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SPK 중 한 곳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제가 내년에 있을 서울대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 입시에 지원해보고자 하는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 이렇게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ㅠㅠ 현재 재학 중인 분들이어도 좋고 아니어도 좋으니, 자유롭게 아시는 부분에 대해서라도 답변 주실 수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제 질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울대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의 경우 사전 컨택 없이 합격 이후에 1학기 다닌 후 랩실을 배정 받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것이 말만 그렇게 되어 있는 형식적인 과정인지, 혹은 정말 사전 컨택이 아무 소용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래도 입학 전 교수님들을 뵙거나 인턴을 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을까요?
2. 연구실 홈페이지들을 둘러보았을 때 석/박사 학생 분들 나이대가 다른 대학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 같은데, 학부생을 잘 안뽑는 분위기인가요? 혹은 학부생이 가지는 스펙으로 들어가기 어려운 곳인지도 궁금합니다.
3. 서울대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 석사 졸업 이후 석사/박사 전문연이 가능한가요? 혹시 관련 사례가 있다면 알려주실 수 있다면 감사하겠습니다.
4. 전반적인 연구실의 학비나 인건비가 어느 정도 수준에서 형성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인 서울대학교 대학원과 같은 학비/인건비 수준을 가지고 있나요?
5. 제가 지원 시 석사 과정으로 지원할 생각을 하고 있는데, 혹시 석사 과정의 합격률이 석박통합에 비해 많이 어려운 편인가요?
여러 질문 드린 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가능한 부분이라도 답변 주실 수 있다면 고민하는 학부생에게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ㅠㅠ 미리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05.18
안녕하세요 작년에 S대 데싸 합격하고 K로 간 학생입니다. 저의 경험에 비추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컨택 없이 합격하였습니다.
2. 대부분이 학부생입니다.
5. 통합보다 석사과정 모집생이 월등히 많습니다. 석사과정이 합격하기 수월할것으로 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5.18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컨택 없이 합격하였다는 것이, 합격 이후에도 바로 랩 배정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1학기 지난 이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컨택이 아무 의미 없다는 것으로 받아들여도 될까요?
아 그리고 혹시 가능하시다면 데싸 포기하시고 K대 AI로 가신 이유도 대답해주실 수 있나요? ㅠㅠ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22.05.19
재학생인데요, 조심스럽지만 저도 비슷하게 고민했던 시절이 있었기에 답글 남겨요.
1. 말하신 대로 1학기 후에 지도교수님을 정하는 거라 사전 컨택이 필요없다는 얘기를 많이 합니다. 그렇지만 연구실 별로 TO가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교수님과의 사전 교감이 있어서 나쁠 것 같지는 않아요. 계획에 따라서 움직이면 좋겠죠. 꼭 들어오지 않는다 해도 교수님 연구 분야가 재밌어 보인다든지 연구 경험이 필요하다든지...
2. 건너편 K 대학원이라든지 혹은 서울대 컴공 전전 등과 비교하면 아무래도 나이대가 조금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 면은 있어요. 구성원 중에 직장 경험이 있는 분도 많고 다양한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학부에서 다이렉트로 온 케이스도 많고 학부생을 안뽑는 분위기는 절대 아닙니다.
3. 아직 대학원 초기이고 저는 군필이라서 자세히 알아보지는 않았지만 전문연 제도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4. 교수님이 정해지지 않은 첫 1학기에는 무급으로 다녀야 하지만 연구실에 들어가면 일반 대학원과 같아요. 분야가 분야인만큼 인건비가 부족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5. 정확한 경쟁률은 잘 모르겠지만 최근 트렌드로 볼 때 석사는 면접에서 서류에서 붙은 사람 중 한 절반 정도 떨어지는 것 같고요 석박통합은 지원자 수가 적은지 서류에 붙으면 거의 통과하는 것 같았어요. 그런데 학부가 spk 컴공이면 웬만하면 통과되지 않을까 해요 걱정하지 마세요.
대댓글 2개
2022.05.19
감사합니다!! 혹시 학비 같은 경우는 일반적인 서울대 대학원과 같은가요?
2022.05.20
학비는 정확히 생각 안나는데 450정도라서 일반 대학원보다 비싸다고 보셔야 돼요. 으레 대학원 앞에 '전문'이 붙으면 학비가 비싼것 같네요.
2022.05.19
이번에 서울대 데싸 박사과정 합격자입니다. https://open.kakao.com/o/sU6fsSge 로 문의 주세요
대댓글 2개
2022.05.19
링크가 삭제되었다고 뜨는데, 혹시 한번만 확인 가능하실까요? ㅠㅠ
2023.08.28
안녕하세요. 이번에 데싸 지원하는데 문의 좀 드려도 될까요?
2022.05.21
1. 컨택 진짜 없음, 1학기 말에 따로 컨택 기간 줌
2. 학부에서 바로온 사람 많음. 반 정도
4. 거의 대부분 랩 풀로 채워 줌
2022.05.28
1. 인턴할 경우 서류 심사할 때 담당 지도교수에게 어떤 학생인지 물을 수도 있습니다. (담당 지도교수가 심사위원이 아닐 수 있음)
2. 학부출신 많음.
3. https://gsds.snu.ac.kr/category/board-50-GN-KFUcID30-20210318235757/
4. BK21 + 연구비 등으로 가능하면 채워줌. 랩 by 랩
5. 약 4~5 대 1수준. 석박의 경우 "박사"할 잠재력이 있는지 보므로 다 채워서 뽑지 않을 수도 있음.
대댓글 2개
2022.05.28
오 감사합니다!! 근데 1번 같은 경우는 그럼 인턴을 잘하면 당연히 득이 되겠지만, 오히려 어설프게 하면 실이 될 수도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2022.05.18
대댓글 1개
2022.05.18
2022.05.19
대댓글 2개
2022.05.19
2022.05.20
2022.05.19
대댓글 2개
2022.05.19
2023.08.28
2022.05.21
2022.05.28
대댓글 2개
2022.05.28
2022.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