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0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지도교수랑 관계에 대해서 조언한다 (경험담임)
2020.12.05

울 지도교수는 학생들만 수십명 받고 월급은 거의 안주고 논문지도는 사실상 안해주고
(학생이 너무 많아서 본인이 기억을 못함. 몇달에 한번 찾아가보면 기존에 한 말 계속 바꿈)
그래놓고 논문이 없다면서 졸업은 기약없이 안시켜주는 괴수중의 괴수였음
많은 학생들이 각자도생하려고 어떻게든 밖에서 공동연구할 교수를 찾아서 논문을 만들어서 살아남았고 나도 그렇게 해서 겨우 졸업했는데
그 와중에 지도교수는 자존심이 상했는지 엄청 치사하게 굴었음.
기존에 받은 연구비를 반납하라느니, 이런 연구로는 절대 졸업 안 시켜줄거라니 악담을 퍼부었고 내가 쓰던 논문 저자를 뺏어서 뜬금없이 학부생 인턴에게 주기도 했음
진짜 서러워서 운 적도 있음
어쨌거나 난 이 악물고 딴 교수랑 논문을 열심히 쓰고, 내편 들어줄 교수들을 열심히 긁어모아서 겨우 졸업하고 포닥하고 교수까지 되었는데
교수가 되니 지도교수가 180도 태세를 바꿔서 너무 잘해주는것임
큰과제 연구비도 나한테 나눠주고 (물론 실무는 내가 하지만 그래도 감지덕지임)
연구실 후배들한테 xx는 연구를 열심히 해서 성공했다면서 롤모델처럼 이야기한다고 함
지금와서는 지도교수에게 사실 별 감정도 없어졌음 만나면 반가움 ㅋㅋㅋ
정리하면
1. 지도교수가 개같아도 일단 이 악물고 졸업부터 해라
2. 졸업해서 본인이 이용가치가 생기면 지도교수가 잘해줄거다
3.지도교수는 본인에게 큰 인맥이 된다. 최대한 이용해라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김GPT 2075 31 51732-
3 4 18123
임원직 지도교수 김GPT 4 6 1229-
58 14 14068
지도교수님 문제에 대해 조언해주세요 김GPT 1 7 6754
다들 지도 교수님하고 사이 어때? 김GPT 1 13 4247
지도교수에게 언제 실망함? 김GPT 5 29 8195
석사졸업 김GPT 5 13 8113
지도교수한테 할말은 하는 것에 대해 김GPT 3 6 3223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20 19 56086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55 11 13549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19 4 4005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0.12.05
2020.12.05
2020.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