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 자기가 연구하고싶어서 대학원 간거 아닌가? 연구가 적성 안맞는다고 느끼면 그만두고 취업하면 되는데 취업해서 하기싫은일하면서 돈버는 학부졸업들은 호구인가? 연구를 하는데 왜 성과가 안나오지? 평소에 게임하다가 미팅직전에 벼락치기로 밤새고 열심히 한다고 착각하는건가? 게임을 접으면되잖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48 - 평생 따라 다니고 학부 말 못하는 사람이랑 엮이지 마셈
학부가 창피했으면 편입을 하건 수능을 치건 했어야지
실적 안좋고 애매한 애들이 꼭 세탁한 학벌 말하고 다님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20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6 - 뭔놈이 의대가놓고 여기 들어와서 대학원생 비하하고있냐 ㅋㅋㅋ 자격지심 있음? 남 비하하는 사람들은 자존감 낮은거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4 - 일단 님이 대학원 근처도 안가봤다는건 잘 알겠네요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3 - 의사들의 사회학적 이해 수준과 차별적 언사, 천룡인 마인드는 잘 알고 있었으나 글쓴이가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네.
한 20년 전에 과고 나와서 지금 이공계 교수인데 솔직히 나보다 공부 못했던 애들이 맨날 저러고 앉아 있으니 같잖고 참 자존감 낮다 싶음. 정신 좀 차려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7 - 3년하셨으면 논문 쓰고 나갈 만 하지 않나요?...
교수도 투자한 비용을 회수는 해야죠..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5 - 돈 쫒아 의대 갔으면 그냥 열심히 자격증 따고 돈벌면 됩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3 - 너 하기 나름이지!1
너 학교 과에 딱봐도 이상한 애들 많지 않아?
거기서도 어떻게 하냐에 따라 어떤 결과가 나오게 되는거임!1
학교 프레임에 씌워서 가냐 못가냐 논하는건 이상한 놈이란 소리 들을 가치가 있음!1
너의 인생 전략을 잘 만들 생각을 해바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13 - 좋은 지적입니다. 필드에서 나가서 바라보니까. 문제가 보이죠.
정부 정책이라는게 항상 이런식입니다. 언발에 오줌누기...인건비도 못 주는 저질연구실을 퇴출시키는 방향으로 가는게 이공계 발전방향이지...그 인건비를 국민의 세금으로 떼우고 인공호흡기 달아주는건 이공계 발전방향이라고 할 수 없어요.
또 하나 AI다 양자컴퓨터다 메타버스다 이런거 나오면 우리나라 정부에서 하는 짓거리는 2030년까지 AI인력 1만명 육성. 제약 바이오 연구인력 몇명 육성. 이말은 월드클라스 인력 1000명 투자할 돈을 1/10로 나눠서 표만 얻고 수준은 1/100 퀄리티로 쳐박겠다는 얘기예요.
매년 박사가 1만5천명이 배출된답니다. 의사는 3천명 남짓 배출되요. 시장논리가 가장 철저히 적용되는게 인력시장이예요. 의사들은 똑똑한걸 증명했잖아요. 공급을 줄여야 가치를 인정 받아요. 박사가 의사보다 5배나 더 공급되니까. 의사가 박사보다 5배 더 버는 것도 당연하죠. 여기 연구하시는 분들...정신 똑바로 차리세요. 인력이 늘어나는게 좋은게 아닙니다. BK21도 이제 그만할때가 됐습니다.
IT붐 불면서 개발인력 몇만명 양성 십수년 하고나서 개발자 연봉 바닥 났습니다. 영어되고 실력되는 인력은 이미 실리콘밸리로 떠났구요. 국내 생태계는 말 그대로 씹창 났습니다. 인력을 제한해야지 해당 필드의 임금이 올라가고 좋은 인재가 모이고 좋은 인재가 있어야 혁신이 가능합니다. 인력 모자란다고 머리수만 채우는 정책 그만해야 합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2 - 생각보다 다들 B라고 하셔서 놀랍네요. 제가 CS/AI분야이긴 하지만 실 작업량은 A가 훨씬 많거든요. (10배이상 많은 것 같네요) 통상 컨퍼런스페이퍼가 짧아서 그런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최소 공동저자는 될 줄 알았는데..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4 - 이건 무조건 B죠.
A한테 공동주저자를 주겠다면 말릴 일입니다.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3
학부생 연구실 컨택 메일 내용
2024.03.29

(둘의 차이는.. 인턴이면 인건비 있음. 저처럼 학점 인정 목적으로 하면 인건비 없음의 정도? 그 외에는 비슷한 것 같아요)
메일을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올해 1월에 학기 중(2024학년도 1학기) 인턴으로 지원하고 면담을 했는데, 제가 인턴 경험이 전무하고 교수님께서 가르치시는 이론 과목과 학과에서 열리는 기초 실험 과목(안 들어도 할 수 있긴 한데, 기본적으로는 이 과목을 이수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함)을 듣지 않았습니다. 실험을 안 했으면 학기 중에 인턴을 하기 벅찰 것이라고 하셔서, 이 과목들을 수강한 후 다시 지원했으면 좋겠다고 하셨어요. 이런 상황에서 다시 메일을 쓸 것인데 제가 쓰려고 하는 내용은
1. ~~~ 과목을 교수님 연구실에서 방학 동안 수행하고 싶어 연락을 드리게 되었다
2. 1월에 연락을 한 번 드렸었는데, 그때 ~~~라고 하셔서 이번 1학기에 그렇게 하고 있다. 과목을 수강하며 더 배운 후 연구실에서 연구를 배우고 싶다
3. 교수님께서 연구하시는 분야가 ~~전공으로 학교를 다니며 신선하게 다가왔고, 연구실에서 나온 ~~한 논문을 읽었는데 내용이 흥미로웠고, ~~ 분야에 관심이 생겼다. 본 연구실에서 연구를 배우고 싶다(1월에 연락드렸을 때도 이 내용을 쓰긴 했는데, 한 번 더 써야겠죠?)
4. 면담이 필요하시다면 저는 (강의 제외하고 가능한 시간) 시간에 가능하다. 시간을 제시해 주시면 그때 면담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
참고로, 저는 추후에 이 연구실로 대학원 석사 진학 생각이 있습니다.(석사 졸업 후에는 취업)
이 과목은 말 그대로 학점 인정용이라 이걸 하고 다른 연구실로 가는 경우도 많고, 대학원 안 가고 학사 취업하는 학생들도 많아서 컨택하는 데는 부담이 적긴 한데, 저는 기존에 한 번 연락을 드렸다가 거절당한 상태여서 내용을 좀 다르게 써야 할 것 같아 여쭤봅니다.
대학원 합격 후 메일 김GPT 0 3 9209
대학원생분께 메일 질문 김GPT 1 2 6211
자대 학부연구생 컨택 메일 김GPT 1 7 7827
교수님 면담요청 김GPT 0 0 6298
전기 모집 시 학점 김GPT 6 10 489-
0 3 6169
자대 타과 교수님 컨택 김GPT 0 9 2800
컨택 메일 김GPT 0 3 5749-
3 5 2120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41 31 48451-
70 57 11133 -
161 29 46985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3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3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86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0 - 학벌 낮춰가는거 별로인가요?
7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1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1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22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0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5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11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1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7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2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36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12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3 - Gist와 Kist
10 - 이상한 후배
8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5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28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11 - 다들 컨택 후 확답 몇 개씩 받아두시나요?
7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9

2025년 현대로템 상반기 채용
자세히 보기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