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일로인해 서울에서 학위를 해야해서
(아마 카이는 넣었어도 떨어졌겠지만 ㅎㅎ)
왠만해선 서울대 가려고 했는데요.
나름 스펙 쌓았다고 생각했는데, 컨택을 좀 늦게해가지고... 컨택 답장이 자리가 없다고도 꽤 받고..
결국 설대 원치않는 분야와 yk의 원하던 분야 컨택 다 성공했는데, 그 중에 yk 원하는 분야를 선택해서 봄 입학위해 인턴 다니고 있는데요.
통합이라서 내가 석사2년도 아니고 원하던 분야가 아닌데 5~6년 할 수 있을까 생각들어서요.
근데 김박사넷보면 볼수록 spk를 가야했나... 생각이 들어서요.
학부 지도 교수님께선 분야야 언제든 포닥때도 바꿀 수 있다고, 정도 (正道)는 spk 가서 학위따고 분야는 포닥때 바꾸든 아니든 등등 이러셧거든요.
근데 그건 교수되고싶은 사람의 수준에서의 正道 같아서요....저는 박사따고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 상황이라서요.
일단 spk>yk>ssh 이정도인건 알고있는데,
그 차이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쑥스러운 요하네스 케플러*
2022.11.12
Spk>>>ykssh
대댓글 2개
사려깊은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2.11.13
ist는 이제 과기부에서 교육부로 간다고 빼셨군요 ㅠㅠ
재밌는 쇼펜하우어*
2022.11.13
팩트인데 비추 뭐임 ㅋㅋ 언제까지 현실부정할래? 이 댓에 비추 박는 사람 특 : spk 떨어졌거나 ykssh 다니면서 열등감 갖고 있는 사람
부지런한 데이비드 흄*
2022.11.12
석사는 솔까 분야보고 간다 쳐도 통합은 좀 차이 큰듯해요. 석사전환 가능하면 하는게?
2022.11.12
통합이라서 내가 석사2년도 아니고 원하던 분야가 아닌데 5~6년 할 수 있을까 생각들어서요.
여기에 동감입니다. 차라리 반대로 석사면 skp를 가야하고 박사까지 할꺼면 오히려 분야와 성과를 봐야죠.
대댓글 1개
부지런한 데이비드 흄*
2022.11.12
Spk에 하고싶은 분야가 없는 것도 아닌데, 굳이 yk로 6년 박을 필요는 없죠.
성실한 아이작 뉴턴*
2022.11.12
하고 싶은 연구 >>>>>>>>>>>>>>>>> 대학원이름
대댓글 1개
성실한 아이작 뉴턴*
2022.11.12
근데 가장 큰 문제는 학부생은 그분야가 정확히 뭔지 모르고(대부분의 경우 박사과정에서 연구하는 것보다 훨씬 큰 숲만 보고) 겉만보고 좋아하는거라 false positive error가 존나게 많다는 것입니다
IF : 5
2022.11.12
기업가고 싶으면 그냥 둘중 편하게 다닐 수 있는 곳에서 학위하세요. 큰 관련 없다고 봄
2022.11.12
*웬만
- 제가 국내포닥을 오래경험하지는않았지만, 연구소에서도 포닥하고, 해외에서도 포닥을했지만 특히 해외포닥이면 새로운걸 배우러가는게아니라, 본인이 중간PI가되서 프로젝트를 이끌어나가고 실적을 쌓으러가는겁니다. 박사학위 받은이후부터는 어딜가든 학생취급을 안받고, 본인이 계속 보여줘야됩니다. 제가 해외포닥전 정출연에서 포닥할때는 좀더 자유롭긴했지만, 매한가지였다고 생각합니다. 즉, 포닥때 새로운걸 경험한다 <- 이런마인드는 좋지는 않습니다.
분야를 자유롭게 틀어서 하기는 어디에 취업하셔도 쉽지않고, 결국 혼자 열심히 공부해서 그것을 적용해보거나, 아니면 교수가 되면 본인이 원하는연구 자유롭게 할수있죠.
대댓글 2개
튼튼한 칼 세이건*
2022.11.13
동감합니다. 포닥은 더이상 학생이 아니고 박사학위까지 받은 특정분야 전문가로서, 해당분야의 연구를 함께 수행할 동료로서 채용되는거라.... 포닥인터뷰 때 본인이 지금껏 해온 연구말고 새로운걸 하겠다고 하면 안뽑아줄 가능성이 높죠.
그렇다고 다른 관심분야를 연구하겠다는 사실을 숨기고 채용되면 그것대로 문제인게 관심도 없는분야 연구하기도 괴로울거고 주어진 연구 소화하기도 바빠서 따로 관심연구 할 시간 자체가 없어서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되죠...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피상적 가치에 흔들려 정녕 하고 싶은 일을 못하고 시간을 흘러보내는게 가장 안좋은거 같습니다.
2022.11.13
말잘했네요...포닥은 본인연구 연장선이지..결코 새로운 시작이 아님...포닥 인건비를 그렇게 주는데 시간을 많이 투자해 공부해서 실험해서 논문을 빼게하는 교수는 없답니다...교수들도 논문이 중요하고 실험결과가 중요하지..석사부터는 본인이 하고싶은것응 해야지 나중에 후회안함..몇명이 나중에 다른길을 찾던데 실패하거나 다시 본업으로 어쩔수없이 복귀함..정말 천재이면 여러방면으로 할수 있겠지만..세상의 널린것들이 천재이고 그들도 한길을 파고 연구하는데...좀 깊이 생각해보는게...스트레스 안받고 취업쪽이 눈높이가 높지않으면 하고 싶은대로 되고요..결정잘해요~~
2022.11.13
지금 인턴하는 랩실 실적이 동분야 spk 실적대비 어떤지를 보세요. YK가 아주 간간히 SPK보다도 실적 압도적으로 잘내는 랩들이 있어서...
2022.11.13
왠만해서 ㄴㄴ
웬만해서..
왠 웬..
2022.11.13
아니 사람들이 왜 계속 spk만 보는건가요.. 요즘 yk에서 spk 보다 압도적인 연구실 꽤 많던데요… 1년에 네이처 최소 2편 나가는 랩도 있는거구…
2022.11.13
개인적으로 진짜 구데기랩 아니면 SPK를 무조건 가고 그 아래부터는 간판 안보고 원하는 교수님따라가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2022.11.12
대댓글 2개
2022.11.13
2022.11.13
2022.11.12
2022.11.12
대댓글 1개
2022.11.12
2022.11.12
대댓글 1개
2022.11.12
2022.11.12
2022.11.12
대댓글 2개
2022.11.13
2022.11.13
2022.11.13
2022.11.13
2022.11.13
2022.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