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고1 입니다. 현재 컴퓨터 공학을 지망하고 있고, 최종적으로는 게임 개발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학기 생기부 역시 컴퓨터 공학에 맞추어서 작성한 상태입니다. 근데 AI가 발전하면서 요즘 개발자 취업도 힘들다 그러고 컴퓨터 공학도 매리트가 떨어진다고 그러더라구요.
저는 코딩이 너무 좋고, 제가 직접 무언가를 구현하고 만들어 보는게 재밌습니다. 물론 컴퓨터 자체에도 어느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구요. 그런데 주변에서는 컴퓨터 공학보다는 전기 전자 공학이나 기계공학 등이 취업률도 더 높고 안정적이라고 하더라구요. 뉴스들도 IT기업 채용률이 줄어 들고 있다고 하고, 선생님들도 컴퓨터공학은 들어가기 위한 난이도에 비해 전망이 좋진 않다고 하시더라구요.
하지만 막상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전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고, 나쁘지 않은 의견들도 많은 것 같아서 너무 혼란스럽습니다. 당장 인터넷에 대학관련 커뮤니티만 봐도 좋다 나쁘다로 의견이 팽팽해 보이더라구요.
그리고 다른 한가지 고민은 한국자체가 개발자 시장이 매우 별로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전공 자체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분야라는 이야기도 자주 들리더라구요. 이에 대해서도 의견이 궁금합니다.
한마디로 말씀드리면, 현재 컴퓨터공학을 계속 지망하는 것이 올바른 판단 인지와 정말로 이 분야 자체가 AI에게 먹히면서 무너져 내려가고 있는지, 현직 고등학생으로서 컴퓨터 공학을 선택할 만한 매리트가 있는지가 가장 궁금합니다 현재 불안하고 고민스러운 상황입니다. 간단하게 나마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본인 취업시기가 앞으로 거의8년 이후인데 본인이 좋으면 하는거고요 원래 컴공 자체가 좋아서 하는거아니면 힘듭니다
2025.10.16
원래 산업은 사이클이 돕니다. 지금 기계공 전자공 좋아보이죠? 또 5년 뒤에 역전됩니다. 그냥 소신대로 하고싶은 전공 하면 실력이 더 빠르게 올라올거고, 그러면 취업 난이도도 떨어집니다. CS가 좋으면 CS 하세요.
대댓글 1개
2025.10.16
기계전자 장점은 고점은 왔다갔다해도 저점이 높다는거죠..
기계전자와서 좋아하는 코딩하면서 살 수 있습니다
2025.10.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에서 개발자 안좋다는 말은 10년전 이야기인데 ㅋㅋㅋㅋㅋㅋㅋ
Ai때문에 허접한 개발자가 늘어서 문제지
고급 개발자가 되면 됩니다.
2025.10.16
컴퓨터공학 전공해야만 게임 개발자 되는 게 아님 코딩스킬보다 기획력이 훨씬 중요한 자리죠
2025.10.16
현실적으로 지금 늦지않았으니 진로 변경추천
2025.10.16
공부열심히 하세요. 컴공을 하냐마냐의 이슈가 아니라서요. 제가 보기엔 전보다 학업 역량이 훨씬 더 중요해주는 것 같아요.
2025.10.16
CS에 대한 이해가 높은사람일수록 AI 시대에 좋은 대우 받을겁니다.
2025.10.16
CS분야로 나아가고싶은 고등학생이 할 일: 코딩실력 연마 (x) 학업능력 향상 (o)
여기서 학업능력 향상은 내신 및 수능 점수 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5.10.16
여기에 어느정도 답변 다 달린 다음에, 그거 싹 복사해서 ai에 붙여넣고, "내가 글쓴이인데 어떡해야할까" 부터 시작해서 대화 한 번 나눠보세요
2025.10.16
게임개발자 기준
고점 : 설컴 진학 후, 스타트업 차려서 투자받고 게임 런칭 후 대박내서 중견이상으로 키우기
평타 : 무난한 대학 진학 후, 온갖 국비, 학원, 비전공 친구들과 피터지는 경쟁 후 3N 프로그래머로 입사
내 생각 : 게임 개발은 학벌 가성비가 매우 떨어지는 편 대가리 좋으면 좋은 학부에 수리 컴공 복전해서 해외대학 석박 후( 병렬, AI, 컴파일러 ) 해외빅테크 취직해서 연봉 3~4억 받는게 고점임 대가리 매우 좋으면 각종 cp 에서 상 휩쓸고 학부레벨로 퀀트회사 취직해서 고연봉 받는 것도 가능함 (매우 어려움)
2025.10.16
기계과오세요. 저물지않는 은은한 석양 ㅠ
대댓글 1개
2025.10.16
계과 망한지 오래됬구만
2025.10.16
별쓸데없는 고민을. 대학이나 잘가세여
2025.10.16
컴공은 기계, 전자전기 대비 고점은 높지만 평균점하고 저점이 엄청 낮아요. 졸업할때 다들 너도나도 네카라쿠베에 취업해서 판교에서 폼나는 개발자 생활을 꿈꾸지만 현실은 대부분의 컴공 졸업생들이 구로/가산디지털단지 등에 널려있는 중소 SI로 취업한다는 사실... 유념하시길 바랍니다.
단순 컴공은 졸업자도 많고 간순 개발만 할거면 학원출신과 유의미한 차이가 적긴합니다 다만 별도로 자신만의 특기영역이 있다면 경력쌓이면 연봉올리기도 나쁘지 않고 할일도 많습니다
게임쪽은 개인적으로 추천하기 힘든데, 엔진 직접 개발하거나 손대는 회사도 적어서 있는거 잘쓰는 쪽에 가깝죠 예전처럼 다양하게 개발되는 시기가 아니라서 괜찮은 자리도 잘 안보이는 느낌이랄까 ...
2025.10.17
지금 이렇다고 컴공과 진학 안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다시 기술은 도태하게 됩니다. AI는 기본적인 툴입니다. 사실 개발자도 자신의 기본 능력에 따라 활용도가 천차만별입니다. 실력이 낮은 개발자는 AI로 3-4배의 능력을 올릴 수 있다면, 전문 개발자는 10배의 효율을 낼 정도로 쓰는 사람의 능력에서도 그 실력차가 크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그 안에서 경쟁을 해서 전문 개발자가 되면 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현재 시대에 AI 기술을 기존에 있는 모델만 사용하는 것보다 공부하면서 그 기술로부터 베이스 지식에 기반으로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일상에 일어나는 모든것이 AI 대체를 위해서는 우리의 일상을 모든것을 다 갖춘 모델이 나와야하는 데 그건 먼 미래입니다. 개발자로는 자신의 능력을 키우면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은 확신합니다. 기술이 좋다고 해서 공평하게 돌아가는 것은 아니니까요.
2025.10.17
일단 뭘 하고 싶은지를 찾아보세요. 나이가 어리니 충분히 찾을 시간이 많네요. 자신이 정말 하고싶은걸 찾으면 그런고민은 덜하게 될겁니다.
2025.10.17
대부부분이 학사만 하고 졸업한 사람들이라 취업이 힘든거지 석사따면 그래도 고급자원으로 인정해주는 분위기에요.
2025.10.16
2025.10.16
대댓글 1개
2025.10.16
2025.10.16
대댓글 1개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대댓글 1개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6
2025.10.17
2025.10.17
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