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혼자서 진행한 연구를 교수님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진행했고, 결과가 괜찮아 논문을 작성했습니다.
제 분야 자체가 논문 쓰기 엄청 힘들다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생각 이상이네요.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게 논문 작성의 일반적인 흐름이지만, 제 분야는 공학임에도 불구하고 철학적인 요소가 너무 많이 들어갑니다. 이 이유로 글 쓰는 스킬이 매우 중요하구요.
안타깝게도 저는 글을 잘 쓰는 편은 아닙니다. 특히 장문의 글을 쓸 때 매우 힘들구요
교수님께 피드백을 몇 번 요청 드렸지만(위에 선배가 없습니다) 돌아오는 답은 항상 좋지 못했습니다.
최근 회의하면서 현재까지 작성된 논문을 베이스로 교수님이 직접 고치시겠다고 말씀하시네요.
그러면서 하시는 말씀이 보통의 석사들은 보고서 정도로 작성을 한다고, 본인이 쓰는 과정을 한 번 보라고 합니다.
솔직히 이런 말이 나온 시점에서 자존심도 자존심이지만 제 자신에게 화도 나고, 많이 한심했습니다.
이런 상황이 일반적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래도 논문은 직접 끝내고 싶다는 생각은 여전히 있네요.
아무튼 푸념 남기고 갑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2.08.09
제가 했던 방법은 관련 분야 좋은 논문을 한글로 번역해서 어떻게 써져있는지(문장 구조, 흐름, 체 등) 공부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8.09
저도 비슷하게 시도해 보았는데, 쉽지는 않네요
멍때리는 윌리엄 켈빈*
2022.08.09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좋아질거임!
대댓글 1개
2022.08.09
감사합니다. 다만 석사 졸업이 얼마 남지 않아서 많은 생각이 드네요. 이번에 작성한 논문이 석사 졸업 논문이 아니라는 점에 위안을 삼아야 할지 ㅎㅎ;;
IF : 5
2022.08.09
근데 못하는게 당연합니다. 보고서 수준도 작성 힘들어하는 석사생들도 많아요
대댓글 1개
2022.08.09
이번 논문을 포함하여 논문 작성을 직접 한 게 총 두 번입니다. 교수님께서는 컨텐츠는 괜찮고, 보고서 수준은 되는데 논문 수준까지는 안된다고 늘 말씀하시네요.
말씀하신대로 보고서 수준도 작성을 힘들어 한다는 얘기도 듣긴 했습니다. 다만 석사때 제 손으로 논문 작성을 마쳐보고 싶네요.
2022.08.09
피드백은 항상 critical 하게 돌아오는게 맞죠. 그냥 겸손한 자세로 다 흡수하고 배우세요. 교수님이 남 자존심 건드려고 그러는것도 아닌데 본인 스스로가 그렇게 생각하고 불해지는 겁니다.
대댓글 1개
2022.08.09
네 말씀해 주신대로 교수님께서 제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있습니다.
조금 천천히 생각해 보니 그냥 제 기준이 높았고, 현실을 깨닫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네요.
사람이 완벽하지 않으니 이번 과정을 통해 부족한 건 메꿔야겠네요
2022.08.09
저도 비슷한 과정에 있습니다. 같이 연구하는 분이 Writing을 해주신다고 했지만... 저 또한 이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도 우선 배운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8.09
저도 복합적인 성격이라 파트를 나눠 논문 작성을 주로 진행하고 있는데,
공동 연구 파트 또한 모르더라도 최대한 공부해보고 지나가니 훨씬 이해에 도움이 되더라구요
저도 이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ㅋㅋㅋㅋ 배움의 연속이네요
2022.08.09
처음 쓰는 논문을 잘쓰는건 욕심인듯. 학생이 처음쓰면 학계에서 공통적으로 쓰는 단어나 보편적인 사전지식도 파악이 덜되어 있어 정확한 해석을 제대로 쓰기도 어려움. 논문은 논리적이고 반론의 여지 없이 간결하고 정확하게 써야해서 테크니컬하게 많은 노력과 연습이 필요함.
애초에 석사는 교수나 사수 도움을 받아 논문 작성을 한번 경험하는 수준이고 박사를 거치며 네다섯편 논문을 쓰면서 본인이 주도권을 점점 가져와서 결국 졸업 직전에 스킬을 완성하면 다행임. 이게 안된 박사들은 pi 되면 고생 많이하는듯.
석사는 사실 2년간 연구 한번 경험해 보는 수준이지 그 이상을 기대하긴 어려움. (수업듣고 졸업준비하면 실제 연구기간이 너무 짧음) 실질적인 연구능력을 기르려고 박사를 하면서 몇번이고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본인만의 방식을 만들어내는것임. 쉽게 얻을수 있는것 없고 논문을 잘쓰는건 특히 박사 능력 중에서도 가장 고도의 스킬임.
2022.08.11
> 네 말씀해 주신대로 교수님께서 제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있습니다.
자존심은 "아예" 내려놓으시는게 효율적입니다. 빠르게 성장하는걸 목표로 하셔야지 낙담하고 절망하는건 생산성에 도움이 안됩니다.
후회하는 에르빈 슈뢰딩거*
2022.08.13
그래서 박사를 하는 거죠 학위없는 회사 사람들 글쓴 것 보면 대부분 과간입니다.
2022.08.14
나중에 교수님 수정본을 세세하게 보고, 많은 부분을 캐치해 배우세요
2022.08.15
내 석사 논문은 라면 받침댜로 쓴다 ㅎㅎ 나중애 박사까지 하고 다시 보면 부끄러워서 보질 못하겠더라
2022.08.18
자연계열 석사과정 학생입니다. 지금 sci 준비 중인데 교수님께서 맨날 욕만 하시네요. 피드백도 "너무 나열함" or "구체적으로" or "학문적으로" 이정도만 써주시고 허접한 글이라고 역정만 내시네요. 나름 글 쓰는 대외활동도 많이 해서 자신 있었는데 점점 자괴감이 많이 들기 시작해요. ㅠㅠ 이 글과 댓글을 보고 간접적으로 위로받고 갑니다. 저만 못쓰고 쓰레기 취급인줄 알았는데 먼저 가신 분들도 그 길을 걸으셨고, 다른 분야도 저와 비슷하다는걸 느끼게 되었네요 ㅠㅠ 같이 힘내도록 해요 ㅠㅠ
2022.08.09
대댓글 1개
2022.08.09
2022.08.09
대댓글 1개
2022.08.09
2022.08.09
대댓글 1개
2022.08.09
2022.08.09
대댓글 1개
2022.08.09
2022.08.09
대댓글 1개
2022.08.09
2022.08.09
2022.08.11
2022.08.13
2022.08.14
2022.08.15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