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2000년대 후반 학번 전자과 출신이고 미국에서 박사후에 원래 미국에서 팹리스 다녔었고 지금은 미국에 있는 종합 반도체 회사로 옮겨서 다니는중
나는 대학 입학때부터 반도체 할려고 했음 근데 그때는 반도체 걍 그저 그랬고 반도체 집중 투자하는곳 성대 반도체학과 정도? 근데 그떄는 또 삼성이 그리 워너비 직장이 아니었음
오히려 전자과에서는 SKT 같은 통신회사들이 직장으로 인기많았음 대학원 연구는 뭐 특별히 강조하는것 없이 통신, 신호처리, 로보틱스, 반도체 등등 다양하게 했던걸로 기억함
아직도 기억나는게 2010년대 초반에 무슨 어디 경제연구소인가 어디서 나온 연구 보는데 전기전자과 박사가 뭐 미래에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많아질거랬나?ㅋㅋ 여튼 지금 말하는 반도체 인력난과는 전혀 딴소리 하던 걸 미래 인력 수요연구라고 기사까지 나왔던게 기억남
아무튼 그렇게 대학 졸업하고 2010년대 중반쯤부터 미국 유학했는데 그때 이미 미국에서는 반도체 회사들이 뜨고 있었음 엔비디아 amd 뭐 이런 반도체 회사들 그리고 다른 하드웨어 베이스 회사들도 뜨고 있었음 대표적으로 사람들이 아는게 테슬라같은 회사들
근데도 그때 한국에는 우리는 너무 제조업에 치중한다 우리도 더 가치가 높은 소프트웨어에 집중해야한다 그게 미래기술이다 이딴 소리 맨날 정치인이고 전문가고 하더라 이게 코로나가 우한폐렴이라고 불리던 2020년대 초반,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불과 3년전까지 이딴 이야기들이 정책에 반영됨 내가 너무 얼탱이가 없어서 생생하게 기억남
그리고 팬데믹 터지고 반도체 부족하니까 전세계가 난리나고 다시 제조업 패권을 찾으려는 선진국들이 노골적으로 정책을 내세우기 시작하니까 그때서야 반도체가 미래라느니 하면서 갑자기 말들이 싹 바뀌더라 어처구니 ㅋㅋㅋ
지금은 또 반도체가 미래라느니 하면서 집중투자 한다고 하는데 대체 무슨 자신감들인지 모르겠음 그러다가 또 반도체 말고 다른거 뜨면 어쩔려고? 그떄는 또 집중투자라면서 반도체투자 줄이고 거기에 몰빵하려나? 요즘 fast follower 가 아니라 first mover가 되야한다고 여기저기서 입털던데 이건 패스트 팔로워도 아니고 걍 축구하면서 공만 따라다니는 등신이지 ㅋㅋ
그렇게 미래 예측에 자신있으면 국민연금 분산투자하지말고 그냥 한군데 몰빵해서 국민들 연금이나 든든하게 해줄것이지 ㅋㅋ
반도체 말고 하나만 더 이야기하자면 2010년대 초반만 해도 통계학 기반 AI가 이정도로 뜰거라고 그누구도 예상하지 못했음 내가 전자과 입학할때 내 고등학교 동기중에 한명이 내가 입학한 대학 바로 옆에 있던 대학에 통계학과 입학해서 기억나는데 쟤는 진짜 이상한 학과를 골랐네 우리학교에도 통계학과 있나? 이러고 찾아봤었던게 생생함
그리고 2010년 초반에 슬슬 통계학 기반 이론들이 전자과 컴퓨터 비전 연구에 슬슬 적용되던때 그쪽 석박통합 1년차였던 내 동기 한명이 요즘 갑자기 연구 패러다임이 바꼈다고 나한테 한마디 슬쩍 해줬던게 기억남 그떄도 뭔 소리를 하냐 통계학이 해봤자 세상을 얼마나 바꾼다고 이러고 넘겼었음
물론 그 뒤로 몇년 지나지 않아 전세계가 머신러닝 엔지니어 뽑겠다고 사람없다고 난리난걸 보고 나도 저걸 했어야 하는데 싶었음
