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KP 석사 1학기 마친 햇병아리인데요. 이번 방학 때 박사과정 선배 도와서 페이퍼 하나 쓰는 게 있는데, 영작이 깔끔하게 잘 안 돼서 한국어로 초안 작성하고 GPT로 영작 + 읽고 과한 어휘는 수정 이런 식으로 GPT4를 쓰고 있는데요. 그냥 이게 맞나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영어를 워낙 어려워해서 도움 안 받고는 정말 논문 못 쓸 것 같은데 그러다보니 스스로가 초라해지더라고요. 박사 생각도 해봤다가 영어도 못하는데 무슨 박사냐 싶기도 하고요.
다들 영어 논문은 뚝딱뚝딱 영어로 바로 쓰시나요? 아니면 저처럼 한국어로 쓰고 번역하고 수정하고 … GPT에 의존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7.28
질문 대상에 따라 크게 갈릴 것 같아요. 대상을 명확하게 하시는게 어떨지요. GPT 이전 논문 쓰던 사람들은 의존도가 없거나 크게 떨어질 것이고, 그 이후로 논문을 쓰는 사람들은 꽤나 의존적일 것으로 보이고요.
대댓글 3개
2024.07.29
요즘 전체적으로 어떠신지 궁금했어요. GPT 이전에도 잘 논문 쓰시던 분들은 크게 의존할 필요가 없다고 느끼실 수 있겠단 걸 몰랐네요 …
2024.07.29
저는 안쓰고요. 학생들에게는 조심히, 그리고 잘 쓸 것을권유합니다. 영어로 초안 작성 -> GPT로 아카데믹 영어로 재구성 -> 본인이 직접 수정 하는 절차로만 사용하도록 하고 있고, 이런 절차로 수정된 초안이 살펴보기엔 훨씬 좋더라고요. 가끔 본인 수정 없이 GPT 것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는데 보면 확연히 티가 나서 크게 혼내는 편입니다.
2024.07.29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2024.07.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논문 번역은 지방대생도 다 합니다
more native speaker 처럼 보이느냐가 다르지요
gpt 이전의 한국사람들은 어릴적 유학해서 "영어로 생각하고 꿈꾸는"정도가 아니면 콩글리쉬가 티납니다
과학분야에서는 김치냄새나도 큰문제 없는데
인문사회에서는 김치냄새나면 바로 리젝입니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그런이유도 ssci가 국내에서 씨가마른 (보통 실적인정을 이과 sci = 문과 kci 정도로 취급) 상황이 생긴거로 보이구요
요새사람들은 다 그렇게 영작합니다
대댓글 4개
2024.07.29
김치냄새 나는 것은 인정합니다만, 요새사람들은 다 한다는 식의 근거없는 말씀은 지양하셨으면 합니다.
2024.07.29
댓글 감사합니다
2024.07.30
more native speaker ㅋㅋㅋㅋㅋㅋㅋㅋ 영어좀 이상하게 섞어쓰지말고 걍 다 영어로 쓰던가 한국어로 쓰던가해요..
2024.07.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가이상함
2024.07.29
저널마다 chat gpt 유사성 평가하는곳들도 꽤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마저도 내가 생각하는 표현이 영어로 정확하게 전달됐는지도 확인해봐야겠고요. 근데 저도 몇번사용해봣는데 improved english하면 꽤나 잘 해주긴 하더라고요. 빅저널낼때 최근에는 저는 제가 영작 -> improved script (chat gpt) -> 검토후 내 입맛에 맞게 교정 -> 전문교정업체에 교정 이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냥 chat gpt로 improved script 대놓고 하다가 유사성으로 리젝당한 경우도 봤습니다. 모든저널이 그러진 않을겁니다.
대댓글 1개
2024.07.29
좋은 말씀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24.07.29
앞으로 취업하거나 아예 영어 쓸 일 없으면 상관없겠지만,, 학계에서 장기적으로 있으실 생각이면 연습삼아서라도 초고는 직접 작성하시는게 좋을거예요. 결국 영어로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다 자유로워야 하잖아요, 그리고 쓰는 연습은 영어실력에 도움이 많이 되죠
대댓글 2개
2024.07.29
취업을 꽤나 염두해두고 있긴 합니다만, 앞으로 일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 영어 공부를 하긴 해야겠네요 … 감사합니다
2024.07.29
네 무엇보다 석사때는 어설퍼도 트레이닝 명목으로 이해받을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직접 부딪히면서 연습하기엔 최적의 시기입니다.
2024.07.29
결국 gpt가 일을 잘했는지 알려면 본인이 gpt에 기대지 않아야 원하는 결과가 나옵니다 저는 gpt가 없던 시절 학위를 했기 때문에 쓰지 못했었지만 지금은 gpt로 논문을 쓰고 있습니다. 주로 내용을 미리 영작하고 advanced sentences and scientifical logic을 요구합니다. 특히 scientifical logic은 reference 및 100글자 이내의 gpt의 의견도 담도록 해놨어요. Gpt, gemini, claude 모두 쓰지만 서로 다른 거짓말을 치기 때문에 결국 능력이 없으면 중국식 거짓논문 양산에 일조하는 꼴이되어버리더라구요
2024.07.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hatgpt 한데 그림 그려보라고 하면 어딘가 기궤하고 어색한 그림을 그립니다. 영작도 그렇습니다. 그러니 너무 믿으시면 안 됩니다.
2024.07.28
대댓글 3개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대댓글 4개
2024.07.29
2024.07.29
2024.07.30
2024.07.30
2024.07.29
대댓글 1개
2024.07.29
2024.07.29
대댓글 2개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