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미박 T50 T100 왜 따지는지 이해 불가

2025.02.27

7

2752

US News 전공 랭킹? 극단적으로 말해서 심하면 랭킹 높은데 AI ML 관련 교수들 중 연구 활발히 진행하는 사람이 소수인 경우도 있음

미국은 교수들이 땅이 엄청 넓고, 자기가 선호하는 지역도 있으며 R1 대학가면 펀딩은 잘 나오기 때문에, 한국처럼 특정 대학으로 몰리지는 않음

보편적으로 탑스쿨이 잘되는 분야 펀딩 많이 줘서 좋은 교수들이 거기 많이 있지만, 이것이 다른 순위 낮은 R1 대학의 모든 랩실이 탑스쿨보다 낮다고 이어질 수는 없음

AI ML 분야는 타 분야보다 경쟁률이 높아서 심하면 T20 T30이 타 분야 탑스쿨 들어가기보다 어려운 경우도 있음

그리고 논문과 펀딩이 잘 나오는 랩 들어가기 위해 T50 버리고 T70 가는 사람도 종종 있음

따라서 미국 대학은 펀딩이 잘 보장되는 R1 대학, 혹은 국방부 등이 지정한 연구 시설이 있는 대학들 중 괜찮은 분야에 괜찮은 랩을 이끄는 괜찮은 교수가 있는지 찾아봐야 함

한국 대학원은 안 가봐서 모르겠는데 미박 순위 따질 때마다 T50 T100 너무 많이 봐서 그걸 왜 엄격하게 나누는지 이해가 안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2.27

생각보다 내 능력은 뛰어나지 않았고, 대개 연구실이 랭킹 따라 가는 경향이 있으니(물론 본문 말마따나 아닌 경우도 있지만)

밥 먹고 살려니 랭킹 챙기는거죠

2025.02.27

연구실의 수준과 자기 연구 흥미 분야가 가장 중요하다는점엔 동의하지만 언제나 평균은 유의하죠.

대댓글 2개

2025.02.27

정규 분포로 수렴하기는 하지만, 탑스쿨이 아닌 이상 T30~T100 사이는 10년 사이에 순위 변동이 급격하기 때문에 엄격하게 나눌 수는 없습니다. 실제로 대학에 빅테크 혹은 정부 연구 단지 들어서는 경우 몇년 사이에 순위가 급변합니다.

2025.02.27

일례로 바이든 전 대통령의 모교인 University of Delaware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순위가 급격한 투자 덕에 1년 만에 66위에서 53위로 올랐습니다.

2025.02.28

우열을 나누고 그것을 따르는 삶을 계속 살았으니 그게 중요하겠죠
석박사과정으로 갈수록 지도교수 혹은 그 그룹이 얼마나 퀄리티가 좋은지 봐야지 오직 대학의 랭킹을 따지는건 웃긴 일이죠

2025.02.28

옳소~ 무엇을 중요하게 봐야할지를 스스로 정하지 못하니 이런 순위에 집착하는 게 아닐까 예상해봅니다~

2025.02.28

미국 대학원은 랩 보고 가는게 맞는데 한국은 학교를 더 많이 봐서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