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졸업자분들 삼성전자 vs 정출연 어디를 더 선호하세요?

2020.01.10

19

39226

SPK 졸업자 분들


<삼성전자>

과장급입사 성과 Max시 연봉 1억~1억 3천 시작

입사난이도 쉽고 30살 31살 일찍 시작가능

대학원 생활 삼성장학금

단점: 정년이 50 초반 정도로 끝일 가능성 높음, 전공 적합도 따지면 손해


<상위 정출연>

정년 65세까지

상위권 정출연의 연봉시작은 5 6천 정도이나 40후반 50대부터 1억넘긴다함

원하는 연구, 워라벨 보장

단점: 비정규직 정규직화되면서 입사 난이도 dog헬, 박사졸해도 포닥까지 갔다와야되는 경우 허다, 프레쉬박사로 힘듦, 정출연에 따라 연봉이 많이 낮을 수 있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0.01.10

정출연 본부장급 짬밥 되시면, 연봉도 무시못하고... 교수들도 고개를 숙이는 그런 자리랍니다. 폄훼할 의도는 없지만.. 스트레스 강도는 말 안해도 알것이구요.

2020.01.10

ㄴ본부장은 연차 쌓이면 대부분 다는 것인가요?

2020.01.10

잘못알고계시네요 요즘은 박사해도 과장급에서 시작 안합니다
그리고 삼성전자 프레시박사연수입 다 끌어모아도 1억 안넘습니다 정출연에 대해선 잘 모르겠으나 회사와 정출연은 상대가 안됩니다. 저는 카이 출신인데 저희 과 기준 상위 10프로만 교수나 정출연가고 나머진 다 회사

2020.01.10

ㄴ2019년 포공 기계 박사졸하신 분이 과장급으로 가셨던데요..? 연봉은 잘 모르겠으나 하이브레인에서 본 것을 토대로 적었습니다

2020.01.10

spk는 프레시박사 삼전 과장입사 맞아요
나머지 학교가 그 아래급으로 감

2020.01.10

스트레스 강도를 따지면.. 사기업보다는 연구원이 덜하지 않을까욥
Johannes Kepler*

2020.01.10

연봉 1.3억은 헛소리.. 본봉이 6천선인데 PSPI 맥스받고 야근 엄청해야 1억 넘길까말까임
삼전가느니 논문쓰게해주는 타 연구소 가는게 나음 어차피 거기 눌러앉게되면 경력 꼬인거..

2020.01.10

하이브레인넷 글에선 SPK 프레시박사
본봉 6800
PS 3000
PI 1000
외 박사수당 등 합쳐서
1억 1000이상 이라고 적혀있었습니다. 야근은 주 52시간제로 사라진지 꽤 되었다고 하구요

2020.01.10

확실히 워라벨은 상위 정출연이 압살할거같네요
Johannes Kepler*

2020.01.10

그리고 연봉 1,2천 차이보다 본인 커리어 유지가능한 (논문 찍어낼 수 있는) 자리가 훨 좋음
아니면 이직 불가능해져서 평생 거기 다닐 수밖에 없는데
젊고 빠릿한 애들 새로 계속 들어오면 후달리지

2020.01.10

ㄴ그런거 같은데.. 왜 설카포 분들은 절반이상이 삼전하닉 가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정출연 자리가 너무 적은걸까요?
V.S. Naipaul*

2020.01.10

설카포 아니라도 과장으로 갑니다.
V.S. Naipaul*

2020.01.10

정출연 설카포만 가는게 아닙니다. 다른 학교 박사 분들도 많이 갑니다. 그리고 어짜피 졸업하면 70퍼센트 이상은 대기업갑니다
Johannes Kepler*

2020.01.10

정출연자리는 애초에 얼마 안되고
얼마전에 정부에서 비정규직 강제전환해서 TO 그나마 다 날아감

2020.01.10

서카포 아니라 미국박사도 국내 정출연교수 자리 없어서 방황합니다 교수정출연 하늘의별따기입니다

2020.11.21

미국에서 박사따고 메이져 정출연 중에 하나에서 병특중인데 정출연 연구 문화 진짜 쓰X기임. 꼰대들이 젊은 연구자들 한테 빨대 꽂을 생각밖에 안하고 일도 안하면서 바쁜척만 하는.... 밖에서는 완전 탑급 정출연으로 좋을 거라고 생각해주던데 정작 나는 들어와서 속 앓이만 엄청함. 그렇다고 돈 많이 주는 것도 아니고 군대만 아녔어도 이딴데는 안 다닌다 싶음. 정출연 병특 했던 친구들 이야기 들어봐도 정출연 썩은 문화에 욕 많이 했고 대부분이 병특 끝나고 유학이든 다른 진로든 뛰쳐나갔음. 나도 정직원 지원 의사 타진 들어왔을때 안 한다 했음. 삼전가서 돈이라도 왕창 땡기던가 영주권도 있는데 미국으로 되돌아 가면 갔지 이런데서 썩어가고싶지 않음.....
요새 젊은 박사들 회의감도 많이 느끼고 기회되면 학교로 탈출 하려고 하는데,,,,, 학교도 인서울 상위권이나 IST, 지거국 안가면 연구 환경도 안되고 학생 받기도 힘듬 (사실 지거국도 연구환경은 안 좋음). 나는 애초에 박사딴게 교수나 정출연 연구자 말고 스타트업이나 딴거 하려고 딴거라 가는 길이 다르긴 한데, 객관적으로 놓고 봤을때 연구 할거면 한국 리턴했던 학위자들이 왜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지 알것 같음.

2021.01.10

삼전 서카포만 박사들 CL3 주는거 아닙니다. 조선대 박사님도 봤고 부산대 박사님도 봤습니다. 특정학교 무관하고 박사는 일단 CL3 로 알고 있어요. 회사와 입사자 서로의 필요에 따라 입사가 진행되었겠죠.

2023.02.10

설카포는 무조건 cl3고
다른학교는 대학원경력 7년이상만 cl3줘요

2024.11.21

24년도에 왔습니다

몰락하는 삼성과 정출연은 더이상 비교 불가입니다 ㅋㅋㅋ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