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표본 자체의 편향도 있음 학부는 문과와 지방대가 전체 표본의 8할 이상이고 석사는 직장 다니면서 다니는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이나 말 그대로 세탁용으로 따는 표본들이 있고 박사부터는 애초에 상위대학 내지 최소 인서울급이 대부분이고 대부분 이공계라 평균소득이 높게 잡힐수밖에...
대댓글 2개
2025.02.16
그래서 이런 자료로 박사가 돈을 더 버는데? 생각하면 안되고 굳이 비교를 하자면 동일 학교 내에서 이공계 졸업생의 평균 생애소득을 비교해야됨 박사는 기회비용만 6년인데 당연히 더 받는게 맞죠 얼마나 더 받냐가 문제지
2025.02.16
표본 자체가 bias되었다는 말도 동의하지만 또 따지고 보면 학부는 지방대 다니던 사람들이 서울 중위권, 서울 중위권 다니던 사람들이 서울 상위권, 서울 상위권 다니던 사람들이 SKP 대학원 가고 그렇기 때문에 같은 대학으로만 비교하는것도 100프로 맞진 않음. 예를 들면 한양대 학부 졸업생과 한양대 석사 혹은 박사 졸업생과 같지 않음.. (보통 한양대 석박사 오는 가장 좋은 사람이 한양대 학부이고 지방대나 서울 하위권에서도 한양대 박사로 오지..)
2025.02.17
누적소득으로 비교하는게 의미있을듯 학부생보다 최소 5-6년 더 걸려서 수입이 늘어나는건 사실 당연해야하자나 이마저도 학부졸 대기업 취직하면 못따라가는듯 ㅠ
2025.02.17
너네들이 공부 오래 한 대가로 바라는 거에 비해 훨 낮네
2025.02.17
초임기준 561? 박사수당 맥스로 주는 곳까지 하면 나올 순 있겠네요. 근데 박사 수당 주는 곳이 생각보다 많지도 않아서 1년차에 저렇게 받는 곳이 손에 꼽힐 정도인데 표본을 제가 아는 그런 회사들에서만 체크한것 같네요
2025.02.17
애초에 연차가 다른데 초임연봉으로 비교하는개 말이 안되는 비교지;
2025.02.17
피곤하게들 산다 도찐개찐들 끼리 학사나 석사니 박사니ㅋㅋㅋ 정형의 이고 박사도아닌데 월2천임 저게 무슨 의미가 있음?ㅋㅋ
2025.02.16
대댓글 2개
2025.02.16
2025.02.16
2025.02.17
2025.02.17
2025.02.17
2025.02.17
2025.02.17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