수 밖에 없는만큼 반복은 좋지 않긴해요 역지사지하면 교수님께서 입시 전에 글쓴이님 TO 있다고 말해놓고 합격 후 연락드렸더니 미안하다 너보다 더 마음에 드는 애가 뒤늦게 연락와서 못 받아주겠다 하는거랑 다름없죠 저라면 우선 A 대학에 컨택드린 교수님께 연락드려서 상황을 솔직하게 말씀드리고 조기발표 계획이라던가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아니면 적어도 합격할 경우 입학이 확실하게 가능한게 맞는지 여쭤볼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12.10
네 맞습니다 생각정리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A대학 교수님께 당장 연락해서 얘기를 듣고(제도상 가능한지 모르겠지만 어필&뉘앙스 점검이라도..) Risk를 좀 지더라도 B대학에는 의사전달을 확실히 해야겠습니다.
2024.12.10
대댓글 5개
2024.12.10
2024.12.10
2024.12.10
2024.12.10
2024.12.10
2024.12.10
대댓글 1개
2024.12.10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