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입학에 관하여

2025.06.12

5

1295

안녕하세요. 현재 대학 4학년에 재학 중입니다.
서울대나 KAIST 대학원 입학을 준비 중인데요,
연구실 컨택은 교수님의 TO(정원)를 확인하는 과정일 뿐,
입학시험 합격이 따로 필요한 것 맞나요?
그리고 원하는 연구실에서 인턴을 한다면 입학시험에서 유리한 점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6.12

네 정말 어지간하면 다 시험 면접 등 있습니다.
그리고 인턴에서 잘 보이면 당연히 해당 면접관으로 들어왔을 때 최대한... ㅖ...

대댓글 4개

2025.06.12

그럼 연구실단위의 면접으로 대학원을 진학하는 것이 아닌 학교 단위에서 필기시험 및 면접을 합격해야 진학할 수 있으며, 사전 컨택의 이점은 TO 확보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는거죠?

2025.06.12

랩바랩입니다. 카이스트는 관여가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타대에 비해 영향이 적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한편으로 확실히 해두어야할 것이, TO는 넓게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1. 의자의 개수를 알려주는 것
(ex. "TO있나요?" "TO는 있는데, 예산 관련해서 문제가...")
2. 개인을 위한 의자를 구비해두는 것
(ex. "TO잡았어" )

대부분 TO를 확정했다, 잡았다. 등 후자의 의미로 쓰입니다. 자, 교수 입장에서 생각해봅시다. 일정 수의 학생이 필요한 교수가 TO로 면접보는 학생을 놓치게 되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랩에 인원하나가 비는 거죠. 많이 곤란하시겠죠? 교수 입장에서는 TO 학생을 무조건적으로 뽑고 싶어할 겁니다. 당연히 학교 측에서도 이를 잘 알고 있고요.
...시점을 되돌려 학생 입장에서는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실질적으로 제대로 된 컨택없이 지원한 학생은 어지간히 스펙차이가 크지 않은 이상 자동으로 제 2 후보명단으로 내려가게 되는 겁니다. 당연히 입장에 따라 이점이 크게 발생할 수도 있다는 거죠.

1이냐 2이냐 구분은 교수님의 답장을 보면 대체로 유추 될겁니다. 보통 1이면 "힘내서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같은 느낌으로 답장이 옵니다.
간혹 TO를 잡아놓고 떨구는 인간들도 있는데, 대체로 인성이 안 좋은 분들이니 이 건은 오히려 탈락된 것이 행운일 것이고요.

2025.06.12

"그럼 연구실단위의 면접으로 대학원을 진학하는 것이 아닌 학교 단위에서 필기시험 및 면접을 합격해야 진학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대체로 맞습니다. 필기 시험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제가 알기로 말씀하신 두 학교는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신뢰성이 낮은 정보입니다)

2025.06.12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됐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