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025.04.25

29

5235

답변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5.04.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BEST 원래 그런게 어딨음 ㅋㅋ 교수가 실적 독점하려고 하는거지. 혹시 나중에 기술이전하면 돈도 혼자 다 먹고 ㅎㅎ 그런 욕심쟁이 교수들 많음. 지분율 5~10%만 떼어줘도 될텐데 별거 아닌 욕심으로 학생들과 연구원들에게 욕먹고 신뢰를 져버리는 어리석은 짓이지.

대댓글 1개

2025.04.27

답변 감사드립니다. 신뢰는 사라지는 것 같기는 합니다. 논문말고 특허 성과도 생기고 추후 지분도 적지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월급받는 입장이라 넘겨야되는 것 같네요

2025.04.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원래 그런게 어딨음 ㅋㅋ 교수가 실적 독점하려고 하는거지. 혹시 나중에 기술이전하면 돈도 혼자 다 먹고 ㅎㅎ 그런 욕심쟁이 교수들 많음. 지분율 5~10%만 떼어줘도 될텐데 별거 아닌 욕심으로 학생들과 연구원들에게 욕먹고 신뢰를 져버리는 어리석은 짓이지.

대댓글 1개

2025.04.27

답변 감사드립니다. 신뢰는 사라지는 것 같기는 합니다. 논문말고 특허 성과도 생기고 추후 지분도 적지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월급받는 입장이라 넘겨야되는 것 같네요

2025.04.25

Q) 원래 한국은 이런식인가요? -> A) 아뇨 그 교수가 욕심부리는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4.27

외국생활을 오래해서 한국을 잘 몰라서 여쭤봤습니다
짓궂은 헤르만 헤세*

2025.04.25

1. 특허 계상률 권한은 교수님에게 있음.
2.그렇다고해서 혼자 지분율 100퍼하는게 좋은건 아님. 성공한대표가 고생한직원들 안챙겨주면 무슨일 나는거랑 같은.

대댓글 1개

2025.04.27

그쵸. 논문에서도 저자들의 순위나 권한은 교신저자에게 있듯이요. 그 부분은 존중하나 이름조차 안들어간다는게 아쉬워서 여쭤봤습니다.

2025.04.25

정신나간 교수인듯…

2025.04.26

기술의 발명과 논문 기여는 다릅니다. 예를 들어 실험 보조 했다고 해서 발명자가 되는 건 아니에요. 물론 아이디어 발전에 기여 했다면 발명자로 들어가야 합니다.

별개로 기업이 발명자 많은 걸 싫어한다 이런 얘기가 있는데 그건 헛소리 입니다. 절차적으로야 따질 필요도 없고, 금액적으로도 기술이전시 10명이 발명, 20명이 발명 이런 걸 따지지 않아요. 그냥 해당 기술 자체를 보고 평가하고 기술이전을 하지 발명자가 많다고 기피하는 건 제가 겪어본 바에서는 별로 없는 일입니다.

2025.04.26

지분은 출원인이 다수일때 해당, 발명자는 지분 및 권리와 상관없음요. 발명자 많다고 기업에서 안사간다는말은 개소리 오브 개소리임. 국내특허는 발명자의 경우 발명등록후 권리는 없으나, 추후 통상실시권을 요청하여 주장할수는 있음. 교수가 발명자조차도 주기싫은 욕심만땅이거나 어디서 미국특허에서의 발명자 요건 듣고 개소리하는 거임. 참고로 국내특허와 달리 미국특허는 법인이 출원할 수 없고 자연인(발명자)만 출원가능해서 발명자가 추후에 권리주장이 가능함. 그래서 미국특허는 등록전후에 법인에게 양도함.

대댓글 1개

2025.04.27

미국특허도 갖고 계시고 돈에 관해 좀 욕심이 있으신것 같긴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04.26

발명자랑 지분권리자는 개념이 다름, 발명자는 학부생 들어가도 상관 없음, 지분권리자는 어차피 교수님 단독이 아니라 학교 산단 비중이 높음,

대댓글 1개

2025.04.27

전 그냥 발명자에 이름이 들어가면 상관없기는 했는데 특허 관련준비및 관련자료 만드는 중인데 다 단독으로 하신다고 하셔서요...ㅎ

2025.04.26

그러다 특허 무효됩니다

대댓글 1개

2025.04.27

관련하여 논문이 제가 1저자로 나갔던걸 토대로 추후 무효를 할 수도 있나요?

