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동 1저자여도 이름이 제일 앞에 나와있으면 그 사람이 실험 주도한 사람인가요?

2025.08.28

14

2342

제가 이번에 논문을 게재하게 되었는데 실험은 혼자하고 논문도 혼자 썼는데 업체 사람이랑 공동 1저자가 되어있네요...

아무리 교수님 뜻이라지만...이게 너무 속상해서 자기합리화할려고 하는데 같은 1저자여도 이름 순서에 따라서 다르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8.28

1저자는 논문의 저자리스트에서 제일 앞에 있는 사람입니다.
주도성 측면에서 제일 많이 리딩한 사람이 보통 들어가요.
때때로 주어진 자료들을 종합하고 다듬어서 논문까지 쓴 사람이 1저자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5.08.28

같은 공1이어도 제일 앞에 순서를 메인 저자로 보는 시선이 있습니다. 아쉽겠지만 너무 상심해하지 마세요

대댓글 1개

2025.08.28

다행이네요 ㅠ

2025.08.28

아무래도 논문 인용할 때도 맨 앞에 있는 사람만 해당 연구의 대표 저자로 언급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2025.08.28

대부분 논문이 그렇죠

2025.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뇨. 공동 1저자는 equal contribution입니다. 독자가 임의대로 이름 순서를 가지고 기여를 판단 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대댓글 4개

2025.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Equal contribution이라고 보기 현저히 어려운 상황에서 공동 1저자로 저자를 추가하는건 엄연한 연구윤리/저자권 위반입니다.

2025.08.29

그러길 원하지만 임용 시장에서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학교도 종종 있습니다. 그럼 그런 학교는 연구 윤리를 명백히 위반하는 학교인가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음을 알려주심이 좋을 것 같아요. 물론 해당 글의 당사자는 co-1st author 중에서 앞에 해당하는 저자이니 손해 볼 일은 없겠지만요.

2025.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저도 아는데 이분이 임용 시장에 들어가실 입장인지는 전혀 정보가 없어서 원론적으로 답변을 드렸습니다. 말씀하신대로, Equal contribution이라고 써있는데 앞과 뒤 저자를 차등하여 점수를 주는 것은 윤리적으로 옳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다 같이 1/n을 하면 모를까..

2025.08.30

오히려 1/n 이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다 똑같이 기여를 합니까???

2025.08.28

뭐 어쩔 수 없는 상황이내요. 그래도 공동 1저자가 여러명이어도 가장 앞에 나온사람을 암묵적으로 더 높게 평가합니다. 너무 낙담마시길....

2025.08.29

암묵적으론 맨앞이 찐 주저자.
But 이론상/정량적으론 같은 실적.
요새는 같은 실적으로 취급안하는 곳도 더러있긴하지만 뒤에있어도 본인이 얼마나 이해도있는지가 중요.

2025.08.29

기여가 없는데 공동 1저자면 연구부정행위죠. 교수가 업체한테 잘보이려고 양심없는 짓 하네요…. 교수한테 뭐라 해보세요. 작성자님 권리입니다.

2025.08.29

논문에서 핵심적인 material을 회사가 만들었나요?
약물이나 백신실험 등의 경우에 회사에서 만든 물질로 실험하면 종종 회사사람이 1저자에 함께가는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라면 1저자인게 문제는 아닐것같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