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자연대 학부 졸업하고 자교 의과대학 신경질환 랩에서 석박 하고 있습니다.
프레시 박사로 KIST같은 정출연에 가려면 어느정도의 스펙이 필요한지 여쭙고 싶습니다. 랩은 논문이 잘 나오는 편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1.08.31
모집 분야가 우선 맞아야합니다. 신경과학 전공이니 뇌연구소에 관심있을텐데 그쪽 PI 자리는 매번 모집 분야가 좀 상이합니다. 실적은 보통 지거국 조교수 임용 정도 난이도라 보면 됩니다.
대댓글 2개
2021.08.31
지거국 조교수 임용 난이도가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ㅜ 감사합니다!
2021.08.31
최근 리크룻 되신 분. 실적 보고 판단해봐요. https://sites.google.com/view/kist-bsi-bms-hseong/people/principal-investigator?authuser=0
2021.08.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거국 조교수 임용 난이도가 더 높지 않을까요?
Kist가 그리 어렵나요?
대댓글 1개
2021.08.31
어려워요. Kist는 바이오 관련 정출연쪽에선 최상급이고 선임연구원으로 최근 온 분들 보면 대부분 교수 임용 준하는 실적 가졌습니다. 작성자가 신경과학이라고 하면 fresh로 선임연구원 간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S대 의대 실적 나오는 신경쪽이면 뭐 ㅁㅇㅎ 교수나 그런 랩일텐데 왠만한 신기술이나 논문 실적없이 가기 어렵습니다.
2021.08.31
잘가는랩에서는 그래도 많이가는곳도 있긴한데, KIST같은 선호도높은 정출연은 spk졸업생중 10%도 못갈듯. 특히 서울매리트랑 인건비때문에 KIST는 상당히 선호도가 높은편이죠.
IF : 1
2021.08.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케바케인데 대부분 S대학부 + 탑스쿨 박사에 젊은사람 선호하는듯함
예전에 S대학부 + MIT 박사분도 떨어지는거 봤음
대댓글 3개
2021.08.31
탑스쿨박사아니더라도, S대 박사가 KIST에 많이가고, K대 박사가 KIMM에 많이가는 경향이 있음. 이게 지리적 영향도 배재못하는듯. 실제로 KIST랑 s랑 협업 정말많이 하고, KIMM이랑 k랑 협업 많이함. K실적좋은랩인데 선배들도 KIMM, KIST 양기관에 둘둘씩 가있는데, 다 박사과정 연구가 각 기관이랑 같이하는 프로젝트와 결이 같았음. 다들 연구실 아니면 기관에서 포닥좀하다가 들어감. 꼭 탑스쿨이거나 포닥실적없어도 결과적으로는 같이 일 할만한사람 뽑는거라서 연구결이랑 프로젝트 같이하는게 상당히 유리한것같음. 저희연구실은 포닥간분들은 모두 임용됨..
2021.08.31
허탈한 에르빈 슈뢰딩거/
혹시 분야와 출신 대학원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2021.09.01
출신은 말씀드렸고 (k), 분야를 말하면 특정지어지는 랩이라서 대충 전자/기계과쪽 입니다. 근데 주변에 실적잘내는 인기랩들은 다들 출연연 잘가요. 같은분야에서 s에도 잘하는랩있는데 거기 박사졸업생도 KIST/KIMM/학교임용 많이 됐네요. 비율보면 비슷비슷한것같아요. 출연연 30%, 교수 2-30%, 나머지 삼전
못된 로버트 후크*
2021.08.31
포닥 경력 있어야죠 일단.
2021.08.31
kist는 거의 해외박사 최소한 해외 포닥 없이는 서류 광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직 지거국 조교수지만, kist 서류 광탈입니다. 지금은 경력 인정받으면 될지도 모르겠지만..
대댓글 1개
2021.08.31
결국 해외포닥인가요 ㅜㅜ
2021.09.01
회사 갈꺼면 해외 포닥 그렇게 필요 없지만 정출연/학교 등의 학계로 가려면 국박은 해외포닥 다녀온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이 임용 가능성이 매우매우 차이납니다. 포닥 없이 학계 두드려서 성공한 특수 케이스는 소수에요. 최대한 확률을 높이려면 어렵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일반적인 길로 가시길 바랍니다. 아니면 아예 회사로 방향을 트시던지요.
박사 졸업 후 국내포닥 마냥 오래 하면서 해외포닥 경력은 계속 없고 지원하면 계속 안되고 하는 것이 가장 안타까운 케이스입니다. 학계를 노리려면 국내포닥은 짧게 해외 나가기 전 발판으로 하거나 해외에 더 오래 있기 힘든 경우에 와서 계속 지원해서 1~2년 안에 자리 잡는 경우 말고는 비추입니다.
IF : 2
2021.09.01
KIST는 직무적합성과 실무능력이 중요합니다. 논문 숫자로 순위 매기거나 줄 세우지는 않습니다.
2021.09.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ETRI로 오세요
2023.06.17
음 제가 본 바로는
바이오, 뇌과학쪽은 타 센터 대비 빡세요. 왜냐면 바이오, 뇌과학쪽 연구소, 교수자리가 많지 않고 (산업 사이클 보시면 알듯) + 바이오, 뇌과학쪽 저널들이 기본적으로 high IF 저널들이 많고 + 그만큼 괴수분들이 많음.
타 센터로 보면.. 기본적으로 S>K인거같긴한데 해외박사?를 선호하는건 잘 모르곘지만 해외포닥은 거진 필수.. 그리고 생각보다 실적 안좋은분들도 (그냥 박사구나 싶은) 은근 있습니다. 지거국 교수얘기하는분도 계시는데 요즘 지거국 교수들 임용 실적보면.. KIST는 양반이죠. 포공은 많이 없는데 여긴 애초에 사람수가 적어서 적은거같고 ..
2021.08.31
대댓글 2개
2021.08.31
2021.08.31
2021.08.31
대댓글 1개
2021.08.31
2021.08.31
2021.08.31
대댓글 3개
2021.08.31
2021.08.31
2021.09.01
2021.08.31
2021.08.31
대댓글 1개
2021.08.31
2021.09.01
2021.09.01
2021.09.01
2023.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