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공계 스타이펜드 정책이랑 다르게 굴러가는 거 같은데

2025.09.19

5

524

울 학교는 일단 재원 자체도 제대로 안 들어와서 국가 지원보다 연구실들 인건비에서 떼온 게 더 많다고 들음 ㅇㅇ

채워주는 것도 80 기준이 아니라 40 기준인가 그렇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9.19

개판임 솔직히 누구를 위한 시스템인지 제대로 구축도 안해주고 대안은 학교에서 잘 만들라고 하는데

돈도 모자란데 풀링제 제약 강화해서 학생들 돈 억지로 더 주게 하고 (돈이 없는 연구실 기준)

내년에 과제 부족할 걸 대비해서 풀링제 저장해놓던 사람들은 날벼락 맞음 일단

대댓글 2개

2025.09.19

참나ㅋㅋㅋ 누굴 위한 정책이긴 대학원생들을 위한 정책이지 연구실에 돈 없으세요? 교수님?

2025.09.19

시스템 구축도 제대로 안해주고 학교별로 알아서 셋팅해라고 강압하는데

왜 남의 학생도 우리가 부담해야하는지 남의 학과까지 우리가 돈 더 내줘야하는지

난 이미 학부생도 풀페이 줌

2025.09.19

걍제로 전체과제 풀링제서 20% 매년 징수해감. 우리학교는...

2025.09.19

행정 엄청 복잡해졌고, 20% 정도 강제 징수로 교수들이 풀링에 남겨놓는 돈 자체가 줄어서 나중을 대비해서 인건비 남겨놓는 풀링제 자체의 기능을 약화시켰음.
정부 예산은 당연히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고, 결국 과제 따온 교수들 돈으로 과제 못 딴 교수 대학원생 인건비 준다 는 의미임.
탑스쿨은 과제 잘 따는 사람이 많아서 재원이 상당히 채워지겠지만, 아닌 곳은 대부분 연구 안하고 노는 교수도 대학원생을 뽑을 수 있도록 연구 열심히 하는 교수 돈을 뺏어서 주는 식.
대학원생 처우 개선해야 한다는 이야기 나오고 거기 쓸 돈은 없고 뭐라도 하는 것처럼 보여야 하니 만든 정책일 뿐. 소수가 혜택보고 대부분 피해를 보는 중임.
현장과 너무 동떨어진 정책이 계속 나오는 건 큰 문제임.
실제 현장에서 열심히 연구하고 랩 운영하는 교수들 목소리가 반영이 안되었든지 아니면 그런 사람들 중에서도 탑스쿨의 대형과제 많이 굴리는 교수들 위주로 목소리 내고 전체적인 실정 모르고 만들든지 둘 중 하나 인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