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공동 1저자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2024.08.29

20

2461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충분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사회상규상 님이 뒤에와도 그러려니 싶습니다

미개한 문화를 탓해야죠

대댓글 1개

2024.08.29

안녕하세요,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 더 질문이 있어서 대댓글을 남겼습니다.
PI께 이야기라도 해보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길까요?

2024.08.29

그정도면 공동1저자도 아니고 그냥 공저자로만 빼도 무방할거 같은데요

대댓글 4개

2024.08.29

무슨ㅋㅋㅋㅋㅋㅋㅋㅋㅋ욕심이 과하시네요.
아이디어 내서 실험 방향 잡고 레퍼런스들 찾아서 논문도 썼는 사람을 어떻게 공저자로 넘겨버립니까? 글쓴이가 공동1저자로 만족해야죠.

2024.08.29

안녕하세요 답변자님, 답변 감사합니다.
공저자를 말씀하시는게 저인지 선배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2024.08.29

글쓴이님 말씀으로는 결국엔 새로 뒤엎은거나 마찬가지라잖아요. 그래서 선배분을 공저로 빼도 무방하다고 한겁니다.

2024.08.30

아이디어 생각하고, 실험방향 잡고, 실험다하고, 이미지 다 만들고 초안까지 다 썼는데...

논문 새로 뒤엎었으면 아예 처음부터 다시한건가요? 실험부터? 아님 처음 선배 실험했던 것들이 서포팅 수준으로 빠져버렸나요? 그것도 아니면 공동 1저자가 맞습니다.
대부분 교수가 그렇게 처리하구요.

2024.08.29

이후 리뷰어 답변서까지 작성한다고 하면, 충분히 1번 저자 가능할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8.29

안녕하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리뷰어 답변서도 작성할 것 같습니다.

이 부분 고려해서 PI께도 어필을 해보는게 좋을까요?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 생각에 글쓴이의 기여가 그정도로 크진 않은것 같습니다. 그냥 뒷자리 공동1저자로 만족하심이?

대댓글 5개

2024.08.29

공감합니다.

2024.08.29

냉혹하게는 보여질 수 있으나 실제로 PI들은 위와 같이 생각할 것입니다.

2024.08.29

안녕하세요 답변자님,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기여한게 많다고 생각했는데, 좀 더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2024.08.30

근데 공동1저자 앞자리, 뒷자리 그렇게 많이 중요한가요?
어차피 1저자, 교신저자 총 수 해가지고 점수 1/N로 나눠가지는건데

2024.08.31

점수는 동일한데 기분만 다를 뿐입니다. 논문을 펴보지 않는 이상은 공1인지 모르니까요.

2024.08.29

정답은 없습니다. 그러나 제가 PI라면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판단할 것 같습니다.
1. 아이디어가 중요한 논문: 처음 아이디어 제안하고 디벨롭한 선배가 1순위 가져가는게 맞음.
2. 아이디어가 크게 중요하지 않고 기존 논문에서 조금 변수 바꾼 논문: 글쓴이가 1저자 가져가는게 맞음.

대댓글 1개

2024.08.29

답변 감사합니다.

2024.08.30

왜 지웠죠

대댓글 2개

2024.08.30

떳떳하지않아서

2024.08.30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댓글들 보니 무슨 일이었는지 추론이 되네요. 저는 공1 이라는 것 자체에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입니다. 한국 문화상 1:1 협업보다는 필연적으로 리딩하는 분이 계실거고 그 분이 논문 작성 가정 하 1저자라고 봅니다. Equally Contributed가 가능할까 라는 의문입니다.

학계에서 교수님들 공동 교신 나눠먹기식 비판이 있던데, 공1도 저는 비슷하게 보고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