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디자인이나 설계 할 때 실제 유저를 고려 못한 실수를 한다는 거임 프로게이머가 왜 나오냐? ㅉㅉ
2025.10.19
능지실화냐
2025.10.20
관련 전공자가 아닌데도, 잠깐 생각해보면 결국 회사에 돈벌어다주는 주 고객층은 라이트유저가 아닌 니가 말한 겜창인생들이고,
당연히 개발에서는 이 부분들도 주요 요인으로 설정하고 방향을 잡아서 개발해야지 ㅋㅋ
'그건 걍 겜창인생들 얘기임 ㅋㅋ' 이러고 넘어가버리네
2025.10.20
어디아프냐
2025.10.20
이딴게 석사보다 위?
2025.10.19
게임 자체가 아닌 컴퓨터 그래픽스 등 연관분야는요? 코로롱 판데믹때 북미권으로 깨나 인력들이 넘어갔던, 숨은 무지개다리 분야. 요새는 메타버스고 게임이고 휘청거려서 gpu분야 스텝밟고 ai로 다 피벗해가는 것 같다만...
2025.10.19
확실히 일반적인 분야, '전자공학' 이라던가 '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학' 으로 가야 길이 넓음,, 전자공학 > 반도체공학 > 디스플레이공학 이런 느낌,, 물론 디스플레이공학이 나쁜건 아닌데 전자공학 전공해서 디스플레이는 갈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전공해서 전자공학으로는 못간다는 말.
2025.10.19
게임 개발 말고 AI나 데이터 사이언스 활용해서 게임 운영,분석,R&D하는 쪽도 별로인가요...? 제가 그쪽 분야 취업을 희망해서 대학원 컨택 진행중인데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ㅠㅠ
IF : 1
2025.10.19
나는 전혀 다른 전공 박사했지만, 다시 태어나면 게임 개발자 해보고 싶음. 30대 후반 아저씨인데, 아직도 콘솔 게임 좋아하고 새로 나오는거 다해봄.ㅋㅋ(추석에 고스트오브요테이 다 깸) 내가 고민해서 만든 스토리, 고민해서 만든 퍼즐, 세계관 등에 사람들이 몰입해서 즐기고 좋아하면 굉장한 행복일듯.
대댓글 1개
2025.10.19
나중에 은퇴해서 해도 되요. 100세 시대라.
2025.10.20
근데 이건 의료기기업계도 비슷함 의료기기전공보다 생물 화학한애들이 더 범용성있고 관련지식도 많아서 더 도움되는게사실
2025.11.04
교수님마다 다를 거 같긴 합니다. 저희 교수님은 게임 엄청 잘 압니다. 제가 잘 모르는 것도 있기도 하지만, 겜창 친구랑 이야기가 잘 되는 거 보아하니 잘 아는 교수님도 있구나라고 생각을 하게 되었네요.
클라이언트 개발자, 그중 엔진 프로그래머나 그래픽스 프로그래머 이런 쪽으로 하시고 싶으시면 그래픽스 대학원(수학 ㅈㄴ게 잘해야겠죠?), 게임 AI 관련 개발자로 취직하고 싶다 하시면 AI 대학원으로 가시면 될 거 같네요. 그 외는 뭐...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메타버스 분야는 뭐.. 망한거 같고 가상현실, 증강현실은.. 게임이 주된 목적이면 모르겠네요.
결국엔 대학원은 개발하는 곳이 아닌 논문을 쓰는 곳입니다. 데이터를 수집해서 논문을 쓰는게 여러분의 일이자 주된 업무이죠. 개발이 아닙니다.(개발은 할 수는 있죠. 밤새면서 논문 할 거 다하고 개발 할 수 있다면 말이죠. 2년 가지고 될까요?)
게임개발자는 논문으로 증명하는 것이 아닌 게임 내 구현될 기능들을 어떻게 개발하고 왜 개발했고, 성능 개선을 어떻게 왜 무엇을 등등 무언가를 육하원칙하에 만들고 말할 줄 아는 사람인 거 같습니다.
두서없는 댓글이었네요.
저도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자를 목표로 해서 HCI, 메타버스쪽으로 알아보고 인턴연구생으로 체험했었는데 기대했던거랑 완전 다르더라구요.. 논문읽고 논문읽고.. 여러분들은 논문 읽고 싶어서 온건가요? 개발을 하고 싶으신건가요? 구분할 줄 아셔야 합니다.
2025.10.19
대댓글 5개
2025.10.19
2025.10.19
2025.10.20
2025.10.20
2025.10.20
2025.10.19
대댓글 1개
2025.10.19
2025.10.19
대댓글 2개
2025.10.19
2025.10.19
2025.10.19
대댓글 5개
2025.10.19
2025.10.19
2025.10.20
2025.10.20
2025.10.20
2025.10.19
2025.10.19
2025.10.19
2025.10.19
대댓글 1개
2025.10.19
2025.10.20
2025.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