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7 - 그럴 거면 군대도 2번 갔다와. 군대 갔다오면 사회가 다 착해보이고 헬조선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감. 전역하면 사회가 천국으로 보임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10 -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임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29 - 그런 애들 친하게 지내면서 콩고물 받아 먹어야징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흔하지는 않지만 전무하지도 않은 정도인거 같네요. 아마 모종의 이유로 나를 단체로 거절중이신가 라는 의심을 하시는 것 같은데 솔직히 그럴 이유는 크게 없을 것 같습니다.
해당 대학의 policy 를 잘 모르겠는데, 아주 많은 경우에 실제로 첫 학기를 시작하기 전부터 본인의 지도교수와 진학할 연구실을 결정해두는게 일반적입니다. 말씀대로라면 합격 이후 실제 개강 전에 해당 연구실 진학이 불가하다는 말을 들으신 것 같고 이후 약 6개월이 지나도록 지도교수를 정하지 못하신 것 같은데요. 훨씬 더 빠르게, 학기 시작 전에 진학할 연구실의 교수님과 출근 일정 조율을 끝냈어야 합니다. 이미 다른 연구실들은 대학원생 TO를 정리해둔 뒤일겁니다.
보다 드물게 첫 학기는 진학할 연구실을 정하지 않고 오픈랩 형식으로 진행하는 대학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이런 경우 아마도 처음 컨택한 분과 연관 분야 교수님들의 연구 분야가 상당한 인기분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학과 규정에 반해서 암암리에 미리 학생을 뽑아두는 경우가 많아서 순진하게 오픈랩동안 코스웍만 열심히 들은 학생들의 뒤통수를 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유감스럽게도 작성자분이 매력적인 학생 후보가 아니었다는 뜻이겠지요.
양 쪽 모두 연구 관심 분야를 좀 더 넓히거나 다른 타협을 하더라도 최대한 빠르게 다른 분에게 컨택하고 연구실에 소속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8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65 - 본인 인생이 더 중요하지 예의를 따질때가..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ㅈ같게 생각합니다
이런 사람 어떻게 생각하세요?
8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7 - 1. 맞음
2. 맞음
3. 2가 맞기 때문에 대처할게 없음.
2에 대한 설명
현재 해당 랩 소속이 아닌것이기에 표면상의 이유는 논문에 넣을 소속이 없기 때문에 논문에 이름을 넣을 수 없음. 그 외의 이유로는 나간 사람을 굳이 넣고싶지 않음 정도가 있겠음.
만약 그 랩에서 석사 졸업이나 박사 졸업 정도를 한 뒤에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그 랩 소속으로 넣고 논문에 이름이 들어가는게 일반적임 (저자 순서는 좀 밀릴 수는 있음) 그런데 글쓴이는 학부연구생 이었던 것이므로 교수가 당연히 이름을 뺄 것임. 기여도가 어느 정도인지 관계없이 (보통 학부연구생은 실험쪽에 기여도가 있을 것이고, 논문 작성엔 기여도가 없을것임) 나간 학부연구생의 이름을 넣어주는 경우는 교수가 선심을 쓴 것이라 봐야함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10 - 제 학부연구생 시절이 생각나네요. 실험 테스트 베드 제작, 실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한 학기동안 제 아까운 시간 써가면서 매달려서 그 프로젝트에 참가했는데, 나중에 알게된 사실.. 논문이 게재되었고 충격적이게도 제가 작성한 실험 데이터 커브, 일러스트레이션 모든 것들이 그대로 들어가 있었으나 제 이름은 없었더라는..
명백한 연구윤리 위반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국 사회 특성상 좋은 것이 좋은거죠..... 요즘은 어떠나 모르겠네요.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8 - 꼭 박사과정, 포닥 인성이 교수 인성을 대변하진 않음
다만 태도가 보이긴 함
박사 or 포닥이 ㅈ대로 한다? -> 높은 확률로 교수가 개차반일 가능성 있음
개차반은 그냥 관심 없는 것 까지 포함함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2 - 설문연구, 500명 2개월 어려운 일 아니예요.
보통 2주안에 결과보고서까지 해요.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9
UNIST 물리학과 연성물질통계이론 연구실에서 대학원생을 모집합니다.
2025.07.07
1. 모집 대상
- 2026년 3월 입학 예정 석사/박사/석박통합 대학원생 (원서 마감 1차 7월 16일, 2차 10월 22일)
2. 지원 자격
물리학 또는 관련 학과의 학사학위(예정포함), 통계물리학/연성물질물리학/생체물리학/기계학습 등에 관심이 있으면 더 좋습니다. (아직 자격이 안되는 학생은 인턴쉽 지원을 하셔도 좋습니다.)
3. 연구실 소개 및 주요 연구분야
본 연구실에서는 2009년 이래 고분자 나노구조 계산을 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이론적 도구들를 개발하고 있고, 이를 통해 실험결과를 예측하고 분석하여 가이드 해주는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고분자의 통계물리학적 성질을 평균장 이론으로 계산하는 자체일관 장이론(SCFT)를 이용한 연구를 오래 수행해 왔고, 최근에는 요동효과까지 포함하는 보다 정밀한 시뮬레이션 도구인 랑쥬뱅 장이론 시뮬레이션(L-FTS)의 개발과 응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수 년 전부터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과학 연구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랩에서는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연성물질의 해석을 시도해 보고 있고 이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가속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중입니다. 전통적인 통계물리학은 물론 딥러닝, AI 등의 주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의 참여를 환영하고 있습니다.
4. 대학원생 급여 등
- 석사 및 박사 과정 생활비 보조 (과학기술원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등록금 면제이므로 월급여를 전부 생활비로 쓸 수 있습니다.)
- 국내외 관련 학회 참여 지원
- 현재 진행중인 공동연구를 위한 해외 파견 가능
이외 자세한 내용은 연구실 홈페이지(https://soft.unist.ac.kr/) 참조 바랍니다.
https://soft.unist.ac.kr/
-
146 54 27263
아주인하 서류컷 김GPT 0 12 7232
의대생 생물통계 대학원 유학 관련 김GPT 9 14 3512
UNIST 총장도 김GPT 0 1 2505-
1 0 646 -
0 3 814 -
0 8 1230
대학원을 가려하는 물리학도 김GPT 0 19 5055
연대 vs unist 김GPT 0 8 846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70 35 29310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50 39 96626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명예의전당 284 31 50614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6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6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56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2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39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5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5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졸업 후 교수님과의 연락
7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11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2 -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6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2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6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2 - 대학원 쌩돈 내고 다니는 사람들 많은가요?
7 - 카이 면접 후 다들 어떻게 지내시나요...............ㅠㅠㅠㅠㅠ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3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3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6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9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8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6 - 다른 랩 갈때 메일 어떻게 써야 하나요..?
6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6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