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읽기 처음에는 원래 이렇게 어려워요?ㅠㅠ

2020.08.07

11

7378

안녕하세요.

이번에 카이스트에 입학하게 되어 미리 출근하여

적응중인 늦깎이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교수님께서

며칠동안은 논문 읽어보라면서 주셨는데 이거

혼자 읽는데 시간도 너무 오래걸리고 이렇게

읽더라도 완전히 이해가 잘 안되네요...ㅠㅠ 그래도

안암에서 10등안에 들어 공부 좀 했다고 자신하고 

대학원도 수월하게 진학했는데 나이가 들어 빠가가 된

것 같고, 이걸 2년동안 하고 목표했던 미국박사를

갈 수 있을 지 너무 현타가 오네요....

원래 처음에는 힘든건가요...

타지에 와서 이러고 있으니 술이나 마시고 싶고... 토플이랑

쥐알이 준비해냐하는데 아직 입학도 안하고 이러니ㅠㅠ

이러다가 적응하고 다른 사람처럼 석사학위를 받을 수

있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0.08.07

처음에는 다 그래요ㅋㅋㅋ힘내서 목표한 바 이루시기 바랍니다ㅎㅎ

2020.08.07

안녕하세요 저는 지잡대 석사 1학기차입니다

제가 조언을 할 처지는 아니지만
인터넷에서 본 글들을 바탕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키워드가 생소하다면 제 생각에는 아직 논문읽을 준비가 안됬다고 생각합니다. 도메인 개념을 더 공부하셔야 될 것 같아요

교수님이 주신 논문이면 아마 좋은 논문들이겠죠. 안 읽을수는 없으니 ppt로 정리하면서 읽던가 워드로 정리하면서 읽어나가야 될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에는 너무 안읽혀서 워드에 한 단락씩으로 정리하면서 읽은것같아요.

사실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발표를 하는게 가장 베스트입니다만.. 글쓴이분께서 매우힘드실겁니다 ㅎㅎ;;;

좋은연구하시길 바랍니다 ^^

2020.08.07

ㄴㄴ 응원 감사합니다.
ㄴ 조언 길게 감사합니다. 도메인 개념이란게 영역에 대한 공부라는 것인가요? 사실 제가 과를 바꾸고 온 것이라 이 분야는 연관된 부분을 학부시절 살짝만 배웠는데 배워보고 싶어 진학했습니다. 그런데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 현타가 오네요..ㅠㅠ

2020.08.07

그냥 무작정하는 수밖에 없음

첨엔다그럼

2020.08.07

ㄴ 저도 지금 텍스트 데이터를 해석하는 기법을 제 도메인 영역에서 사용하고있습니다

예 힘들죠.. 교수님도 그렇고 주변에서 연구와 관련 얘기를 할 사람이없습니다 교수님도 큰 방향성만 봐주시지 디테일하게 조언을 해주실순 없으니까요 (분야가 상이하기때문, 융복합연구라는게 많이힘드내요)

저도 현재 우울증이 왔습니다. 힘든 현실이지만 선택을 했으니...

아무쪼록 중도하차없이 끝까지 가셨으면 좋겠내요 ㅎㅎ 화이팅입니다
Antoine Laurent Lavoisier*

2020.08.07

사실 연구를 좀 해 본 사람이 논문을 읽으면 좀 나은데 (나중에 본인 연구에 어떻게 참고하면 될 지 감이 오니까) 학점 관리하듯이 논문 읽으려면 좀 막막하긴 하죠. 논문 목차 다 나오기 전까지는 쭉 막막할겁니다. 그래도 다들 다 어찌 졸업하고 박사가더라구요. 파이팅입니다.

2020.08.07

아직 지식도 부족하고 훈련도 안되었기 때문에 그게 당연합니다. 단시간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꾸준히 노력하고 실력이 나아져서 오늘을 다시 생각할 날이 올거에요.

그리고 그 논문이 읽기 힘든건 다른 요인이 있을 수도 있지요. 저자가 논문을 엉망으로 썼을 수도 있습니다. 논문을 많이 써본 다음에 다른 사람 논문을 보면 잘 쓴 논문만 게재되는게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아마 지금은 논문을 엉망으로 써둬서 읽기 힘든지 내가 모자라서 읽기 힘든지 판단하기 어려울 거에요. 그걸 볼 수 있는 눈을 키우는 것이 학위과정 중에 필요한 한가지 이기도 합니다.

한가지 더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원래 논문은 대개 아주 친절하게 써서 관련 지식이 부족한 사람까지 이해하도록 쓰진 않습니다. 같은 저자의 저널 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한번 비교해보면 어떤 의미인지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늦은 나이에 학위 시작한 모양인데 학위과정 중에 공부하는 즐거움을 꼭 깨달을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2020.08.07

아직 지식도 부족하고 훈련도 안되었기 때문에 그게 당연합니다. 단시간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꾸준히 노력하고 실력이 나아져서 오늘을 다시 생각할 날이 올거에요.

그리고 그 논문이 읽기 힘든건 다른 요인이 있을 수도 있지요. 저자가 논문을 엉망으로 썼을 수도 있습니다. 논문을 많이 써본 다음에 다른 사람 논문을 보면 잘 쓴 논문만 게재되는게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아마 지금은 논문을 엉망으로 써둬서 읽기 힘든지 내가 모자라서 읽기 힘든지 판단하기 어려울 거에요. 그걸 볼 수 있는 눈을 키우는 것이 학위과정 중에 필요한 한가지 이기도 합니다.

한가지 더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원래 논문은 대개 아주 친절하게 써서 관련 지식이 부족한 사람까지 이해하도록 쓰진 않습니다. 같은 저자의 저널 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한번 비교해보면 어떤 의미인지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늦은 나이에 학위 시작한 모양인데 학위과정 중에 공부하는 즐거움을 꼭 깨달을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2020.08.07

ㄴ나도 늦은 나이에 시작하여 공감함

2020.08.07

원래그럼. 나중에는 x싸면서 읽게 될거임.

2020.08.07

다들 조언감사합니다. 처음에는 다들 힘들군요.. 저만 힘든 줄 알았는데 다들 이과정을 겪었다고 하시니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