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이 있으면 당연히 교신저자로 넣는게 기본이고
저 둘은 애초에 비교해서 고를 수 있는게 아닌데?
Vilfredo Pareto*
2020.12.26
음 소속이 있는 동안에 하던 연구를 소속이 없을 때 계속 수행해서 제출하면 그래도 이전에 일한 교수님을 교신저자로 제출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실험에 관련된 지원(서버 사용 등)은 급여말고는 일절 받지 않은 상태이긴 합니다.
2020.12.27
ㄴ나라면 교수님 이름 씀. 근데 아이디어는 누구거임?
Vilfredo Pareto*
2020.12.27
아이디어부터 실험설계(는 아직 개판이지만) 다 제거인데 괜찮다면 스택해놨다가 지금 교수님 말고 앞으로 지도해주실수도 있는 교수님을 위해서 아카이브 박제만 해둘까 생각중이에요. 서브밋할 때 첨삭받고 피드백 받아서 저자추가하는건 어떨까요?
Vilfredo Pareto*
2020.12.27
아님 일단 이건 예전 교수님 교신저자 드리고 빨리 다른거 새로 시작하는게 나을수도 있고요. 잘 모르겠네요 양심상 드려야할 것 같긴한데 교수님 생각만하면 화가 나서 빨리 튀고 싶습니다 ㅎㅎ...
George William Friedrich Hegel*
2020.12.27
교신 써야됨. 고작 학사학위 하나 갖고 탑컨퍼런스 단독1저자 쓸수있다고 생각하는게 귀엽네..ㅋㅋ 한번 찾아봐 친구야 니가 생각하는 그런 사람 1년에 몇이나 나오나
Vilfredo Pareto*
2020.12.27
누가 풀페이퍼 단독 1저자 바로 시작해요... 탑컨퍼에 생기고 있는 초심자 제출 워크샵부터 올려서 피드백 받고 워크샵 올리고 그 다음에 풀페이퍼 올릴건데 그거 전부 다 교신저자 넣어야 되는건가요?
Vilfredo Pareto*
2020.12.27
워크샵 정도까지만 올려드려도 합당하지 않을까요?
2020.12.28
풀페이퍼가 아니면 와닿지는 않네요. 열심히 했네 라고 생각합니다
Vilfredo Pareto*
2020.12.28
최종적으로는 풀페이퍼가 당연히 목표긴 한데 바로 시작하는 게 조금 어려울 것 같아서 워크샵제출로 중간계단을 만들어두려고 합니다. 급여 받은게 학과 사업에서 받은게 210정도있고 그건 논문에 지원받았다고 쓰면 되는건데, 교수님한테 받은거가 200~300 정도 될 것 같아서 풀페이퍼까지 내드릴려고 하는게 시장논리상? 물을 흐리는 것 같아서 괜찮은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일단 살짝 떨어지는 학회에 내드릴려고 하는데 그건 또 시간이 부족해서 억셉이 잘 안될 것 같아 나중에 탑컨퍼런스 워크샵을 내드리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2020.12.26
2020.12.26
2020.12.26
2020.12.26
2020.12.26
2020.12.26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8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