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첫째, 다른 사람에게 방해 됩니다. 직접적인 방해요인이 아니더라도 그게 전반적인 분위기를 서서히 저하시키는 요인이므로 방해되는거예요. 어? 쟤는 유튭보면서 쉬네? 그럼 나도 좀 쉬어도 괜찮지뭐~ 이러다보면 연구실 서서히 침몰합니다.
둘째, 본인 할일만 잘한다? 본인 할일이 회사처럼 딱 끊어서 정해져있나요? 대학원은 왜간거죠? 업무 채워서 인건비 받아가려고 간 건가요? 본인 능력치 끌어올려서 몸값 올리자고 가는거 아닌가요? 그럼 자기 발전을 위해서든 호기심을 채우려든 틈나는대로 알아서 더 찾아보고 공부하고 고민하고 실험하고 해야죠.
본인 할 일만 잘하면 되는데 무슨상관<- 회사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연구실에서는 제일 위험한 말입니다.
연구실에서 예능, 게임 등 관련 유튜브 계속 틀어놓고 하는거 지적할만한 상황인가요?
12 - 삼성 LG 네이버가 지인 추천으로 들어가나요?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8 - 어딜 가나 항상 똑같지만 남과 비교하지 마세요. 비교는 본인이 불행해지는 길 중 하나입니다. 그저 속도가 다르다고 생각하세요.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0 - 사람을 잘 쓰는 게 능력입니다
잘 하는 사람이 있다는 건 축복입니다
못하고 못알고 자기말만 맞다고 하능 사람보단 낫잖아요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3 - 잘못된건 없는데 글 타이틀에 고등학생인데는 필요없는 말 같아요 흑백요리사의 안성재가 말하는 식용꽃같은 느낌이랄까
안녕하세요. 고등학생인데 질문 있습니다
6 - 그러면서 성장하는겁니다ㅎㅎ
똑똑한 사람인가보죠. 하지만 더 오랜기간 공부하고 노력한 그 흔적은 또 크게 좋은 일로 돌아올거에요 .
2년차면 아무것도 못할 시기가 맞습니다. 특히나 물리학과라면요. 저희 연구실 3-4년차에도 논문하나 없는 경우 허다합니다.
길게보세요. 주변과 비교하지 마시고요. 그 실적 좋으신분은 똑똑하셔서 할일을 잘 하고 계신거지만, 그사람보다 못한다고 본인을 낮추는 자세는 좋지 않습니다.
타대에서 오면 적응하기도 쉽지않았을겁니다. 오히려 1년반동안 내 부족함을 알고 그걸 채우기 위해 앞으로도 나아가시길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1 - 나보다 못한 사람들만 있는 곳에선 골목대장 노릇하는 기분은 좋을지 몰라도 성장하고 배울 것이 없습니다. 그런 굇수의 존재는 축복입니다. 축복을 배움과 성장의 발판으로 적극 받아들일지, 스스로 벽을 세우고 움츠러드는 길을 선택할지 잘 고민해보길 바랍니다.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1 - LG 삼성도 못가는데 미국포닥?ㅋㅋㅋㅋ
웃고갑니다…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8 - 미국 포닥이 가기 더 쉬워요.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13 - 대학 수준을 입결로만 평가하는 당신의 수준이 한심합니다.
이원화 캠 수준
10 - 경희대수원캠은 90년대엔 광운대급이었고, 2000년대쯤부턴 문과는 국숭세, 이과는 건대급이었습니다
이원화 캠 수준
7 - 학회는 돈 벌면 그만이에요…. AI 솔직히 연구한다는 사람도 대부분 자기가 뭘 만들었는지 잘 모르지 않습니까. 그래서 연구 자체가 템플릿화 되어서 안전하게 페이퍼 뽑는 방법론이 있고요. 거기서 퀄리티 걱정된다고 예를 들어 억셉률 줄이면 쟤보다 내가 더 잘했는데 뭐냐고 난리납니다. 어차피 누가 뭘하는지 잘하는지 객관적으로 판단도 어려운데 몇천개 억셉 랜덤으로 줘버리고 그렇게 분야의 거품이 슬슬 상한가 치는 몇년 동안 바짝 돈 벌고 빠지는거죠. 원래 역사가 길지 않은 학회는 그런 사업형태를 보여주게 마련입니다..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9 - 안녕하세요, 아무리 불경기라지만.. 저 그래도 많이 노력한 것 같거든요..곧 졸업인데, 이 정도면 서류면접 잘 준비해서 저도 연구실 탈출해서 회사원 할 수 있겠죠?
아래는 제 스팩입니다. 특정될까봐 러프하게 적습니다.
전자공학과, 반도체 소자 전공
-학부: 건동홍인아, 학점: 3.7/4.5, 실적: 국내 학술대회 포스터 1저자 1회
-대학원: ykssh, 학점: 4.0/4.5, 실적: sci 1저자 2편, 2저자 1편, 국내 학술대회 포스터 1저자 1회, 삼성 산학과제
특허x, 경력x, 자격증x
나이, 성별은 27, 남자, 군필입니다.
