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다 입시는 치뤄야 한다고 하셨지만 ssh은 긍정적인 답변, ist계열은 약간 애매한 반응이십니다
분야가 살짝 다른데 ssh은 유기합성이고 ist는 유기쪽이지만 생화학쪽으로 응용된 분야라 유기에 비해 사실 제가 잘할수있을지 잘모르겠습니다..
아그리고 ist는 사업도 하시고 임용된지 5년정도 되셨습니다
두분다 인성은 좋아보이셔서 어디를 지원할지 결정하기가 어렵네요 의견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IF : 5
2020.09.19
학교 레벨이고 분야고를 떠나서 벤처있는 랩에 가는거 아닙니다............
2020.09.19
ㄴ벤처하시는분들은 바빠서 지도를 잘안해주실까요...
IF : 5
2020.09.19
교수...가 바쁜게 문제라기 보다는요.
설마 그 벤처가 연구실과 별개라고 생각하시는건 아니죠?
교수의 연구실이 갖고 있는 기술 기반으로 세워진 그 벤처는 그럼 누구의 노력으로 굴러갈까요?
대학원생들은 기본적으로 자기 실험 챙겨서 논문쓰고 특허쓰고 졸업하기도 바쁘죠?
잘 조합해보시면 답 나올거예요.
학교레벨이나 대학원 전체적인 환경 및 수준은 -ist가 ssh보다 훨 나을텐데요 근데 왜 하필 골라도 교수가 회사 운영하는 곳을 고르시나요 ㅠㅠ
2020.09.19
ㄴist가 성대대학원보다 수준이 낫다고?;
2020.09.19
ㄴ 연구환경은 ist가 더 나을것같긴합니다..근데 그렇게 차이가 날까요...??
George H. Hitchings*
2020.09.19
SSH가 나아보이는데요? 석사만 할거라면
2020.09.19
한양대 성대보다 ist가 대학레벨이 높은건아니지
대댓글 1개
2021.05.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 레벨은 훨씬 높음
2020.09.19
항상 최악은 대비하셔야 합니다. 이건 진심이에요. 학위를 못받게 되는 경우까지 생각하셔야 해요.
Gabriel Lippmann*
2020.09.20
정시로 지스트는 항상 연고대급이고 서성한이랑 유니디지랑 비슷한편이구요. 문제는 수시로 오는 대부분이 서성한은 일반고인데 지디유같은 과기원은 박사과정까지 바라보고 과고생들이 많이 옵니다. 전공 공부나 연구에 대한 마인드 자체가 다르고, 생긴지 얼마 되지도 않고 인원수나 규모도 엄청 조그만한데 뽑아내는 연구성과, 실적들 보면 어마무시합니다. 학부는 그냥 비슷하다 퉁쳐도 대학원이 ssh같은곳이랑 비교되는건 좀 재학생들에게 실례인 것 같습니다.
Hermann von Helmholtz*
2020.09.20
ㄴ 과고 최하위권인거 다 아는데
2020.09.20
ㄴㄴ 지스트가 연고대..,?
2020.09.20
ㄴㄴㄴ제목조차 안읽고 댓글달아주셨네요 단지 학교를 비교하는게 아니고 저도 이미 ist가 연구환경 좋다고 인지하고 있으나 여러가지 차이점이 있어 어떤 선택을 할지 질문드렸던것입니다...
2020.09.19
2020.09.19
2020.09.19
2020.09.19
2020.09.19
2020.09.19
2020.09.19
2020.09.19
2020.09.19
대댓글 1개
2021.05.31
2020.09.19
2020.09.20
2020.09.20
2020.09.20
2020.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