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안늦습니다,,,,, 많아요 그런분들
석사 27 혹은 28살에 시작하는거 많이 늦은편인가요..
25 - 석사졸업이 30이면 많이 늦은거죠...후회하기 싫으면 바로 취업하세요
석사 27 혹은 28살에 시작하는거 많이 늦은편인가요..
20 - 늦긴 뭐가 늦어요
저도 석사 29에 시작해서 31에 졸업하고 바로 취업했어요. 4,5년 직장다니다가 36에 박사하러왔어요
자꾸 본인인생을 다른사람의 답으로 채우지마요
석사 27 혹은 28살에 시작하는거 많이 늦은편인가요..
27 - 타대출신 카이스트 박사 >> 카이스트 학사
카이스트 석사면 학벌세탁 가능?
31 - 한양대지
요즘 지방과기원 너무 올려치네 ㅋ
기계공학 분야에서 한양대, 지방과기원 대학원 비교했을 때
16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5 - 그래서 저는 처음 한학기는 잡일 뺑뺑이 시킴요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안녕하세요. SPK 박사과정생인데, 시카고대에 와서 미국에서 파견 근무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여기서 일하시는 교수님을 만날 자리가 있었는데,
SPK 오퍼 거절하고 오셨다는 얘기와 함께, SPK 연구가 너무 수준 낮다고 얘기를 하시더라구요.
뻔히 출신학교를 까내리는데 좋진 않았습니다. 솔직히 그 분 연구도 그렇게 대단하다는 느낌도 없었구요.
시카고대면 세계랭킹이 매우 높은데, SPK랑 비교해서 연구 수준이 꽤 차이가 나려나요?
교수 누군지 알겠네요. 공론화 해두겠습니다. 수준 떨어진다니 이 나라에 돌아와서 연구할 생각은 꿈에도 꾸지 말라고 하십시오.
SPK vs 시카고대 연구 수준??
16 - 과거에 천문학계에서 계산을 담당하던 계산원, 즉 컴퓨터라 불리던 사람들은 기계로 된 컴퓨터가 나오면서 직업의 이름을 물려주고 물러나야 했습니다. 그들 중 상위 1%는 커녕 지금은 누구도 컴퓨터라는 이름으로 일을 하지 않지요. 그러나 컴퓨터로서 일을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난 건 아니었습니다. 그때라면 계산원을 수행했을지도 모를 사람들이 지금은 다른 일을 하고 있지요. 이를테면 대학원의 학생이 되어서 컴퓨터에게 계산을 시키는 일을 한다든지 말이죠. 즉, 기술의 발전이 무작정 일자리를 빼앗는다기 보다는,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부분도 있다는 겁니다.
인공지능이 박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을 가지게 된다면 기존의 박사들은 그 인공지능을 가지고 다른 일을 하게 될 겁니다. 기술의 발전이 일자리를 빼앗는 일은 결코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게 아닙니다. 일자리를 빼앗긴 사람들을 탓 하거나 비난할 생각은 없지만 보통 그런 비극은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에 전혀 관심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다가오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겁니다. 노인이나 저임금 노동자, 기술지식 접근성이 취약한 사람들이라면 그런 기술 변화에서 생기는 비인간적인 비극으로부터 일정부분 보호해야 할 도리가 있겠지만, 적어도 대학원생이 만약 그런 일을 겪는다면 그건 그저 학계의 움직임에 둔감했을 본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러니 잠못이루고 걱정하기보다는 많이 보고 듣고 준비하시는데 시간을 쓰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사람은 누구나 언젠가 죽을텐데 그게 걱정되어서 아무것도 못하는 게 아니듯이 말입니다.
AI가 근미래에 웬만한 박사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19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yk진학
2020.09.28

안녕하세요 최근들어 고민이 깊어져 문의글 올립니다.
저는 현재 yk중 한곳 ssh중 한곳 컨택되고 두 교수님이 자리 만들어줄테니 오라고 하시고 있는 상황에 있는 공대생입니다.
저는 최근까지 ssh쪽으로 가려고 마음을 먹었었습니다. 왜냐하면 교수님이 젊으셔서 예비대학원생인 저와도 벌써부터 소통을 많이해주시고 지금부터 연구참여,논문준비 및 학회참여,장학금 지원 등등 동기부여와 대우도 잘 해주시고 랩실분들도 많이 배우게 해주십니다.
그런데 제가 교수님과 면담했을때나 저희 모교 대학원생, 타대 대학원생분들이 저 또는 다른학부생들과 면담할때 그래도 갈 수 있으면 yk가 인지도가 더 있으니 가는게 좋다고들 하셔서 좀 고민이 들었습니다. ykssh사이에는 순위가 따로없고 동급이라고들 많이 하셔서 딱히 신경안썼었지만 저런말들을 요즘 들으니 실제 대학원생들 사이에는 그래도 그런게 있나 싶고 yk돛컨택되어있기에(즉 갈수있는 기회가 있기에)고민이 드네요
yk는 사실 교수님은 인지도가 있으신데 연구실이 썩 분위기 같은게 좋은지도 잘 모르겠고 무엇보다 인건비가 심하게 짭니다.. 그래서 대우좋고 밀어주시고 기회주시는 쪽으로 갈려고 했고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Yksshist 고민하는 타대생에게 김GPT 24 15 9381-
21 11 7751 -
6 13 2180
YK vs ssh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0 4 2872
yk ssh 진학 김GPT 0 1 1583-
0 6 5913
대학원 진학 관련해서 고견 묻습니다. 김GPT 0 10 5580
지사대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 김GPT 0 4 1472-
0 9 2290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78 37 22647-
95 32 57488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44 38 9146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0.09.28
2020.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