그래서 하고싶은 말은 어느 하늘에 해뜰지 어느 구름에 비내릴지 모르는데 대체 얼마나 미래예측에 자신이 있어서 한군데에 자원을 몰빵하는 도박을 하는지 모르겠음 나중에 다른게 더 뜨면 그 결과는 세금 열심히 내고 열심히 일하고 공부한 선량한 사람들이 다 감당하고 자기들은 말바꾸면 된다 이런건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3.08.14
급성장한 나라의 특징이죠. 뭐 하나 잘하는 분야도 없었고 기초도 없었고 자본도 없었으니... 삼성반도체에 의존한 한국과 tsmc에 의존한 대만이 가장 대표적이기도 합니다. 뒤늦게 타 분야에 투자하자니 이미 선진국들과의 격차가 심각하게 벌어져서 투자를 할 수도 없는거구요. 대표적으로 기초과학이 너무 아쉽긴 합니다. 좋게 보자면 잘하는 분야들에만 몰빵해서 경제가 이 정도로 성장한 것, 냉정하게 현시점에서 보자면 작성자님의 의견이라고 보입니다. 그런데 아마 정부 기업 모두 지금도 타분야에 투자하기에는 이미 다른 나라들과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시간과 자본과 노력이 필요하기에 이 상황이 유지될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3.08.17
한국이 삼성 반도체에 의지해서 팹리스와 파운드리가 대만에 압살당하고 IT전자와 중화학공업이 발달했나요?
2023.08.14
10년만 지나봐라 과학계가 불균형 몰빵 불지옥이 될것이니 ㅋㅋㅋㅋ
산만한 피터 힉스*
2023.08.15
정확함
대댓글 2개
산만한 피터 힉스*
2023.08.15
지금 필요한 분야도 적당히 지원하되 신규 분야를 계속 파야하는데 기초과학에 전혀 의지가 없으니 한심함
2023.08.17
뭐가 정확한가요? 남들과 달리 한국이 안하는 신규분야가 뭐있죠? 반도체만 했으면 팹리스가 중국만도, 파운드리가 대만만도 못하지 않았겠죠? IT전자와 중화학공업은 존재하지도 않았구요.
털털한 마리 퀴리*
2023.08.15
뭐 반도체라고 해도 일부는 머신러닝이나 접목시켜서 다른 정세 변화구에 대응하려는 움직임도 있고, 반도체 자체가 여러전공들 모여있는 뭉텅이라고 해야할지. 나라가 작으니 모두 분산투자하자니 여러마리 토끼 놓친다는 위기의식도 있을테고.. 하지 싶네요.
대댓글 2개
2023.08.17
한국은 분산투자 국가입니다. 반도체는 대만에게 따인지 오래에요.
털털한 마리 퀴리*
2023.09.01
생각해보니 그쪽이 맞네요. 하지만 학생은 글에 대한 답변을 하려는 제 의도를 박살을 내버렸어요!
2023.08.15
한줄 요약: 분산 투자 안하고 포퓰리즘에 따라 배팅하는 한국 정부 ㅂㅅ
대댓글 1개
2023.08.17
그랬으면 팹리스 파운드리가 날라다니고 중화학공업은 존재하지 않겠죠?
2023.08.15
내일 당장 핵전쟁이 일어나서 석기시대로 돌아가지 않는 이상 반도체는 계속 좋을거임....생각해보셈 님이 글을 쓰는 컴퓨터든 휴대폰이든 다 반도체고 AI도 반도체임....
2023.08.16
반도체 인력 모자르다랑 전기전자랑 크게 상관이 있나. 오히려 고체물리가 더 가까운 거 아님?
2023.08.17
그렇다고 한국 반도체가 경쟁력이 있냐면 그것도 아님 ㅎㅎㅎ 그저 그냥 메모리 반도체 찍어내는 거 (이것도 엄청 대단한거임) 소프트웨어 플랫폼 경쟁력 없으면 결국 중국한테 먹히는게 제조업
뭐지 이건.. 한국은 반도체와 소프트웨어를 등한시해서 정체된 나라입니다. 한국은 메모리만 했을뿐 제조업과 중화학공업에 올인한 나라입니다.
