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쪽에서 상당히 고일대로 고인 분야이긴해서 감안해보려고 했는데도 조금 너무 없는 느낌이라.. 석사 후 취업만 노린다면 또 괜찮아 보이기도 해서 고민이네요
2025.01.14
아무리 그래도 한국으로만 6편은 좀 심하네요 외부에서 랩 연구역량 인정을 위한 논문 질적 수준 같은건 아무래도 좋으니 일단 양적으로 승부해보자는 느낌? 그래도 졸업생이 괜찮은데 가게 되었다면 그건 그것대로 참고할 사항일지도요
2025.01.14
알룸나이가 괜찮아서 임용이 아닌 취업을 생각하시면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현재 수행중인 프로젝트를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5.01.15
현재 2025년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가 거의 20개 가까이 되네요.. 연구실 내에도 팀이 4개정도 있는것 같은데 이런 랩실은 아무래도 논문&연구보단 프로젝트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는 뜻이겠죠?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비추
2025.01.14
죄송하지만 ㅠㅠ 혹시 어떤 논문이 한국 학회집에 실린 논문이고, 어떤 논문이 SCI급 논문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대댓글 1개
2025.01.14
저널을 검색해보세요.... Jcr 순위는 학교 홈페이지를 찾아보세요.
2025.01.15
개인의 목표가 뭐냐에 따라 다르겠죠. 회사 취업이 확실하면 고려해볼 만 하고 교수 등 학계 생각이 있으면 가면 안되죠.
대댓글 2개
2025.01.15
조언 감사드립니다. 교수는 생각 없지만 아직 회사취업과 정출연 사이에서 목표를 정하고 있는 과정이라 조금은 더 고민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1.15
많이 나오는 이야기인데요. 학생들이 착각하는게 학교와, 정출연/회사 로 나눠서 생각하는데요. KIST, KRIBB 같은 메이저 정출연은 학교/정출연, 회사 로 나눠서 생각해야 합니다. 논문 잘 내고 연구 잘해야 학교나 메이저 정출연 갑니다. 분야가 특수한 일부 정출연 들만 논문 별로여도 특정한 연구를 하는 랩에서 잘 가는 겁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정출연과 회사 취업은 목표가 완전히 다른 거고요.
2025.01.15
정출연이면 무조건 실적좋은곳으로 가야됩니다. 졸업생중 정출연 간사람이 최근에 간건지 예전에 간건지, 다른곳에서 포닥을 하다가 간건지 바로 간건지 등등도 잘 찾아봐야하고요. 해당랩에서 졸업할때는 실적없어서, 정출연에서 포닥2년정도 하면서 실적채우고 지원했을수도있고요. 그게 아니라 최근 졸업생'들'이 실적이 부족함에도 다들 졸업과동시에 정출연입사를 한경우라면 실적등에 대해서 좀더 자세한것들을 봐야할것같긴하네요.
대댓글 1개
2025.01.15
랩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는 정보로는 한계가 너무 많네요 ㅠ 감사합니다
2025.01.15
일말이라도 정출연 생각 있으면 안가는게 맞겠네요
2025.01.15
학부생이 논문 실적으로 지도교수 고르는거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025.01.15
학부생이라면 논문 실적보다는 연구 분야와 지도교수 스타일이 맞는지, 취업이나 진학에 유리한지 고려하세요
2025.01.14
대댓글 2개
2025.01.14
2025.01.14
2025.01.14
대댓글 1개
2025.01.15
2025.01.14
2025.01.14
대댓글 1개
2025.01.14
2025.01.15
대댓글 2개
2025.01.15
2025.01.15
2025.01.15
대댓글 1개
2025.01.15
2025.01.15
2025.01.15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