2025.04.26

내용만 보면 교수가 문제일 수 있겠으나 전체 내용을 보년 글쓴이가 문제일 수 있는 사안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4.27

제가 문제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으신것 같군요. 특허들의 핵심 아이디어 및 해석 등 다 제가 하고 교수님께 설명드리고 같이 디스커션해서 완성 된 케이스 입니다. 분석도 현재 분야 특성상 이거 할 수 있는 사람이 국내 몇명 없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는 그냥 제가 하는 연구들 거의 단독으로 다해도 내 성과 챙기는 거라 교신저자 의지에 따라 공동1저자로 누가 오든 지분이 어떻든 크게 신경쓰지 않는 입장인데 특허관련해서는 돈과 관련이 있어서 그런지 이름조차 아예 안들어 갈수도 있다는 사실이 놀라워서 여쭤봤습니다

2025.04.26

교수 진짜 ㄳㄲ네 진심 ㅋㅋㅋㅋㅋ

2025.04.27

저희는 9:1했어요 학생이 9, 교수가 1

대댓글 1개

2025.04.27

좋은 교수님이시군요.

2025.04.27

분석은 할 수 있는 사람이 널려있으니 이야기 하기 곤란하고..
특허의 핵심 아이디어에 기여한 것이 있나가 중요할듯 하네요.

대댓글 1개

2025.04.27

특허들의 핵심 아이디어 및 해석 등 다 제가 하고 교수님께 설명드리고 같이 디스커션해서 완성 된 케이스 입니다. 분석도 현재 분야특성상 이거 할 수 있는 사람이 국내 몇명 없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2025.04.27

ㅋㅋㅋㅋㅋㅋㅋ 회사는 발명자가 1명이든 100명이든 기술이전 된 대학 산단으로 돈을 쏨. 아무 차이 없음. 산단에서 이제 발명자들에게 그 돈을 나눠줄때 발명자수가 관건임. 혼자면 혼자 다 먹겠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중에 뭐라하냐면, 맞다. 너는 발명자에 이름이 안들어가 있어서 산단에서 줄수가 없다네.. 아쉽지만 어쩔수없지 ㅇㅈㄹ ㅋㅋ

대댓글 1개

2025.04.27

회식때 여러명이명 회사가 안사간다. 그래서 본인 단독으로 올리고 필요하면 지분에 관해 공증도 해주겠다 이런말씀하시긴 했는데 공증관련 얘기도 없고 그냥 단독으로 하신다고 하셨네요 ㅎ

2025.04.27

현직교수인데 교수가 학생에게 특허권리 주기 싫어하는 실질적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나중에 기술이전하려고 할때 모든 사람 동의를 받아야하는데 나중에 1% 갖고있는 학생이 졸업 후 연락이 안되거나 이전 동의를 거절하면 거래가 터집니다.

대댓글 3개

2025.04.27

학생은 아니고 박사학위 취득자입니다. 이런 이유와 금전적인 부분일 수 있겠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2025.04.27

이 교수님 말이 맞음. 발명자는 올려줄 수 있지만 향후 연락 안되면 진짜 머리 아픔.

2025.04.28

하지만 어떠한 이유든 발명에 기여했는데 이름을 안 넣어줄 순 없는 것이고...

2025.04.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당연히 교수가 지분 100% 가져가야합니다.
특허를 쓰기위한 인프라 (장비, 연구비, 인건비 등) 전부 교수님이 수주한 것입니다. ㅎㅎㅎ

2025.04.30

한 만큼 가져가야죠. 우리랩은 학생들 한게 없어서 내가 다 가져갑니다. 아이디어는 전혀 기대도 안하고 구현이라도 좀 속터지게 안해 왔으면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올해 마지막 김박사넷 밋업! 지금 신청하고 합격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세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