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니 이력서는 그렇게 넣는게 맞습니다 코페르니쿠스님...좀 사회생활 안 해본 티좀 내지 맙시다 진짜;;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26 - 질문 참 성의없이 하네
어느 분야 어느 쪽에 관심 있다 어디어디 랩실 가고 싶다 써야 뭔 조언을 하든가 말든가 하지
연구자가 되고 시퍼용 편입해야할까용?
초등학생 장래희망 과학자 적는 것도 아니고
팍씨
지금 그 마인드로 컨택 메일 돌리면 읽씹 당하니까
기말고사 먼저 잘 준비하면서
내가 무슨 연구 하고 싶은지 어디로 가고 싶은지
먼저 정하고나서 다시 조언을 구하셈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20 - 잘생기고 키큰데 연애를 못하는건 말이 안됩니다
본인 주변말을 믿지 마세요
스타일을 좀 깔끔하고 단정하게 가꿔보세요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8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연애조언을 여기서?
맥도날드 알바한테 논문첨삭 받는 느낌이 이건가?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7 - 반수하면 U 교수는 무슨죄임.. 안갈거면 말던가 가서 중간에 다른학교 간다고 포기하면 참..
P 면접 떨어지고 멘탈 터졌는데… U? 재수?
14 - 높은확률로 포공 교수가 유니스트 교수한테 레퍼런스 체크 할테고, 높은확률로 유니스트 교수가 안좋은말 하겠죠.
그게 아니라 숨긴상태로 입학했다가 나중에 포공 교수가 유니스트 교수등을 통해서 알게되는게 더 최악이고요.
대학원 입시를 대학입시처럼 생각하시는듯 하네요. ㅎㅎ
P 면접 떨어지고 멘탈 터졌는데… U? 재수?
14 - 혹시 미국 임용 도전해보셨나요? 단순히 한국이랑 비교하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영어도 어느정도 편해야하며, 실적이 많다고 되는것도 아니고(한국은 비교적 실적이 좋으면 임용이 쉽다고 생각해서) 핏 잘 맞춰서 statements 잘쓰고 또 추천서도 '강력한' 걸로 잘받아야합니다.
미국 아이비리그와 타학교랑 구분한것도 이해가 잘안되지만, 여튼 t30은 정말 똑같이 힘들고, t50까지도 쉽지 않습니다.
무슨 학부나 대학원 입시도 아니고 자로 잰것처럼 t20, t30, t40 구분해서 교수임용 실력 구분하는게 참 어이가 없네요.. 뭐 한국이든 미국이든 임용준비 한번도 안해보신 티가 난다고 할까요 아니면 방구석 전문가가 연예인 a급 b급 c급 나누는것과 유사하다고 해야할까요.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12 - 솔직히 말해서, 교수들 집단에서 지들 끼리, 암묵적인 레벨을 더 Strict 하게 나눕니다.
예를 들어서, 국제 학회 가면, 미국 R1 대학 에서 랭크20위 안에서 테뉴어 나 테뉴어 트랙 교수는, 한국 교수 들 거들떠도 안 봅니다. 왜냐하면, 학회에서, 다른 동레벨인 국제급에서 연구 하는 교수하고 연구 또 네트워크를 쌓아야지 계속 아웃풋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즉, 한국에서 연구 하면 한국 사람들 끼리 엮이게 되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연구의 레벨도 낮아지게 되는 거를 우려하는 거죠.
하물며, 사실 대부분 교수는 국제 학회에 초청을 받지도 못하고, 초청 을 우째 받았다고 해도, 국내와는 달리 아무도 안 알아줘서, 그냥 상처만 받고, 귀국 합니다.
같은 학과 교수들끼리 밥 먹을 때도 마차가지 입니다.
교수들 간의 레벨은 엄연히 존재 하고, 그 차이는, 학부생과 아이비 박사 학생 간의 차이보다 훨씬 큰, 지구와 안드로메다 은하 차이 라고 보면 됩니다.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16 - "뭐 이공계인가요 아니면 다른 학과신가요? 학생인가요 아니면 학위자인가요? 그경우 학계에는 계신가요? 유학경험은 있나요?"
에 대한 답을 드리자면, 이공계며, 박사 학위자 이며, 현재 Top 의 위치에 있습니다. 그리고, Data Science/AI/ML 쪽에 있습니다. 그래서, 주로 국제 학회를 많이 갑니다.
엄연한 사실은 예기 하는 겁니다.
그걸 어떻게 받아 들이는 지는 본인의 마음 이구요. ㅎㅎㅎ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11 - 이 글은 남긴 이유는,
1. 교수들의 레벨이 존재 한다.
2. 혹시라도 이글을 보시고 발끈 하신 교수가 계시다. 그럼 노력하셔서 올라오시라.
이게 제 결론 입니다. 대부분은 발끈 하고 올라오는 노력은 안하십니다. 발끈은 하고, 올라오시는 그 분이 참된 실력자이고,
국제에서 인정받을수 있는 씨앗을 갖춘 사람이라고 생각 합니다.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11 - 열수 위라는 것은 이미 수년 전 얘기죠.
좋지 않은 이미지들에 의해 대중적으로 모를뿐, 이공계
과학 전반적으로 이미 한국이 많이.. 아주 많이 뒤쳐졌죠.
