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 어떤가요? MDPI 보다는 좋고 전통적인 저널보다는 조금 떨어지는 그런느낌 맞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3.21
MDPI나 IEEE OA나.... 또이또이
2025.03.21
OA랑 전혀 상관없고 OA는 그냥 모든 저널 트랜드입니다.
IEEE Access 같은 경우에 MDPI랑 비슷한 인식이라 절대 내는건 비추합니다.
2025.03.21
MDPI 명성 조진거는 관리하는 에디터들의 몫이 큼. 적어도 그 분야의 석학들이 봉사하는 형태로 에디터를 하고 있는게 아니라 일단 에디터들이 그냥 고용된 자들이고 대부분이 중국계, 아니 무슨 이름이 하나같이 Alise Li, Cloris yu, Rafael Lu, Angela Zhang, Marcus Feng... 이렇게 이름 짓는게 영업 전략인가? 돈 벌 목적으로 게재될 때까지 여기저기 뿌리고 리뷰 독촉하는 행위를 하니 명성이 추락하는게 당연함. 마치 중국정부의 돈줄 같은 음모론이 저절로 생김
적어도 IEEE OA에서는 이런 행위는 지양하는게 보이는데, 속사정을 들어보니 IEEE ACCESS는 너무 많은 논문이 투고되어 부하가 엄청나다는 이야길 들음. 결국 리뷰라는게 여러 연구자들이 봉사하는건데 2차 3차 리뷰까지 가는건 때로는 불가능이라 리뷰과정이 철저하지 못함. 이게 OA의 어쩔 수 없는 한계라서 참여자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스스로 퀄리티를 유지해야 함.
그리고 중국인 연구자들 자기들끼리 봐주면서 리뷰하는게.... 이게 진짜 물 흐리는 이유
대댓글 2개
2025.03.23
MDPI가 막장인건 맞으나, 고용된 에디터 (전업 에디터) 를 두는게 반드시 나쁜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분야 석학이 무료로 봉사하는것보다 확실히 전업 에디터를 두는게 저널 퀄리티 상승에 도움되는 경우가 더 많아요. 최상위 저널인 Nature 및 그 자매지, Cell press 및 자매지 전부 전업 에디터를 두고 운영합니다. 출판사 입장에서도 전업 에디터를 두는게 걍 무료로 분야 전문가에게 기대는 것보다 돈이 더 들어가므로 굳이 전업 에디터를 둘 이유가 없기도 하고요. 위의 NPG, Cell Press 전부 editor로 serve할 교수들 찾는것을 일도 아닐겁니다. 그럼에도 전업 에디터를 쓰는데는 이유가 있을것입니다. (물론 MDPI를 위 출판사와 비교하는것은 당연히 말도 안되는 일이지요)
MDPI가 막장이 된데에는, 사실상 출판사내에세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Review system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NPG, Cell press 에디터를 전부 나름의 홍보, 영업 다 하고요, 다만 review 빡세게 돌려서 저널 퀄리티 유지하니 저널이 제대로 돌아가는겁니다.
2025.07.10
서울대 카르텔이 상위 논문들 리뷰 싹 다 잡고있는거 알면 MDPI는 양반이다 ㅋㅋㅋㅋ
2025.03.22
사실 access는 수준 높은 저널이 아닌 것 뿐이지 인식 자체는 나쁘지 않은 저널입니다. 수준 높은 저널이 아니기에 비교적 낮은 잣대로 심사하고 다학제 특성상 전문성 있는 리뷰어를 초청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이지 제가 알기론 큰 이슈는 없고 OA치고 게재료도 나름 합리적인 편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Q1 저널에 투고하기 애매한 경우 투고하는 편입니다.
대댓글 3개
2025.03.22
게재료 사악한데요?
2025.03.22
알아보시면 아시겠지만 oa 게재료가 access보다 저렴한 저널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oa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대부분은 게재료가 배로 들어갑니다.
2025.03.21
2025.03.21
2025.03.21
대댓글 2개
2025.03.23
2025.07.10
2025.03.22
대댓글 3개
2025.03.22
2025.03.22
2025.03.23
2025.03.22
2025.03.22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