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알기론 로봇분야 탑스쿨이 MIT, CMU, Upenn, Stanford, 버클리, Gatech 정도까지로 알고 있는데 (물론 지도교수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혹시 학계에서 UMD, UMich, UTAustin, UIUC등도 탑스쿨로 인식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미박 준비중인데 세부분야별로 인식이 조금 궁금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5.03.10
다 훌륭한 학교지만, 탑스쿨에서 조지아텍 빼고 미시간 넣으면 될듯요. ‘학계에서 탑스쿨’이란 인식이라고 하셨는데 그때는 종합순위도 작용합니다. uiuc gatech 전공랭킹 높지만 종합 30위 밖 세계 QS 100위 밖이라 버클리 미시간이랑 비빌급 못됩니다
대댓글 5개
2025.03.10
+ 근데 학교 순위 좀 낮다고 해당 학교 박사 실력이 더 낮다고는 아무도 그렇게 생각 안합니다. 학생들 실적이나 실력에 대한 정규분포가 미세하게 더 우측에 있을뿐이지
2025.03.10
제가 CS쪽에 가까운 분야다 보니 미시간이 UIUC나 Gatech에 비해 근소하게 밀린다고 생각했는데 종합순위도 고려하면 오히려 미시간이 조금 더 평가가 좋나보네요? 감사합니다
2025.03.10
오히려 학계가 아니고 학부 기준으로 말했는데요.. 학계가 종합순위를 신경안씁니다; “그 학교에 누가 있지“ 이런 느낌으로 학자를 기준으로 인정해주죠. 공대에서 미시간이 uiuc gatech보다 비빌급 안되게 높다는건 말이 안되죠. Cs로 가면 더더욱 말도 안되고요. 로보틱스가 학계기준으로 미시간이 어느 학교 하나 안꿀리게 굉장히 잘한다는 것만 압니다.
2025.03.10
UIUC gatech 정말 공학으로 훌륭한 학교들인데 미국에서 종합적 인식으로는 건동홍이나 인하대 정도입니다. 학부의 경우 입학 장벽이 낮다보니 매해 200명 넘는 한국인이 진학하는 학교이기도 합니다. 사실 제가 다니는 곳이라 피부로 느낍니다. 대가랩도 많지만, 학교 이미지로 봤을때 탑스쿨은 절대 아닙니다..ㅜ
2025.03.10
질문을 잘 읽어봐야죠. 글쓴이는 학계에서 세부분야별로 탑스쿨을 물어봤는데 무슨 미국에서 대학에 대한 종합적 인식 운운하세요. 스스로 글을 쓰면서 맥락을 섞어쓰고 있는거에요. 왜 종합과 세부가 같이 논의되나요? 그게 이미 모순입니다.
학부기준으로 인식이 낮은 건 거의 모든 주립대가 마찬가지입니다. 공립학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학생을 일부러라도 많이 뽑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입니다. 심지어 버클리도 학부는 20위권이에요. 실제로 자식 교육시키는 부모 입장에서는 캘리포니아에서 좋은 주립대학이지 엘리트 학교로 생각 안합니다. 미시간 대학도 마찬가지, UCLA, UIUC, Gatech 다 같습니다. 어딜 다니시는지 모르겠지만 설마 이 학교들 학부 다니면서 그런 소리 하고 있는 건 아니겠죠; 그럼 애초에 피부로 느끼는 그게 학계의 인식이 아닙니다.
그런데 학계에서 버클리 CS 대학원에 대한 인식은 탑스쿨 그 이상이죠. 미시간 로보틱스 박사과정도 들어가기 매우 어려운 과정일거고요. 그럼 거기서부터 이미 종합순위는 떼놓고 생각하는거에요. CS 기준으로 UIUC, Gatech은 탑스쿨입니다. 교수들한테 거기 박사 얘기하면 "거기 CS 탑스쿨이잖아?"라고 반응해요. 참고로 생물학에서 UCSD, JHU는 무조건 탑스쿨입니다. 거기 학부는 랭킹에서 찾기도 어려울 정도로 밑에 있지만요.
