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CS 분야 논문 관련 질문

2021.04.08

8

12248

안녕하세요.

저는 딥러닝 기반 영상인식 전공으로 석사 졸업하고, 기업에서 연구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개인연구하면서 논문 투고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연구는 취미생활 겸 향후 박사 진학 등을 염두에 두고 하고있습니다.)

질문 드리고싶은 내용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1. Conference VS. Journal

타 분야는 일반적으로 Journal 실적을 Conference 논문보다 더 쳐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CS분야는 이와 다르게 Conference 실적을 더 쳐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여러 커뮤니티의 글을 읽어보고, 주변 지인들과 이야기를 해봐도 의견이 분분한 것 같습니다.

TPAMI, TIP, IJCV, PR 등 top journal과 CVPR, ECCV, ICCV, NIPS, ICML, ICLR 등 top conference를 비교했을 때, 보통 어느 곳이 더 우수한 실적으로 평가받는지와 결론내시는 이유와 근거가 궁금합니다.
(대체로 우리나라 국가 과제 심사 등에서는 journal이 유리하고, 해외 유명 연구자들이나 FANG 등 기업에서는 conference 실적을 더 쳐준다고는 알고 있습니다.)


2. Main Conference VS. Workshop

CVPR, ICCV, ECCV 등 Top Conference에는 Main Conference 외에 여러 주제를 두고 Workshop이 함께 개최되는데, Main Conference 논문과 Workshop 논문을 어느정도 갭으로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이기적인 루이 파스퇴르*

2021.04.08

1. 컨퍼런스. 현실적으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실적의 질이대체로 우리나라 국가 과제 심사 등에서는 journal이 유리하고 --> 다른과 얘기
2. 1 tier conference > 1 tier journal > workshop

대댓글 1개

2021.04.08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털털한 버지니아 울프

IF : 1

2021.04.08

SNU 비전 랩 같은곳 한번 최근 실적 찾아보세요. 극단적이지만 18년도 이래로 저널을 아예 내지 않는 곳도 있을 정도입니다.

대댓글 2개

털털한 버지니아 울프

IF : 1

2021.04.08

그리고 TPAMI나 TIP 등도 물론 의미는 크지만, 내길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심사기간입니다. Arxiv로 내버리는 이유도 빨리 연구 결과를 선점하고 scoop당할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인데, 1~2년 걸려서야 이미 논문 작성할 당시 SOTA가 뒤집혀있을 정도로 속도가 빠르니까요.

2021.04.08

답변 감사합니다.

2021.08.24

전 어플리케이션, 퍼포먼스 싸움 논문은 탑티어 컨퍼스런에 내고, novel technique 개발은 탐티어 저널에 냄. 진짜 학생 잘 지도하는 교수는 저널:학회= 5:5로 비율로 지도함. 그리고 요즘은 4대천왕 벤지오도 학회에서 논문 수준 떨어져서 욕함 .. 단순 퍼포먼스 싸움, 어플리케이션 선점 싸움도 이제 레드 오션이 된지 오래임. 애초에 창의적이고 세상에 없는 novel 기술 개발이면 탑 저널에 내도 아이디어 뺏길일 없고, BK21사업에서 탑티어 컨퍼런스 IF 4점으로 매긴게 이제 공인화되서 저희 서울대도 이 기준 씀. IF 4점이면 top15~20 랭킹 저널 수준으로 탑티어 저널이라고 불러도 되지만 상위 10위권 탑티어 저널엔 못 비빔.. 회사갈꺼면 학부때 통계,머신러닝 다 떼고 석사때 탑티어 학회 논문내고 취업하는게 젤 나음.

대댓글 1개

2021.08.24

교수되려면 진심 대학원생때 학회활동도 열심히 하고, systematic review paper, tool demo paper 등 다양한 타입 논문도 써보고 경험 많이 쌓아야하는데 지도 교수 역할이 진짜 중요함. 전 이번에 세계 top 3 연구그룹 중 한곳에 조교수 지원했는데 서류 통과하고 면접 대기 중인데, [1순위 = novel technique 논문 수, 2순위 = 관련 학회 활동] 이거 2개가 젤 중요하고 나머진 양념임

2022.12.06

질문이 있는데요,
"""
회사를 다니면서 개인연구하면서 논문 투고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연구는 취미생활 겸 향후 박사 진학 등을 염두에 두고 하고있습니다.)
"""
회사 다니시면서 개인연구해서 논문 투고 하실 때, 이름 어떻게 달고 투고하시나요? 석사 연구실 달고 하시나요?
졸업 후에 저도 작성자님같이 취미 겸, 박사진학 염두하여 연구하고 투고하고싶은데, 석사 교수님은 지도도 잘 안해주셨고, 다시 연락하기 싫어서요.. 다른 교수님으로도 가능한가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