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생을 부동산 자산으로만 판단하는 수준의 눈에는 그렇게 보이는게 맞지.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5 - 할루시네이션만 구분할 수 있다면 뭔 상관임. 계산기 써서 산수능력 떨어진다고 뭐 문제가 되나?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5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52 - unist가 연고보다 네임벨류가 떨어져서 그렇지 연구환경이나 실적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보는데 뭐만 하면 유니훌리 드립ㅋㅋㅋ 왜 지방대가 좋은 지표 나오는게 아니꼬운가봐?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27 - 대학원 순위 올리는 글 올라오는 거 보면 100년은 걸릴 듯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27 - 한국은 애초에 누가 개척해놓은 길만 갈려고 하잖아
처음 가는 길을 개무시하고 깎아내리는게 한국인데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오겠나? 나온다면 그건 한국이 해낸게 아니라 그 개인이 해낸거지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40 - 저는 무조건 한국에 남을것 같습니다. 한국의 미래가 매우 긍정적이고 교수의 대우가 날마다 좋아지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미국 탑 대학 부럽지 않게 능력이 좋으며, 인구 감소로 엘리트들만 살아남아서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의 dna는 우수한 쪽으로 살아남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면에 미국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으며, 예전과 다르게 전세계의 우수 인력을 어트렉트 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남아서 최고 수준의 대우와 워라밸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18 - 뭔 디시에서도 안나오는 헛소리를 정신스럽게 싸질렀냐?
논문 못쓰는게 교수가 안가르쳐줘서 못쓰는거라는게 말이야 방구야?
왜 아주그냥 학원 없어서 선행학습 못해서 논문 못쓴다고 하지 그러냐
이 모든 건 스스로 하지 않는 대학원생의 남탓일 뿐이다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7 - 허수아비 때리기 고만
너가 논박한 말 중에 어떤 말도 내가 한 말은 없어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6 - 여기는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교수가 높아 보일거야.
더 나은 위치는 너무 너무 많아.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6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5 - 진정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는 알고는 있냐?
훨씬 교수에게 부담되는 방식임.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6 - 가르쳐야 되는 사람이
본인은 교육에 대한 논문을 안읽고
원생들에게는 연구 논문을 읽으라 하는데
어떤 변명이 필요한지 모르겠음.
너무 당연해서 당연한거지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9
한양대 기계 3.3 → 한양대 기계 석사과정 합격
2025.08.01


A. 학부 대학교
저는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출신이에요
B. 전공, 학점
우선 전체 학점은 3.3 정도로 낮은 편이에요. 그러나 전공 학점은 3.6 정도로 중간 이상이에요. 실제로 이게 컨택 시 학점이 낮아도 커버를 쳐준거 같아요. 특히 유체역학1, 2 그리고 열역학 1, 2 가 A+였던게 다른 낮은 전공성적을 커버쳐준거 같아요. 제가 열 쪽 대학원에 진학했거든요.
C. 스펙: 어학점수, 인턴활동, 대외활동, 자격증
저는 영어를 잘못해요. 전체 전공이 낮았던 이유가 영어 교양이 다들 B0이었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익을 열심히 공부해서 700점대를 돌파했다고 교수님한테 어필을 했어요. 인턴활동같은경우 저는 컨택전까지 없었어요. 컨택하고 입학전 2달정도 미리 대학원에 와서 공부를 진행하라고 했어요. 대외활동으론 친목동아리 회장 한번 한적있어요.
D. 면접 후기(기출 문제)
저는 열역학을 선택했어요. 한양대는 전공 중에 한개를 고르거든요. 열역학 질문은 상당히 간단했어요. 엔트로피가 무었인가? 열역학 3개 법칙을 전부 말해보라. 디젤엔진의 사이클에 대해 말해보라 이 3개였고 전부 대답했어요. 은근 간단하죠? 다들 정장을 입고와요. 저는 모르고 반팔입고왔다가 급하게 친구의 정장을 빌렸어요.
E. 대학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한양대학교는 전공 성적을 많이 보는 듯 해요. 물론 교수님의 마음이겠지만... 동기들 전적대학교를 보면 그렇게 학벌을 보는건 아닌거 같아요. 그러므로 다른 교양같은 어필은 제쳐두고 전공에대한 어필을 해보는게좋을거 같아요. 그리고 인턴활동이 없다고 걱정말아요. 저처럼 컨택과 동시에 미리 들어가겠다라고 어필하면 교수님한테 좋은 반응을 얻을수 있는거 같아요.
서울대 기계공학부 김GPT 2 8 10144
한양대.... 김GPT 0 12 3589
연대 기계공학 대학원 구슬면접 김GPT 0 10 8677-
3 5 4636
연고대 대학원 합격 스펙 김GPT 0 7 6396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GPT 4 6 1541-
0 9 2837 -
0 6 3812
서울대 기계공학과 석사 지원 김GPT 4 7 1972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9 10 7800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7 39 48321
교수님들 학생들은 노예가 아닙니다. 명예의전당 99 49 10483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53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1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8 - 논문이 너무너무 재밌어요
20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0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19 - 교수와 학생의 워라벨
13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1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4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0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1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8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2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42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9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5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12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20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3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2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5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8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4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8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10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