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자대, 타대 연구실 고민

2023.03.18

9

1634

안녕하세요, 저는 인,아 라인 4학년 학부생입니다. 과는 기계이고 현재 (SLAM, Navigation) 분야로 학부연구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고민이지만 학점이 4.4정도로 과 수석인 상태라서 대학원 진학에 고민이 많습니다.
다른 선배들은 spk 무조건 갈 수 있으면 가라 그러시는데, skp에서 가능한 연구실(김박사넷 평 보고 거른 곳, 사전 컨택에 실패한 곳 제외)을 탐색하다보면 제 연구분야를 메인이 아닌 서브로 하는 곳들만 있고 응용영역이 조금 다른 곳도 있더라구요.(예를 들면 ground가 아닌 marine쪽만 주로 연구하는 ...)
그리고 무엇보다 현재 몸담고 있는 연구실이 연구분야도 그렇고 너무 좋습니다. ㅠㅠ 신생랩 교수님 밑에서 배우는데 오신지 3년 정도 지나셔서 랩 세팅도 끝나있고 인품도 좋으시고 특히 젊으셔서 굉장히 트렌디하시고 소통도 활발하십니다. 랩 내 선배들 분위기랑 실력도 좋구요....
저는 어짜피 졸업하면 학부는 변하지 않을텐데 대학원도 학벌을 생각해야하나 싶습니다.
그래도 무조건 최상위 대학원을 노려봐야 할까요 ㅠㅠ.
글을 쓰고보니 조리있게는 못 썼네요. 죄송함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졸린 제임스 와트*

2023.03.18

지금 연구실이 너무 좋은데 학벌과 분야까지 고려하고 싶다면 우선은 석사까지는 지금 랩에서 하고 2년 안에 다른 랩을 찾아보세요.
2년이면 다른 랩들도 분야가 바뀌고, 신생랩들이 생기는 시간입니다. PI가 인품이 좋다면 다른 랩이랑 컨택도 적극적으로 해주실거고요. (특히 자대는 석사까지만 열심히 해도 PI들이 고맙다는 생각 많이합니다)
시간이 지났는데도 국내에 원하는 분야가 없다면 해외로 나가도 되고요. PI인품 역시 해외대학원과 컨택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글쓴이분이 석사기간동안 좋은 모습 보여줘야 하고, (실적 당연히 나와야 하고) PI가 가식이 아니라 정말 학생이 원하는 길을 열어줄 경우 고려해볼만한 선택지입니다.

대댓글 1개

2023.03.18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교수님과 면담시간을 가져볼 생각입니다. 제 고민을 전부 털어놓고 교수님의 견해도 알아보고 싶고요 ㅠㅠ

IF : 1

2023.03.18

최상위 대학원에 도전해보세요 제가 알기로 기계에 slam분야라면 인/아 수석이셔도 연구실 컨택이 잘 안되는 곳이 많을겁니다. 자대생에게도 인기가 좋아서요

대댓글 1개

2023.03.18

S대는 티오가 극단적으로 적어서 그런지 컨택에 실패하였고 p대는 유사한 분야는 있지만 제가 원하는 방향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K대 위주로 보고 있었는데 가장 가까운 분야 연구실은 사전 컨택을 실패하고 두곳 정도가 남았는데 한 곳은 제 연구분야와 유사하지만 본문에 적었듯이 응용영역이 다르고 다른 한 곳은 서브 분야로만 다루고 있습니다 ㅠㅠ. 이럴바에는 더 흥미있는 자대 연구실에서 더 실적을 쌓고 그 이후를 생각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k대도 원서는 넣어볼 생각입니다.

2023.03.20

저랑 정확히 동일한 케이스네요. 신기하게 분야랑 학교까지.. ㅋ
전 교수님 믿고 자대 갔습니다. 후회는 없네요

대댓글 3개

2023.03.20

후회 없으시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ㅠㅠ
Spk를 가서 배우는게 당연히 새롭게 배울 점도 많겠지만 분야가 인기랩에 속하다보니 기본 20명 넘는 대형랩이더라구요... 결국 교수님 지도 보단 박사, 석사과정 분들께 배울텐데 오히려 자대 교수님의 직접 지도가 더 좋지 않나 생각도 많이 들어요 ㅠㅠ

2023.03.21

본인의 미래 진로(박사 여부)와 세부 연구 분야를 정하셨나요?
저 또한 자대 신임 교수님 랩실 문열고 들어가서 직접 지도받으며 많이 배우고있지만, 결국 본인 실력은 연구자 본인이 얼마나 하느냐에 따라 달린 문제인거 같네요.

2023.03.24

박사는 석사 실적을 보고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 같지만 가능성을 높게 열어 놓고 있습니다. 분야는 지금과 비슷하게 가면서 sensor fusion 쪽으로 갈 것 같습니다. 선배님 말씀대로 자기가 열심히 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더라구요... 특히 그 환경은 자대가 더 편해서 더 고민이구요 ㅠㅠ

2023.03.30

동문이신거 같네요. 설명 듣고 어떤 교수님인지 알거같아서 반가워요.
그런데, 제가 알기론 해당 교수님은 센서랑 하드웨어쪽 연구만 하시는걸로 알고있는데 slam을 하신다니 제가 생각하는 분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주변에 비슷한 사례로 자대 들어갔다가 나오고 spk 가는 사례를 봐서 추천드리긴 힘드네요. 대신, 굳이 자대 들어간다면 학점이 아까운거 같으니 미박 유학도 고려해보면 어떨까싶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