개인적으로 미국 연구생태계도 중국이 많이 잠식하고 있다는 말씀에 깊게 동의합니다.
우리나라 정말 정신차려야하는데 밥그릇싸움뿐인 현실에 안타깝습니다..
인정할 건 인정 하자. 중국이 우리나라 보다 열 수 위다.
12 - 좋은거죠. 그런데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죠. 열심히 준비하면 얻는게 많을것 같내요. 특히 남들 앞애서 자기pr도 해보고 혹여나 다른 교수가 줌으로 만나자고 하면 그때 도움이 될거고. 그냥 1차 시험에 합격했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좋을듯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32 - 이정도면 그린라이트인거 다 알면서 ㅋㅋ 물어본건데?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5
[DGIST] 2026학년도 대학원 봄학기 1차전형 원서접수 안내(6/26~7/10)
2025.06.09

※ 지원 전, 모집요강 내 장학금 유형(Scholarship Type)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혁신으로 세상을 바꾸는 융복합대학"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2026학년도 대학원 봄학기 1차전형 원서접수를 아래와 같이 실시합니다.
1. 접수기간: 2025. 6. 26.(목), 10:00 ~ 7. 10.(목), 17:00
2. 모집학과(전공)
· 화학물리학과
·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 에너지공학과
· 뇌과학과
· 뉴바이올로지학과
· 학제학과 융합전공
· 학제학과 인공지능전공
· 학제학과 의생명공학전공
· 학제학과 양자정보과학전공
· 공학전문대학원 첨단기술공학과
3. 모집과정: 석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박사과정, 전문석사과정(첨단기술공학과만 해당)
4. 접수방법: 온라인 접수(유웨이어플라이)
학과(전공)별 연구실 안내 : https://www.dgist.ac.kr/gadm/sub01_01_01.do
* 대학원 원서접수: 원서접수 기간에 유웨이어플라이 사이트 연결 예정
5. 유의사항(확인 必)
① 원서접수 기간 내에 지원서 입력과 제출 서류를 완료하여야 하며, 기간 종료 이후 미비서류를 받지 않음
② 졸업(예정)증명서, 성적증명서, 공인영어성적표 등의 서류는 하나의 PDF 파일로 병합하여 온라인 지원 시 업로드
③ 졸업(예정)증명서 제출 불가 시 재학증명서로 대체 가능(최종 합격 후 졸업증명서 제출 필요)
④ 해외대학 졸업(예정)자의 경우, 아포스티유 또는 출신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공증을 받은 서류 제출
⑤ 추천서(선택 제출)는 추천인이 직접 입학팀 이메일로 보내야 하며, 원서접수 마감 이전 도착 시에만 인정
⑥ 장학생 유형에 대해 충분히 숙지 후 지원 요망(DGIST 대학원 입학 홈페이지 참고)
⑦ 전형료 결제 이후에도 자기소개서 및 수학계획서 등 수정이 가능*하므로 마감 이전 원서접수 권장
* 단, 지원 학과(전공) 및 과정은 입력 후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필요 시 문의처로 연락
⑧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전공)과 장학생 구분 필히 확인하여 지원 요망
6. 문의처: DGIST 입학팀(053-785-5146/5143, admission@dgist.ac.kr)
-
1 34 5452 -
11 22 9657
연고vsgdu 대학원 선택.. 김GPT 0 13 5853
대학원 입학할때 김GPT 0 8 9865
고대 발표 D-21 김GPT 2 7 6076
26살 연고대입학. 김GPT 0 5 9069-
0 1 4834
DGIST 전전 대학원 입시 김GPT 0 4 1936
서울대 발표 6시보다 빨리 김GPT 2 4 7319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325 36 68685-
168 52 61519
박사논문 쓰는 엄마 계신가요? 명예의전당 91 17 8135
대학원생 모집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생 모집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27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44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42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39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24 -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11 - 대학원생 평균 하루 연구 투자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4 - 물박사인데 정출연과 5급공무원 가능할까요?
7 - 대학원 재수가 다가오는구나
5 - 가우시안 플러팅이 뭐에요?
6 - 교수님들 있어보이고 싶고 연구철학 없는 분들 꽤 많네요
17 - 베이징대, 칭화대 >>>>>> 우리나라 모든 대학교들 (서울대, 커이스트, 등)
6 - 경영박사 경영지도사 vs 경영학사 공인노무사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24 - 컨택 후 인턴 6달 후 탈락
16 - 해외포닥 PI가 약속을 미친듯이 바꿉니다
11 - 교수님들은 학부생한테
14 - 자대생 없는 랩실은 왜 별로인가요?
9 - P 면접 떨어지고 멘탈 터졌는데… U? 재수?
15 -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36 - 서울대/포스텍 대학원 고민
11 - 인정할 건 인정 하자. 중국이 우리나라 보다 열 수 위다.
16 - 요즘 까놓고 말해서, 한국 목사 다음으로 가장 많이 까이는 직업이 한국 교수 입니다.
11 -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33 - 안녕하세요? 선배님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9 - 학부 졸업 후 다이렉트 유학 준비 중인데, 졸업 유예가 의미가 있을까요?
16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