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2025.08.20

15

1547

얼마전에 이거로 논쟁이 있었어서 의견구해보고자 글써요

구체적인 상황은 특정될까봐 못 쓰고..

취직이나 임용시 "핵심 실적의 공1 뒷자리가 앞자리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 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5.08.20

단독1저자가 1점이라면
공동1저자(2인) 의 앞이 0.8점, 뒤가 0.5점 이정도로 계산될 수도 있고,
공동1저자끼리는 똑같이 계산될 수도 있죠.
어쨋든 앞인게 뒤인거보다 나은건 확실한데 차이는 보통 미미하죠

대댓글 1개

2025.08.21

순서에 따라서 가산점이 다른경우가 있었나요? 국내 정출연과 지금은 해외 교직에 있는데 그런경우를 못봐서 조금 의아스럽네요.

2025.08.21

문제없으나 예민할 수 있음
어필하는 방식에 따라 다름

2025.08.21

정량 점수는 같음.
근데 항상 정량 점수는 1차 서류 같은 초반 걸러내기용이고, 실제 중요한 심사자들이 보는 CV에는 제일 앞에 이름이 있어야 보통 주저자 카운팅을 함.
아무리 CV에 이름 옆에 1 붙혀놓고 공동1이라고 주장해도, 이름이 두번째있음 공저자 논문 취급하긴함.
물론 모든 실적이 비슷하다는 경우, 공동 1저자(두번째 이름)라도 몇 개 더 있으면 그 사람 편을 들겠지만

대댓글 5개

2025.08.21

헉... 그렇군요

2025.08.21

공동1저면 똑같이 카운트되죠
이거 분야마다 다른가?
의생명쪽에서
누가 맨앞이냐는 보통 학생을 먼저써주긴 하는데

2025.08.22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요새는 전문성이 다른 여러 그룹이 협력하여 큰 페이퍼 한개를 도전하는게 트렌드라 대부분 공동 1저 실적도 다 인정해줍니다. 특히 공동 1저나 공동교신이 다른 그룹이고 각 그룹의 전문적 기여가 확실한 경우엔 더더욱이요. 정성평가라는게 앞에 있으면 인정 뒤에 있으면 불인정 이런 느낌은 아니니까요.
다만 특정 그룹에서 저자 나눠먹기식으로 공동 1저자 품앗이 그런 현상이 있는 관계로 공동 1저자라도 같은 그룹에서 나오거나 (특히 3명이상), CV 상에서 같은 그룹인원이 너무 공동 1저자로 겹치거나, 비슷한 논문에서 비슷한 기여로 공동 1저자가 남발되어 있으면 심사위원들이 감안하긴 합니다. 서로서로 공동 1저자 넣어주면서 실적 부풀리는 수법 다 알기 때문에.

2025.08.22

원덧글자입니다. 칸트님 말 인정합니다. 요즘 핫한 재료분야 쪽은 IF 20이상 고 저널은 기본 공동1저가 2명에서 3명 가더군요.
마치 네이처 본지나 자매지 느낌처럼요.
그런 분야들은 공동1저자는 동일 취급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좀 마이너한 이공분야라.. 공동 1저자가 잘 없고, 있어도 이름이 두번째 가있으면, 시니어 교수분들이 주저자 카운팅에 잘 안쳐준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정량적 점수에는 이름 앞 뒤 상관없이 동일하게 들어가구요.

2025.08.23

의견 감사합니다

2025.08.21

학교, 연구소 같은 경우 맨 앞에 없다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2025.08.21

공동1저가 다르게 평가되면
학계에서 무지막지한 싸움만 벌어질거 같은데?

2025.08.22

분야마다 다른데 AI쪽 취직할땐 똑같이 칩니다

대댓글 1개

2025.08.23

강사합니다

2025.08.22

임용 지원중인 이공계 박사입니다.

학교별 실적 인정에 관한 규정에 따라 상이합니다.

공동 1저자에서 뒷자리를 인정하지 않는 학교도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8.23

의견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