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해외 대학원 진학 및 평판

2025.09.11

12

3319

안녕하세요 지거국 중 상위에 있는 대학 3학년 재학중입니다. 학벌 컴플렉스가 있기도 하고 전공이 바이오다 보니 대학원을 안갈 수 없는 구조라 대학원 생각이 있는데 혹시 해외대학원 진학(일본)을 고려하고 있는데 아직 석사까지만 생각이 있습니다. 제가 해외살이도 관심 있지만 만약 한국으로 다시 들어온다면 과연 메리트가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아직 서치 중에 있어서 컨택 관련해서는 예정이지만 만약 절차가 잘돼서 확정이 되었다면 한국 vs 해외(일본)이 좀 고민 됩니다. 제가 스피킹이 돼서 회화에 대해선 걱정이 없지만 물론 가 기전에 좀더 공부해야겠지만.. 생명쪽으론 일본이 아시아에서 유명하다보니 또 한국과는 분명 다른 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될 수 만 있다면 관련 분야를 선진국에서 배워보는게 좋을까요? 미국이나 타 영어권이 아닌 일본으로 가는 이유는 아까도 말했다시피 아시아 중에선 일본이 위상이 있고 이미 제가 언어가 되기도 하고 문화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서 이쪽으로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타국에서 대학원생 생활은 더 다른 이야기이겠지만요.. 일단 제 질문의 주요 요점은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도 메리트가 있는지, 일본 명문대~중상위권 대학원에 합격했다한다면 한국에서는 어떤 평판으로 바라볼지 궁금하네요 혹시 진학했거나 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 코멘트 남겨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9.11

한국 인식은 미국>유럽 >>>>>>>그 외 국가 입니다. 물론 그 외 국가에서도 나라별 최상위 학교면 +는 되나 크게 차이 없습니다.
예를들어 Top 20이상의 미박은 확실히 SKP 박사보다도 높은 급으로 쳐주는데, 동경대 박사는 SKP 박사랑 큰 차이 안둡니다.
개인 실적에 따라 달렸지 순수 학벌만으로는요.
만약 일본 최상위권이 아닌 학교(보통 사람들이 이름을 잘 모르거나 어디서 얼핏 들어본 정도) 박사면 그냥 거기서 박사했군요.. 정도 인식뿐일겁니다 냉정히.
어디서 박사를 받든 박사는 논문만 많이 쓰시면 인정 받아요.

2025.09.11

일본대학원을 왜가요...

2025.09.11

일본 구제국대학 레벨을 진학하면 당연히 좋은데 그 미만은 좀 그래요. 대학 연구 실적도 그냥 평범하고.. 이 미만은 차라리 한국 지거국이 낫습니다

2025.09.11

일본쪽에 있다가 잘 돌아오신 분도 있긴하지만, 요즘은 그다지 알아주진 않는 듯 싶네요.
1. 굳이 아시아쪽을 가고 싶다면, 싱가포르 쪽이 오히려 유리할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 대학교와 난양공대쪽은 경쟁력이 상당합니다.
2. 소문으로 듣기는 하였는데, 일본은 자국민에게 좀 더 좋은 테마를 준다는 이야기도 있긴합니다. 운 없으면, 외국인은 허드렛연구만 하다가 돌아올 수도 있습니다.

2025.09.11

진짜 왜가요? 연구자가 제대로 되고 싶은거면 영어를 해야죠

대댓글 2개

2025.09.12

제 건너건너 아시는 분 중에 일본 있으시다가 지금 노르웨이에서 연구하시는 분 봐서요 아는 분들 중에 일본에 있다가 오시는 분 꽤 봤습니다 다 지금 유럽에 계세요 저도 바로 유럽에 가면 좋겠지만 멀리 나가서 혼자 살 수 있을까라는 조금 무서운 느낌이 있어서 저도 그 분들과 비슷한 루트를 타려고 했습니다

2025.09.12

딴건 몰라도
영어하려고 다른나라에 박사유학가진 않죠...ㅋㅋ 이건 좀 억까네요 연구 핏을 봐야지,,, 어학연수도 아니고

2025.09.12

간단한 것 같네요. 학벌을 위해 갈거면 별로 의미 없음. 의미있는 연구를 할 기회가 있는 곳이라면 생각해볼만 함.

대댓글 1개

2025.09.12

정답이다 러브레이스!

2025.09.13

연구를 하고싶은지부터 생각해보는게 좋을 것 같아요 글에서 도피성인 느낌이 느껴지네요

2025.09.13

저는 좀 가볍게 적겠습니다.

일본가는게 도피성이다/한국보다 나은바가 없다 이런의견이 많은데 일본하고 한국하고 연구환경이 비슷하다면 덤으로 해외경험하고 오는게 그리 나쁜가요? 심지어 미국애들은 대학원 고를 때 기후 보면서 가는 경우도 많은걸요. 연구핏 먼저보는 게 맞지만 솔직히 학부 때 대충 관심분야만 알지, 구체적으로 하고 싶은 거 잘 모르잖아요. 그럼 연구 핏 맞는 연구실 전세계에 다 있어요.

그리고 모르겠으면 인턴해보세요. Amgen asia 여름 인턴 프로그램에 바이오쪽 도쿄대하고 동경대 있어요. 유럽 관심있으신거 같은데 germany DAAD 여름인턴도 지원해보시고요. 둘다 한국대학생도 지원 할 수 있어요. 보통 12월 까지 원서받으니까 지금부터 하면 되겠네요. 전 미국 100위 밖 작은 학부 출신인데 amgen asia 지원했을 때 (비록 떨어졌지만ㅜㅜ) 한 도쿄대 교수님께 대학원 입학제의 받았었어요.

저런 공식적인 인턴쉽 프로그램없어도 실험실 맘에 드는데 있으면 일단 컨택해보세요. 전 학부동안 여름방학인턴 총 4번(한국2, 미국2) 했는데 1번뺴고 제가 컨택해서 한겁니다.

그래서 일본 석사로 취직할 수 있냐? 그건 실적/논문 좋으면 당연히 되죠.

2025.09.16

3줄이내: 학벌을 위해서 가는거면 말리고 싶음.(디시 2중대같은 이 커뮤민 봐도 답나오지? 근데 노벨상급 연구실적은 일본 압승인게 팩트...)
그러나, 실적으로 승부한다면 오히려 일본이 나을거임(외국인 텃세만 극복하면 평균적 인서울은 발라버림)
결론적으로, 일본에 정착, 취업해서 연구자로 일한다는 목표라면 추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