이 정도면 삼성하이닉스 가겠죠?
7
이렇게 물박사가 되어가는거 같아요...
2021.07.31

학벌로도 학위로도 어디가서 꿀리지 않을 것이라고는 자부합니다.
연구 성과도 교수님이 워낙에 타이트하게... 학생을 압박하는 스타일이시라서 나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졸업할때까지 1저자 논문 4개 이상은 적어도 쓸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선 꽤 높은 저널에 퍼블리쉬된 논문도 있고 높은 저널까진 아니더라도 완전 낮은 수준 저널에 낸 논문은 하나도 없습니다. (교수님이 일정 수준 이하의 논문은 논문으로 취급도 안하시기에... ex. if 5 이하, jcr% 상위 20% 이하 등...)
이 외에도 기타저자로도 논문 실적이 다수 있고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 같습니다.
학회 발표, 수상등을 생각하면 실적은 충분히 쌓인 것 같습니다.
큰 의미가 없긴 하지만 학점도 썩 나쁘지 않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어디가서 제가 속해 있는 과 전공수업들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숨이 턱턱 막힙니다...
정말 하나도 모르겠어요...
제 연구분야를 설명하라면 백번이고 천번이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전공과목에 대한 지식이 진짜 박사 맞나 싶을만큼 처참합니다...
명색이 이공계 박사인데 솔직히 일반화학, 일반물리, 일반생물, 공학수학 질문하면 단 하나도 제대로 대답할 자신이 없습니다...
그 외에 전공과목들? 더 모릅니다...ㅋㅋㅋㅋㅋ
예를 들어 만약 전기전자 전공인 사람이 회로나 신호, 시스템 등에 대해 대답할 수 없다던지
화학공학 전공인 사람이 열전달, 물질이동에 대해 대답할 수 없다던지
기계공학 전공인 사람이 4대 역학에 대해 대답할 수 없다던지
이런 느낌입니다...
명색이 이 과에서 학석박을 하며 10년을 공부했는데 정말 남은게 없습니다...
벼락치기로 학점따기에나 급급했지 지나고나니 고등학생과 다를게 없는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중에 교수는 커녕 (누가 누구를 가르치겠습니까) 정출연이나 기업에 간다쳐도 이렇게 전공 지식이 허접하고 수준 이하인 물박사를 누가 뽑아줄까 우울하네요...
남들은 그냥 겸손하다던가, 기만한다던가 생각하겠지만 정말 이 학벌, 실적등을 가지고 있음에도 냉정히 봤을때 저는 그냥 물박사도 아니고 정말 물물물물박사가 될 것이 불보듯 뻔한 상황입니다...
제 실력을 제가 아는데 그럼에도 그냥 학벌과 실적만으로도 먹고 살 수 있을지 고민이 참 많네요...
요즘 대학원생 이상한 애들 많다 김GPT 144 48 45029
인생 망한 것 같은데 어떡하죠 ... 김GPT 18 26 40483-
58 19 12473
물박사가 회사로 떠나며 남기는 푸념글 김GPT 45 15 31950
이거 실환가요..? 김GPT 4 11 8506
너무나도 부끄럽네요 김GPT 16 6 7496
아 걍 대학원 가지말까.. 김GPT 9 10 8920
찌끄래기가 박사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김GPT 17 9 4603
저같은게 대학원 왔어도 됐던걸까요 김GPT 12 14 8520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19 4 41097-
306 31 90075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288 94 8267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19 - 너무 힘들어요
14 - 스펙 평가 및 질문 드립니다.
16 - 30살에 석사 가는건 미친짓인가요?
11 - YK / ist 배터리 랩 고민
11 - 자대 지거국 인기랩 vs ist (배터리)
11 - 이원화 캠 수준
14 -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13 - 인하대 관련학과에서 spk ai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편입 고민
11 - 키보드 소음 심한 선배
11 - 학부생 3저자는 아무 의미 없나요?
9 - AI 탑티어 쓰는 연구실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잘 쓰나요..
10 - spk 대학원 진학 학점/석차 질문드립니다.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대학의 rescinding offer (Cornell, UMich) 에 대한 단상
10 - 한국 대학원 석사 후 재도전 vs 미국 박사
16 - 스펙 확인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미국 탑스쿨 박사 희망중입니다.
21 - 미국 박사를위해 봉사시간 채워야 할까요??
10 - Uiuc Purdue 중 고민이 많이 됩니다.
12 - 너무 힘들어요
14 - YK / ist 배터리 랩 고민
11 - 자대 지거국 인기랩 vs ist (배터리)
11 - 이원화 캠 수준
14 -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13 - 인하대 관련학과에서 spk ai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편입 고민
11 - 키보드 소음 심한 선배
11 - AI 탑티어 쓰는 연구실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잘 쓰나요..
10

UNIST 2025학년도 후기 대학원과정 신입생 모집
· 원서접수 : 3. 26. (수) 10:00 ~ 4. 8. (화) 18:00
2021.07.31
2021.07.31
2021.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