2025.03.10
미시간이 로봇학과도 따로있고 흔히 말하는 탑주립에서는 제일 좋음
대댓글 6개
2025.03.10
그리고 UIUC는 미국현지에서 명문대 인식은 아님 위에 분이 얘기했지만 (물론 박사과정 입학은 어렵습니다)
2025.03.10
주립대들의 한계죠. 버클리나 UCLA정도 제외하고요. 가텍은 애초에 떠오르는게 공대지만, uiuc는 분야가 원가 넓고 학부는 보통 사립대에 밀리니까요. 그렇다해도 공대 대학원 기준, 특히 CS/ECE분야에서는 매우 좋은학교입니다. 저도 UIUC에서도 있었고 지금은 탑3에 와있지만, UIUC에 있던 랩 교수가 유망한 조교수였는데 거기랩 입학생들중 MIT나 칼텍 어드미션도 포기하고 오기도했고요. 다이랙트 박사로 오는친구들중 학부가 유덥이나 USC가 있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옆에 퍼듀대에 박사과정은 MIT학부나와서 퍼듀로 박사진학했고요. 그만큼 이공계에서는 학교간판도 중요하지만, 어느랩에 가는지를 훨씬 중요하게보는듯합니다. 참고로 다들 로보틱스랩들입니다. uiuc 박사나오고 실적좋으면 어느대학이든 임용가능할겁니다. 미국현지 인식은 당연히 분야를 안보고 결정하는거니 하다못해 근처 와슈가 더 인식좋을수있죠. 놀웨나 UChicago는 당연하고요.
2025.03.11
쇼펜하우어님,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아직 잘 몰라서 그런 것일 수도 있지만, UIUC에 개인적으로 컨택할 일이 있어서 예전에 로봇 분야 교수님들을 모두 찾아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MIT나 Caltech의 어드미션을 포기할 정도의 라이징 스타 교수님이 계신지는 잘 몰랐네요. 제가 알기로는, N 교수님은 원래 TAMU에 계셨던 것으로 알고 있고, G 교수님은 MIT의 대가 교수님의 제자이시긴 하지만, 박사 학생이나 졸업생 중에 UW나 USC 출신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혹시 가능하시다면, 질문의 본질에 벗어나긴 했지만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2025.03.11
CS/ECE에 있는 랩이고, 순수로보틱스보다 로보틱스를 응용분야로 갖고가는 랩입니다~ 로보틱스로 분류는 안되겠죠. 한국인이 거의 없는 랩이라서 말하는동시에 제 정보가 바로 드러나서 저도 더이상 정확하게 말하기는어렵지만요. 말씀하신 분들은 거의 기계과 기준으로 말씀하시는것같네요. 저도 최근에도 UIUC 기계과 친구만나서 얘기나눴는데, 기계과에 젊은교수랩에도 미시간 안가고 갔던 친구있다고 했고요. (해당글을 저도 하브넷인가에서 본듯한데) 퍼듀에 있는 휴머노이드랩도 라이징스타라고 하기에는 어렵지만, MIT학부나온 친구도있고요. 여튼 뭐 저도 정보를 더 주고싶지만, 제가 드러날것같아서 말은 아끼겠습니다. 저희랩 포함 주변에는 미국학부만 봐도 생각보다 좋은학교 출신들 꽤있었습니다.
2025.03.11
여튼 잘 찾아보시면 나오긴 할겁니다. 랩홈피에는 출신안나와있으면 linkedin 활용하시면 나올거고요. 말씀드린것처럼 지금은 포닥으로 t3에 있는데, 생각보다 uiuc 교수들도 상당히 잘한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자체가 하드웨어 기반보다(ME에 몇분과 Kim교수님도 계시지만), 소프트웨어 중심이기 때문에 하드웨어 베이스로 보시면 당연히 미시간/MIT가 훨씬 잘한다고 생각하고요. publication만 보면 제가 지금있는곳이 오히려 uiuc보다 더 안좋기도 합니다. 그래서 PI가 원래 포닥안뽑는데 굳이 저를 뽑은거기도 하겠죠.
2025.03.11
우문현답 감사합니다 ㅠㅠ
2025.03.11
로보틱스 쪽이면 UMich나 UT Austin도 충분히 탑급으로 인지되는 편이긴 한데, 결국 랩이나 교수님 영향이 더 크긴 하지. 특히 UMD나 UIUC도 특정 세부 분야에선 꽤 강하니까, 지원할 때는 교수님들 최근 연구실적이나 프로젝트 중심으로 보는 게 맞는듯. 미박 준비중이면 학교 네임밸류보단 본인 연구방향이랑 잘 맞는 교수가 중요한거 같음.
2025.04.05
미박 준비중이시면 위엣분 말대로 랩이나 교수가 더 중요하긴 합니다. 탑스쿨가서 실적 부족하게 졸업하는 사람도 많아요….
2025.03.10
대댓글 5개
2025.03.10
2025.03.10
2025.03.10
2025.03.10
2025.03.10
2025.03.10
대댓글 6개
2025.03.10
2025.03.10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