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처음 입학부터 석박통합으로 해외 진학 생각하고 한국에서 석사만 할 생각으로 대학원에 들어갔습니다. 랩 자체는 탑티어 아니고 이제 막 신생랩 티 벗은 spk 생명 랩입니다. 같이 들어간 동기랑 친했던 선배 하나가 하나 둘 랩실 구성원들 간의 갈등?으로 마음의 병으로 나갈때도 버텼고 이제 이 랩실에서 1년 반 시간을 보냈습니다... 만약에 논문 2저자 정도에 이름이라도 실릴 기미가 보인다거나 랩실 분위기가 좋다거나 하나만 했더라도 버틸 생각이였는데요 어제 교수님이랑 포닥이랑 미팅 이후 둘 다 제가 졸업 전까지 일어나지 않을 것 같다는걸 깨달았습니다. 저를 제외하고 제 데이터로 이야기 나누고 내용은 저한테 말해주지도 않은채로 과제랑 실험 기한만 포스트잇에 적어서 던져주더라고요... 와중에 교수님은 당신의 개인적인 행정일 오늘 6시까지 마무리해서 보내라고 얘기하고요 굳이 졸업 전에 논문이 나올 것 같지도 않은 랩실에서 석사로 정신적으로 몰리면서 있어야 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싶다가도 앞으로 제 경력을 적을때 공백도 아닌 애매한 기록으로 남는게 두려워 여쭤봅니다. 그럴 경우에 어떻게든 석사졸까지 버텨보려고 합니다.. 제가 배부른 소리를 한다거나 하면 객관적으로 현실을 일깨워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7.30
Spk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나네요
대댓글 1개
쇠약한 존 케인즈*
2025.07.31
많은데 무슨spk 연구실을 한그룹으로 보네ㅋㅋ
2025.07.30
석사때 논문이 무조건 나오는건 아니고 한학기 남으신거면 갈무리 잘하셔서 졸업하는게 나을거에요
대댓글 1개
2025.07.30
석사 1학기만 하셧는데 이러면 자퇴도 생각해볼법하지만 3학기나 진행된 지금은 좀 아깝네요 석사 때 논문 나오는거 쉽지않으니까 자료정리해서 들고 나와야죠
2025.07.31
큰 영향 없지 않을까요...? 경력 적을 때 빼버리면 되죠.
쇠약한 존 케인즈*
2025.07.31
3학기면 그냥 졸업은 하는게 좋아보임
2025.07.31
3학기면 잘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 젊은 날의 시간이 너무 아깝고, 공백이 생긴다면 누가 물었을때 커리어 상 비는 시간을 답변하기 어려울 겁니다.
그리고 첨언하자면 스트레스 없는 삶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스트레스가 적은 삶이 있을 뿐이지요. 본인의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줄일 고민을 먼저 해보시길 바랍니다.
2025.07.30
대댓글 1개
2025.07.31
2025.07.30
대댓글 1개
2025.07.30
2025.07.31
2025.07.31
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