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와진짜 찐따같아요 ㅋㅋ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70 - 안보는게 아니라 사회성이 없기 때문에 교수가 될 실적을 만들 수 있었던 것..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52 - 미국은 학부 끝나고 바로 박사과정 들어가는거라 석박이 같은 경우가 훨씬 많은데 뭔 개소리지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26 - 근거는? 시발 니가 과학자가 맞냐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19 - 미국처럼이라고 글 올렸다가 뚜들겨 맞으니 해외처럼이라고 수정해놨네ㅋㅋㅋ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20 - 1. 본디 연구라는건 남들이 잘 알지못하는 영역을 개척하는 것이고 따라서 단순 공부보다 어려운건 당연한겁니다
2. 따라서 석사과정이라도 엄청난 공부와 인내가 필요합니다.
3. 다만 석사 혹은 그 이상의 학위는 의무가 아니기에 본인이 감당못할거같으면 안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그 시간 아껴서 행복한 삶을 사세요
연구 재능이 없는 것 같습니다
9 - 속이는게 아니라 연구비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 내린거겠지. 요즘 연구비 따기가 하늘의 별 따기야. 그리고 당연히 교수가 먼저 약속한 금액만큼 못주게되어 미안하다고 했어야되는게 맞고, 글쓴이도 약속한 금액이랑 달랐다면 1학기 때 첫 월급 받았을 때 왜 다른지 물어봤어야지.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8 - 오늘 무슨 일 있어? 뜬금없이 김밥옆구리 터지는 소리가 나오냐?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14 - 어디서 서러운일 있었나봄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10 - 쓴이 아마 자대생한테 차별받았나봄 ㅋㅋ
예를들어 타대 컨택했는데 자대생으로 다 채워져서 개차반 당했거나.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13 - 실력 키우고 지식 쌓으러 대학원 진학하는거임. 실력도 지식도 충분하면 대학원을 왜 감. 꾸준히 수련해서 계속 발전하는데 의의가 있는거임. 현재 자신의 부족함을 너무 부각시키지 마셈. 미래에 나아질 자신의 모습에 집중하셈. 중요한건 연구를 바라보는 자세임. 물론 당장의 실력도 중요하지만, 교수입장에서 신입생 뽑을때 진짜 중요하게 보는건 학생의 연구에 대한 열정, 지적 호기심, 포기하지 않는 끈기, 성실함 등 연구에 임하는 태도와 자세임. 작성자님은 학부생으로 논문을 쓰고 제출했다는 사실자체로 이미 충분히 증명하고도 남을 정도로 훌륭함. 그러니 너무 주눅들지 말고 화이팅하셈.
연구 재능이 없는 것 같습니다
9 - 박사는 고행을 즐길 수 있는 자들이 소명의식과 재능이 동시에 있을때 적절한 포지션임.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12 - 노벨상 타면 출신 유치원도 동문 찾던데… 내가 잘나고 볼 일임.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9
포공 로망..
2023.07.12

포공 포기하고
그냥 서울대 아래 대학에서 석박통합중인 학생인데
가끔 김박사넷에서 포공 신나게 까이는거 보면
이해 안가고
지금이라도 가고 싶다는 생각 가끔 든다 ㅋㅋ..
연구중심적인 학교, 시설, 탑급 교수님들
그리고 무엇보다 그 고립된 학교의 환경에서
연구에 초집중해서 퍼포먼스 내고 싶음..
너도 나도 집떠나온 사람들끼리(소수 포항주민 빼고..)
서로 똘똘 뭉쳐서 하루종일 연구이야기 하고
ㅈㄴ 답답하다 싶으면 한번씩 포항시내 나가서 기분전환하고
솔직히 학위 기간 연구에 미쳐볼수 있는 좋은 시간인데..
막상 교수나 정출연 연구원되면 연구 자체에는 느슨해지는게 사실이기도 하고..(그외 업무가 있다보니..)
여기 서울쪽에서 살다보니
그냥 연구실에서 편도 1시간 되는 집 매일 출퇴근하는것도 아깝고, 가정 문제도 신경쓸것도 있고
장점이자 단점이지만
주말마다(평일에도 가끔) 뭐 친구들, 여자친구 만나다보면 그냥 시간은
개빠르게 흐르고 있고 이러다가 좋은 연구자 될수 있을지
싶음. 나도 그래서 자제하고 싶지만, 서로 만나기 너무 쉽고 그러다 보니 자제하기도, 피하기도 한계가 있는거 같음.
포공 다니는 분들 부럽다
서울대와 포항공대 김GPT 5 25 7263
학부연구생의 고민 김GPT 26 16 20422
연구실 빌런 어떻게 해야 할까요 김GPT 26 21 9185
서울과기대 연구역량 어때보임? 김GPT 1 22 5775-
23 13 3755
정출연 1년재직 소감 김GPT 17 10 4539
포항의 삶은 어떤가요 김GPT 0 7 5875
대학원생 방학 이거 맞나요 김GPT 8 3 7166
대학원 입학 포기 해도 될까요 김GPT 4 13 1634-
73 20 28959 -
293 46 74319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79 43 4670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난 10년간 국제 심리학계를 뒤흔든 재현위기 (reproducibility crisis) 요약 (2편)
132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9 - 대학교 등록금 2배 인상
47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33 - 포항가속기 비리꾼들 오창차세대가속기 투입?
14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82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50 -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37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33 -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33 - 보통 영어 논문 정독하는데 얼마나 걸리시나요?
4 - 교내 성폭행 흔해?
12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난 10년간 국제 심리학계를 뒤흔든 재현위기 (reproducibility crisis) 요약 (2편)
132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9 - 대학교 등록금 2배 인상
47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33 - 포항가속기 비리꾼들 오창차세대가속기 투입?
14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82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50 -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37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33 -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33 - 보통 영어 논문 정독하는데 얼마나 걸리시나요?
4 - 교내 성폭행 흔해?
12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40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46 - 미박 ai 컨택 스팩
12 -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7 - 공대 석박사분들 월급 얼마 받으시나요?
16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5 - Unist 석사와 박사 월급이 어느정도 될까요?
8 - 혹시 이게 타대생 차별인가요..?
15 - 교내에 아버지 직업 속이고 껄떡꺼리는 애가 있는데
26 - 요새 포닥 월급 얼마인가요?
9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15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8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0
2023.07.12
2023.07.12
2023.07.12
대댓글 2개
2023.07.12
2023.07.12
2023.07.12
2023.07.12
2023.07.12
대댓글 1개
2023.07.12
2023.07.14