2023.08.17
뭐지 이건.. 한국은 반도체와 소프트웨어를 등한시해서 정체된 나라입니다. 한국은 메모리만 했을뿐 IT전자와 중화학공업에 이것저것 깔짝댄 나라입니다.
2023.08.17
Amd 엔비디아 테슬라가 소프트웨어지 일반 제조업인가요? 어떤게 미래라고 하면 몰빵하는건가요? 일본은 AI가 미래라고 했는데 왜 AI에 몰빵하냐고 하실건가요? 대체 어느나라가 국민연금으로 몰빵을 합니까? 한국은 모든것에 깔짝대는 나라입니다. 지금부터라도 반도체와 소프트웨어에 더 집중해야되요. AI도 결국 소프트웨어입니다. 안하더라도 반도체는 늘 미래라 정부는 사실을 말한것 뿐이구요.
2023.08.17
다음부터는 글을 쓸때 생각을 하고 쓰시길 바랍니다. 님의 모든 말은 틀렸습니다.
대댓글 2개
2024.03.18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2024.06.28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통신, 휴대폰, 가전 등등 많은 제조업 분야에서 세계 상위권이지요
2023.08.17
님들말대로 다른데 분산했다가 안뜨면? 그때가서 욕할려고? ㅎㅎㅎ 혈세 낭비했다는둥~~ 한국인 입맛 누가 맞춰주나 ㅋ 맨날 비난만 해대는 국민수준때문에 실험적이질 못하고 안전하게 가겠다는데 ㅎㅋ
2023.09.23
축구하면서 공만 따라다니는 등신이지 ㅋㅋ ->>>너무 정확함
2023.12.17
ㅋㅋㅋ 그때 통신도 영원히 발전할 줄 알았지 5G 넘어가자마자 벽에 턱 막힐 줄 몰랐지
2024.07.06
의대 몰빵은?
2024.08.05
반도체 8대공정중 패키징 정도만 극상위권이고 핵심기술은 다 ASML,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등 외산기술이 대부분아닌가요
2024.11.02
인공지능 반도체 집중투자하는것은 지금으로서는 늦었음. 그나마 투자해서 네이버 카카오가 선보이는 기술정도. 반도체는 지금 엔비디아 하청 하고 있고. 이제 그만하고 다른분야에 투자해야함. 한국이 잘하는것 데이터센터, 전력기술, 핵융합이나 소형원자로 그리고 항공기계 기술 키워야함. 이런걸로 단기간 먹고살고 먼미래를 위해서는 물리, 수학, 화학 몰빵 육성해야함. 앞으로 어떤분야가 주가될지 알수없기때문에 기초과학에 몰빵해야됨. 양자컴이든 신약개발이든 뭐든 가능함. 이런생각 정치권에서는 못함. 기초과학에 투자하자고하면 뭔가 시대에 뒤쳐진것같고 광고효과도 미비하고. 글서 안할거임. 이게 우리현실.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육성해봐야 구글 openai 엔비디아 딱까리 하는것이 전부
2024.11.26
소프트웨어쪽에서 성공한 나라가 미국,중국말고 있긴한가? 유럽도 일본도 죄다 미국꺼쓰는데 한국은 한분야라도 잘해서 여기까지 올라온거임 반도체의 중요성은 앞으로 훨씬 중요해질거라 다른게 뜨고 자시고가 없음 니가 말한 소프트웨어 기반이 반도체인거고
2023.08.14
대댓글 1개
2023.08.17
2023.08.14
2023.08.15
대댓글 2개
2023.08.15
2023.08.17
2023.08.15
대댓글 2개
2023.08.17
2023.09.01
2023.08.15
대댓글 1개
2023.08.17
2023.08.15
2023.08.16
2023.08.17
대댓글 1개
2023.09.07
2023.08.17
2023.08.17
2023.08.17
2023.08.17
대댓글 2개
2024.03.18
2024.06.28
2023.08.17
2023.09.23
2023.12.17
2024.07.06
2024.08.05
2024.11.02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